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발전사명 | 전국 발전용량(MW) | 전국 발전소 수(기) | 충남 발전용량(MW) | 충남 발전소 수(기) | 지역별(발전기수_용량) |
동서발전 | 6440 | 12 | 6040 | 10 | 당진(10/6040) 동해(2/400) |
서부발전 | 6100 | 10 | 6100 | 10 | 태안(10/6100) |
중부발전 | 6106.1 | 9 | 6106.1 | 9 | 보령(8/5088.1) 서천(1/1018) |
남부발전 | 6044 | 10 | 하동(8/4000) 삼척(2/2044) | ||
남동발전 | 7868.6 | 12 | 삼천포(4/2120) 영흥(6/5080) 여수(2/668.6) | ||
GS동해 | 1190 | 2 | 동해(2/1190) |
연번 | 용어명 | 용어설명 | 유사용어 |
1 | 가공삭도 | 가공삭도는 단선식과 복선식이 있다. 단선식은 양쪽에 있는 드럼에 연결된 메인(main)로우프가 연속적으로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어 있고, 이 로우프 위에 캐리어를 달아 광석을 운반하는 방향에는 광석이 담긴 캐리어를 매달고, 반면 빈 캐리어는 반대 방향에 걸게 되어 있다. 복선식은 움직이지 않는 굵은 로우프 위에 도르래가 달린 캐리어를 달고, 그 밑에 이 캐리어를 잡아당기는 가는 로우프에 의하여 가동시키게 되어 있다. 단선식은 시간당 운반 능력이 약20톤 정도이지만 복선식은 200톤 까지도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운반해야 할 양이 많으면 복선식으로 하는 것이 좋다. ① 단선식 : 한 개의 와이어로프를 고리 모양으로 하여 운반기를 이것에 고정시키고, 와이어로프를 순환 또는 왕복시키는 방식이며, 스키장의 리프트는 이 방식에 속하는 것이 많다. ② 복선식 : 강력한 지지삭(支持索)을 팽팽하게 쳐놓고, 이 지지삭에 도르래[滑車]를 통해 운반기를 매달고, 따로 고리 모양의 예인삭을 운반기에 장치하여, 이 예인삭을 왕복 또는 순환시켜서 운반기를 이동시키는 방식이다. ③ 3선식 : 복선식의 예인삭을 2개로 한 것, 또는 하나의 예비 예인삭이 있는 것으로서, 그만큼 안전성이 높다. ④ 4선식 : 지지용 로프가 2개, 예인삭이 2개 있는 것으로,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가공삭도의 지주(支柱)와 지주 사이의 거리(지주간 거리)는 600∼1,000 m의 것이 많으나, 목재운반용에는 중간에 지주를 많이 세워서 전장 5km를 넘는 것도 있다. 가공삭도에 사용되는 와이어로프의 굵기는 지주간 거리나 하물의 무게에 따라 다르지만, 비교적 중량물을 운반하는 임업용은 지름 18~34mm의 강철삭이 사용된다. 와이어로프는 운반중에 일어나는 충격이나 마모에 의해서 절단되지 않도록 안전도를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가공삭도에는 전용삭도(專用索道)와 영업용 삭도가 있으며, 전용삭도에는 광산용·임업용·공장구내용·재탄(載炭) 및 저탄용·토목건축공사용·선박용·군사용 등이 있고, 영업용 삭도는 일정한 요금을 받고 화물이나 여객을 운반하는 것이다. 가공삭도의 설치 및 운영은 1977년 12월 31일 공포된 삭도·궤도법의 규정에 따라야 한다. | 架空索道,aerial cableway |
