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수화는 하나의 독립된 언어이다 - 청각장애인 진로교육과 수어의 이해

정진한 2006. 5. 21. 00:05
728x90
반응형
SMALL

 


V. 수화는 하나의 독립된 언어이다

1. "수화"에서 "수어"로 바뀐 이유

기존의 '수화(手話)'는 '손의 말'로 단순한 의사소통 수단처럼 여겨졌으나, 2016년 제정된 한국수어법에서는 '수어(手語)'를 공식 용어로 채택하였습니다. 이는 수어가 단순한 제스처가 아니라 문법, 어순, 어휘가 존재하는 완전한 언어라는 사실을 반영한 것입니다.

2. 수어는 전 세계적으로 고유 언어

수어는 각국마다 독자적인 언어 체계를 갖고 있으며, 음성 언어처럼 서로 의사소통이 불가능할 만큼 다릅니다. 따라서 수어는 '보편적인 수단'이 아닌 '고유한 언어'입니다.

세계 주요 국가의 수어 비교

국가 수어 이름 특징

대한민국 KSL (Korean Sign Language) 한국어와 다른 문법체계, 좌우 움직임 강조
미국 ASL (American Sign Language) 프랑스 수어에서 유래, 공간 표현 활용 우수
영국 BSL (British Sign Language) ASL과 전혀 다름, 양손 손가락 철자법 사용
일본 JSL (Japanese Sign Language) 입모양, 표정 중요, 일본어 문법과 다름
프랑스 LSF (Langue des Signes Française) 유럽 수어의 대표 격, 시각적 표현 풍부
독일 DGS (Deutsche Gebärdensprache) 독일어와 어순 상이, 손가락 철자 사용
중국 CSL (Chinese Sign Language) 지역 방언 다양, 병음 구조와 무관
스페인 LSE (Lengua de Signos Española) 방언 존재, 비언어적 요소 강조
브라질 LIBRAS (Língua Brasileira de Sinais) 포르투갈어와 무관, 독자적 지문자 체계
남아공 SASL (South African Sign Language) 공용어로 인정됨, 통합언어로 기능

3. 국제수어란?

  • **International Sign (IS)**는 국제회의나 대회에서 사용되는 제한적 수어로, 보조적 의사소통 수단입니다. 국제적 표준어가 아니며, 고유한 언어적 특성을 지닌 각국 수어와는 다릅니다.

4. 수어 어원의 언어학적 의미

  • 수어(手語): '손의 언어', 즉 음성 언어와 동등한 수준의 독립 언어임을 의미함
  • 수화(手話): '손의 말', 보조수단처럼 여겨져 비공식적으로 대체됨

VI. 결론

수어는 청각장애인의 삶을 지탱하는 언어이자 문화입니다. 단순한 제스처나 수단이 아니라, 언어권의 일부로서 존재합니다. 청각장애인의 진로교육과 취업지도 또한 수어의 독립성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이뤄져야 하며, 각국의 수어에 대한 이해는 글로벌한 소통과 포용을 위한 첫걸음이 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