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 싱가포르 – 미래전략부서 (Centre for Strategic Futures, CSF)

by 정진한 2025. 5. 20.
728x90
반응형
SMALL

🇸🇬 싱가포르 – 미래전략부서 (Centre for Strategic Futures, CSF)

1. 조직 개요

  • 설립 시기: 2009년
  • 소속: 싱가포르 총리실 산하 전략그룹(Strategy Group)
  • 위치: Public Service Division 내 부속기관
  • 주요 파트너: 전략정책국(SPO), 공공서비스부, 기획청(URA), 교육부 등

2. 미션 (Mission)

  • 복잡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세계에서 **정부의 전략적 민첩성(strategic agility)**을 높인다.
  • 장기적인 사고와 **예측 능력(futures thinking)**을 기반으로 정책 형성에 기여한다.
  • 공무원들이 미래를 사유하고 정책에 통합하도록 **역량 강화(training)**한다.

3. 조직 구성

  • 소규모 팀 (~10명 내외), 전략가, 정책 분석가, 기술 담당, 시나리오 전문가 등
  • 민간 및 학계와의 협업을 위한 외부 자문위원단 운영

4. 주요 실적 및 활동

활동 분야주요 내용
🔍 시나리오 기획 Scenario Planning Plus(SP+) 모델 개발 – 기존 시나리오 접근법에 환경 스캐닝, 백캐스팅 통합
📊 RAHS 도입 Risk Assessment and Horizon Scanning: 데이터 기반 위기 탐지 및 대응 체계
🧠 정책 실험 'Futures Sandbox' 프로젝트: 부처 간 협업으로 미래 정책 아이디어 실험
📚 공무원 교육 공공부문 대상 미래사고(futures literacy) 훈련 프로그램 운영
🌏 글로벌 협력 UN, OECD, 핀란드 등과 공동 세미나 및 국제 워크숍 개최
 

🇫🇮 핀란드 – 상임 미래위원회 (Committee for the Future)

1. 조직 개요

  • 설립 시기: 1993년 (세계 최초의 의회 내 미래전담기구)
  • 소속: 핀란드 의회(Eduskunta) 내 상임위원회
  • 위원 구성: 총 17명, 정당별 국회의원으로 구성
  • 임기: 의회 선거 주기와 동일 (4년)

2. 미션 (Mission)

  • 정부의 ‘미래 보고서’에 대한 **의회의 응답(Response)**을 준비
  • 지속가능한 발전, 기술 변화, 장기 정책 이슈에 대해 미래지향적 검토 및 조언
  • 의회 내 미래사고와 예측을 위한 지식 중심 플랫폼 역할

3. 조직 구성

구성원 유형설명
의원 17명 정당별 대표로 균형 있게 구성
자문전문가 기술, 사회, 환경, 경제 분야 외부 전문가 초빙
사무국 직원 의회 사무처 소속 정책 분석가 및 리서처 포함
 

4. 주요 실적 및 활동

실적 분야주요 내용
📄 미래 보고서 대응 정부가 제출하는 미래 보고서(4년 주기)에 대해 독립적 평가 보고서 제출
🗣 시민 참여 청소년 의회, 시민토론회, 대학과 연계한 공공정책 실험 추진
🧪 기술영향평가 인공지능, 유전자편집 등 신기술의 사회적 영향 분석 및 법제 권고
🌍 국제 협력 EU 미래 네트워크 참여, UN 지속가능 개발목표(SDGs)와 연계된 자문 활동
🎓 교육 및 역량강화 ‘미래 리더십 아카데미’, 의원 및 보좌진 대상 미래 트레이닝 운영
 

📊 비교 요약표

항목🇸🇬 싱가포르 CSF🇫🇮 핀란드 미래위원회
설립년도 2009년 1993년
소속기관 총리실 전략그룹 핀란드 의회
성격 행정부 중심 싱크탱크 입법부 소속 상임위원회
주요기능 정책기획 지원, 시나리오 기획, 위험탐지 미래 보고서 평가, 정책 권고, 기술영향평가
운영방식 내부 연구 + 공공부문 교육 의원 중심 논의 + 전문가 자문
대표성과 RAHS 시스템, SP+ 프레임워크 AI, 기후, 기술 법안에 대한 미래 예측 보고서
국제 협력 ASEAN, UN, 글로벌 싱크탱크 EU, 북유럽 미래 네트워크
 

✅ 결론

  • 싱가포르 CSF는 국가 전략 중심의 행정기반 미래연구기관으로서, 데이터 분석과 정책기획 능력에 강점을 가집니다.
  • 핀란드 미래위원회의회 기반의 민주적 미래거버넌스 모델로, 시민참여 및 기술영향평가의 제도화가 두드러집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