2 | 가공선식전기기관차 | 광산에서 사용되고 있는 기관차의 한 종류이다. 가공선식전기기관차는 운행비가 가장 싸고, 효율이크며, 고장률이 작아 주 운반갱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다. 무게는 5-10톤이 대부분이다. | 架空線式電氣機關車 |
3 | 가도 | 탄을 캐낸 자리, 즉 탄을 캐낸 길로서, 특히 천장이 내려앉기 쉽고 갑작스레 하중을 받을 수 있는 위험한 곳이다. | Gate road |
4 | 가동연인원 | 1년간 전 종업원이 실제로 작업한 가동공수의 총합계를 말함. | 可動延人員 |
5 | 가동조오 | 광석을 파쇄하는 브레이크형 조오 크러셔 기계부분에서 고정조오(fixed jaw)와 조화를 이루어 광석을 파쇄하는 부분. | Movable jaw |
6 | 가루다이너마이트 | NG(니트로 글리세린)의 함유량이 작아 교질화되지 않은 가루 상태의 폭약으로, 흡수성이 크며, 젤라틴 다이너마이트보다 둔감하다. 이것은 메탄가스 또는 석탄 미립자에 대한 안전도가 높기 때문에, 탄광에서 채탄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포장은 종이봉투에 넣어서 파라핀 방습 가공을 하고, 5-10개를 포장하여 포장전체를 방습 가공한다. | Powdery dynamite |
7 | 가솔린기관차 | 디젤기관차와 함께 내연 기관차로 분류된다. 연기와 가스가 배출되어 갱내에서보다 갱 밖에서 주로 사용된다. | 機關車 |
8 | 가스압 | 발파에 있어 폭파에 의한 파괴도 있지만 고압의 가스압에 의해서도 파괴된다. 즉 고압의 가스압은 암반에 응력을 증가하게 하며, 이 응력은 응력파와 간섭하여 암석을 파괴하는 것이다. | |
9 | 가스폭발 | 가연성가스가 폭발하는 것으로 주로 메탄가스 폭발을 말하며, 메탄가스가 공기 중에 9.5%일 때 폭발이 가장 심하게 일어난다. | Gas explosion |
10 | 가연성가스 | 석탄 광산의 갱내에는 메탄가스와 수소 등의 가연성가스가 발생하며, 채탄 작업을 할 때 석탄가루가 공기 중에 떠올라 섞이면서 불꽃과 접촉하게 되면 탄진 폭발을 일으키게 된다. | 가연성가스 |
11 | 가용매장량 | 채탄·채석이 가능하고 원석 제품으로 생산할 수 있는 매장량을 말한다. | 可用埋藏量 |
12 | 가우스 | 기호 G. 독일의 수학자이며 전자기학의 발전에 공헌이 큰 K.F. 가우스의 이름을 딴 것이다. 1Mx(맥스웰)의 자기력선속이 1cm2의 넓이를 통과할 때의 자기력선속밀도와 같다. 흔히 자기장의 세기의 단위 Oe(에르스텟)과 혼용되는데, 진공 속에서는 자기력선속밀도가 1G일 때 자기장의 세기는 1Oe이라는 관계가 있다. 1G=10-4T(테슬라)이며, 자기력선속밀도의 MKSA단위인Wb/m2 (웨버매제곱미터)와의 관계는 1G=10-4 Wb/m2이다. | Gauss |
13 | 가이거 뮐러 계수기 | 가이거 계수기보다 한 단계 앞선 카운터로서 방사능 원소를 함유한 광물을 쉽게 탐지한다. | Geiger Muller counter |
14 | 가이거계수기 | 방사능 탐광에 사용되는 방사능 측정 조사용구. | Geiger counter |
15 | 가이드 | 갱도 굴착시 키블을 올릴 때 그대로 올리면 옆으로 흔들려 갱내에 있는 지주와 맞닿는 위험이 있으므로 두가닥으로 된 가이드줄(Guide line)을 달아 놓는다. | Guide |
16 | 가채광량 | 매장광량 중 채광할 수 있는 광석의 중량을 말한다. | 可採鑛量,Minableore |
17 | 가채원광량 | 채광에 의해 출광되는 원광의 중량 즉 가채광량과 혼입되는 폐석과의 합계를 말한다. | 可採原鑛量,Minable crudeore |
18 | 가채율 | 매장량에 대해 채광할 수 있는 광량의 비율을 말한다. | 可採率,Mining recovery |
19 | 가채품위 | 가채광량에 대응하는 품위를 말한다. | 可採品位,Grade of minable |
20 | 가행가치평가 | 석탄생산에 있어 직결되는 직접비용 부분의 생산성지표(채탄 능율)와 수입에 변화를 주는 상품의 질(탄질)을 공식화하여 구역별 가행가치를 상대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산출식은{채탄능률×(원탄질+선탄향상치)}/300 이다. | 稼行價値評價 |
21 | 가행년수 | 매장된 광물을 채취하는데 소요되는 연수를 말하며, 매장량, 채취량, 운반량, 판매량, 설비 등 여러 조건에 의해 변동되는 가변성이 있다. 가행년수=총생산량/개발부존면적 또는 개발편수×개발가능 부존면적 또는 개발 가능편수 연생산규모 | 加行年數 |
22 | 가행채굴폭 | 가행탄층 중에 있는 석탄부의 두께를 말한다. | 稼行採掘幅,Working thickness of coal seam |
23 | 가행탄층폭 | 가행탄층 중에 있는 석탄부의 두께를 말한다. | 稼行炭層幅,Working thickness of coal in coal |
24 | 각주 | 기둥의 다른말. 특히 네모난 기둥을 말함. | 角柱 |
25 | 간접부 | 직접부를 지원 또는 보조하는 작업원으로 기계, 전기, 운반등에 종사하는 작업원을 말한다. | 間接夫 |
26 | 갈탄 | 6300BTU/1b 이하의 탄. 석탄을 그 형성 과정에 의해 분류할 때 이탄과 아역청탄 사이에 해당된다. 경상북도 영일지역 제3기 지층에는 약간의 갈탄이 부존되어있으나 생산은 하지 않고 있다. lignite은 동의의. 탄소의 양이 적고 갈색을 띄고 있어 갈탄이라 부른다. 생성당시의 식물구조가 보이는 것이 있으며, 탈 때 냄새가 심하고 연기가 많이 나며 주로 연료용으로 사용한다. | 褐炭, Brown coal |
27 | 감마(γ)선 | 원자가 분열할 때 방출되는 입자와 전자파로서 알파(α), 베타(β), 그리고 감마선(γ)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감마선은 전자파의 일종이다. | |
28 | 감열소염제 | 가스의 연쇄 반응을 늦추거나 방지하기 위해 사용한다. 연소할 때 반응열을 낮추고, 불꽃을 줄이는 효과가 있으며, 감열소염제로는 염화나트륨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 感熱疏髥制 |
29 | 갑종탄광 | 광산 보안상 광산을 구분하여 일반 광산과 석탄 광산으로 하고 석탄광산은 이를 다시 갑종 탄광과 을종 탄광으로 구분한다. (가) 주요 배기 정도의 기류중에 가스 함유물이 0.25%이상. (나) 채탄 작업의 기류중에 가연성 가스 함유물이 1%이상일 것. (다) 통기시설의 운전을 1시간 정지할 경우 함유율이 3%이상의 가연성 가스가 통행 갱도 또는 채탄 작업장에서 검출된 것. | 甲種炭鑛 |
30 | 강도율 | 재해자로 인하여 발생한 작업 손실일수를 가동연시간으로 환산한 재해율을 말한다. 강도율=손실일수/가동연시간×103 | 强度率 |
31 | 강면화약 | 1845년에 발명되었다. 질소의 함유량에 따라 강면화약 (N=13%이상)과 약면화약(N=12%이상)으로 구분한다. | 강면火藥 |
32 | 강성철재지보 | 지보가 받는 반압을 표준으로 한 분류법에는 강성 지보와 가축성 지보가 있는데, 강성 지보는 구조가 견고하고 압축 작용을 하지 않는 지보이며, 암반을 지지함으로써 암반의 움직임을 직접 막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반압이 작을 때에는 이 지보로 지지되어 암석은 움직이지 않고, 갱도도 당초의 형상대로 유지된다. | 强性鐵材支保 |
33 | 강자성물질 | 니켈, 코발트, 자철광과 같이 자장으로부터 밖으로 내어 놓아도 오랫동안 자성을 잃지 않는 물질을 말한다. 강자성은 자성이 강한 것으로서, 이것을 이용하여 광물을 충분히 선별할 수 있다. | 强磁性物質 |
34 | 개갱 | 지하에 매장되어 있는 광석이나 석탄을 채굴하려면 지표에다 갱구를 설치하고, 이 갱구로부터 직접 광석을 채광하는 막장까지 갱도를 시설해야 한다. 이 갱도가 있어야만 사람이 통행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자재와 채굴한 광석을 운반할 수 있으며, 갱내에서 필요한 신선한 공기를 들여보낼 수도 있기 때문이다. 개갱은 이와 같은 목적으로 갱구로부터 막장까지에 이르는 여러 가지 갱도를 계획하고 굴진하는 것을 말하며, 광산 개발에 있어 서 매우 중요한 작업 과정이라 할 수 있다. | 開坑 |
35 | 개갱계수 | 광산의 개갱계획에 있어서 암석갱도의 굴착이 생산계획에서 어느 정도인가를 표시하는 지표로, 갱도연장으로 표시하는 방법(m/1000톤)과 굴착량으로 표시하는 방법(m3/1000톤)이 있다. | 開坑計數,Development factor |
36 | 개발가능성조사 | 기초조사후 부존 광물에 대하여 규모와 품위 등 개발 경제성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를 말한다. | 開發可能性調査 |
37 | 갱구 | 지표에서 갱도로 들어가는 입구. 갱도가 수평갱(水平坑)인가 사갱(斜坑)인가 또는 수갱(竪坑)인가에 따라 각각 통동(通洞)갱구 ·사(斜)갱구 ·수(竪)갱구라 한다. 이 곳은 갱내에서 채굴된 광석 ·석탄을 반출하거나 갱내에 항상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는 통로가 된다. 2개 이상의 갱구가 있어서, 한쪽 갱구는 입기(入氣)갱구로, 다른 쪽은 배기(排氣)갱구의 역할을 한다. | 坑口,pit mouth |
38 | 갱내갱정법 | 무지지 채굴법의 하나로서 광석과 모암이 견고하고 큰 괴상의 광체에 적용된다. 채굴 방법은 하부 갱도로부터 광체 내에 수직 또는 경사되게 레이즈를 굴진하여 이를 갱정으로 하고, 상부에서 사방으로 수평 채굴을 하는 동시에 하향 계단식 채굴법과 같이 하부로 진행해 가는 채굴 방법이다. | 坑內坑井法 |
39 | 갱내근로 | 광산, 굴, 터널 등의 지하작업을 말하며, 갱내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를 일반적으로 갱내공 또는 갱내부라고 일컫는다. 이 갱내작업에는 굴삭굴진, 채굴, 지보공, 발파, 운반, 충전, 배수 등의 종류가 있다. 갱내 작업은 갱외작업에 비하여 육체적·정신적으로 중노동이기 때문에 근로기준법은 여 자와 18세 미만 자의 갱내작업을 금지시키고 있다.(근로기준법 제70조) | 坑內勤勞 |
40 | 갱내분진 | 광산 ·탄광의 갱내에서 채굴, 갱도의 굴진(掘進), 운반 기타 작업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분진.갱내분진 중의 주된 것은 탄진 (炭塵)과 암석분진이다. 탄진은 주로 석탄의 채굴, 연층갱도(沿層坑道)의 굴진, 석탄의 적재 ·운반 도중에 바꾸어 싣기 등에서 발생한다. 탄진은 갱내기류 중에 떠다니거나 또는 갱도 안에 쌓여서 폭발 및 폭발의 전파에 관계한다. 암석분진은 광석의 채굴, 암석갱도의 굴진 같은 작업에 수반하여 발생하고, 공기 속에 부유한다. 이러한 분진은 광물 ·암석 ·석탄 등이 미세하게 분쇄되어 생긴 미립자로서, 크기는 1μm 이하~수십 μm까지 광범위하다. 발생하는 분진의 양, 기류 중에 떠도는 분진의 농도는 작업의 종류 ·지속시간, 공기의 유입량 ·속도, 암석 ·석탄의 성질 등에 따라 다르다. 부유분진 중의 규산질(硅酸質) 분진은 호흡기관을 침범하여 규폐증(硅肺症)을 일으키기도 한다. 탄진 발생 방지에 쓰이는 방법은 탄진 발생장소에 분수막을 만들거나, 탄진이 적재된 장소에 물을 뿌리든가, 또는 채탄에 들어가기 전에 탄층 내에 압력수를 주입하여 석탄을 적시는 탄벽주수법 등의 방법이 이용된다. 암석분진 방지책은 착암기에 물을 통하게 한 습식으로 발생한 분진을 적셔서 부유하지 못하게 하거나, 그대로 흘려보내는 습식착암법이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그 외에 발파작업 중에 발생하는 분진을 막기 위해 분진이 날아가는 방향에 분수막(噴水幕)을 치는 방법, 집진기(集塵器)로 분진을 흡수하는 방법, 작업자에게 분진마스크를 착용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 坑內粉塵,mine dust |
41 | 갱내수 | 갱 안에 물이 생기는 원인은 첫째, 지하수가 단층이나 균열을 따라 갱 안으로 출수 되는 경우와, 둘째, 지표의 하천수나 빗물이 지하 채굴로 인하여 생긴 암반의 균열이나 채굴적을 따라 갱안으로 침수되는 경우이고, 셋째, 폐갱도나 채굴된 공동에 고여 있던 물이 하부 채굴 때에 갑자기 출수되는 경우 등으로서, 이와 같은 갱내 출수를 그대로 방치할 수는 없다. 그러므로, 갱 안에서 갱 밖으로 퍼내야 하며, 이 갱내수의 배출 작업을 배수라 한다. | 坑內水 |
42 | 갱내운반 | 광산 ·탄광의 막장이나 기타 작업장에서 광석 ·폐석 ·필요 자재 등을 갱구 또는 반대 방향으로 운반하는 것을 말한다. 넓은 뜻으로는 갱내외로의 승강을 위한 인원의 수송도 포함된다. 수평갱도의 기관차 운반, 엔드리스 운반, 사갱의 코스 권양운반(捲揚運搬), 스킵 권양운반, 수갱(竪坑)의 케이지 권양운반 등이 있다. | 坑內運搬,underground transportation |
43 | 갱내조명 | 광산의 갱내 작업장은 항상 어둡기 때문에 충분한 조명이 되지 않으면 사고가 일어나기 쉬울 뿐 아니라, 종업원의 시신경이 피로하게 되는 등 신체상으로도 많은 장애를 일으키게 된다. 휴대용에는 아세틸렌등과 전기 안전등이 사용되고, 고정용으로는 전등이 사용된다. 아세틸렌등은 전기 안전등에 비하면 조도와 광도가 나쁘고 사용상 불편하나, 값이 싸기 때문에 금속 광산이나 석탄광 이외의 비금속 광산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지만, 석탄광에서는 갱내의 폭발성 가스 때문에 이의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 坑內照明 |
44 | 갱내지질도 | 갱내에 있어서 지질 상황을 표시하는 그림을 말한다. | 坑內地質圖,Underground geological map |
45 | 갱내채굴 | 갱도를 뚫고 들어가 지하의 광상 ·탄층에 도달하여 광석 ·석탄 을 채굴하는 일.노천채굴(露天採掘)에 대응하는 말이다. 자원이 풍부하고 입지조건이 좋은 오스트레일리아와 같은 나라에는 작업하기 쉽고 비용이 적게 드는 노천굴 광산이 많지만, 한국에서는 석회석 ·쇄석(碎石) 채굴의 경우를 제외하고 노천채굴에 적합한 광상 ·탄층이 거의 없어 대부분이 갱내채굴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갱내채굴의 장점은, ① 표토층이 두꺼워 노천채굴로 채산이 맞지 않는 광상이라도 유리하게 채굴할 수 있 고, ② 광맥이 가늘거나 불규칙한 광체(鑛體)에서도 채굴이 가 능하고, ③ 채굴가능 심도가 깊고(현재 세계에서 가장 깊은 갱 내막장은 지표면에서 수직으로 약 3,000m), ④ 한설 ·풍설 등 의 기후나 일기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으며, ⑤ 연중 고르게 조 업할 수 있다는 점 등이다. 막장 채굴방법은 탄광에서 장벽식(長 壁式) 채탄법, 금속광산에서 충전(充塡)채광법 ·슈링케이지법 (shrinkage stopping) ·공동법(空洞法) ·중단(中段)채광법 · 케이빙법 등이 있다. 갱내화재(坑內火災, mine fire)는 갱내에서의 나화, 끽연, 용접, 발파, 기기의 파열 및 마찰, 전기, 자연발화, 가스 및 탄진 폭발등의 화원을 인하여 발생하는 화재를 말한다. | 坑內採掘, underground mining |
46 | 갱내화재 | 갱내에서의 나화, 끽연, 용접, 발파, 기기의 파열 및 마찰, 전기, 자연발화, 가스 및 탄진 폭발등의 화원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화재를 말한다. | 坑內火災, mine fire |
47 | 갱도 | 광산 ·탄광 또는 토목공사를 위하여 지하에 뚫어놓은 길. 지하에 부존하는 광상(鑛床) ·탄층에 이르러 그것을 채취하기 위해서나, 지하발전소(한국은 1980년 완공된 청평 양수발전소 등)의 건설을 위해 건설 지점에 이르기 위해서는 갱도가 필요하 다. 수직으로 파내려간 것을 수직갱 또는 수갱(竪坑)이라 하고, 경사지게 파내려간 것을 사갱(斜坑), 수평적인 것을 수평갱이라 한다. 광산에서는 갱외에서 직접 광상 ·탄층에 이르는 주요 갱도를 통동(通洞)이라고도 한다. 갱도는 목적 ·위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한 이름이 있다. 목적에 따라 탐광(探鑛)갱도 ·탐탄(探炭)갱도 ·채굴갱도 ·운반사갱 등이 있다. 위치 ·지명에 따라서 중앙수갱 ·350m 갱도 등이 있으며, 크기에 따라서는 대 수갱(大竪坑) ·복선갱도 등이 있다. 지하발전소 등에서도 목적 과 용도에 따라 주터널 ·케이블 터널(cable tunnel) 등의 이름을 붙인다. 크기는 단면적 4m2 정도에서부터 수백 t의 광석이나 석탄을 적재한 화물열차가 왕복하며 형광등(螢光燈)이 콘크리트 갱도벽을 조명하고 있는 대규모의 것 등 여러 가지가 있다. | 坑道,mine shaft |
48 | 갱도탐사(坑道探査,Tunnel pr- | 수직, 수평 또는 경사진 갱도로 실시되며, 광맥에 대하여 나란히 또는 직각으로 시행한다.갱도로 굴진하는 탐사에 대하여 시추가 경제적이고 신속하기 때문에 흔히 시추 작업으로 땅 속의 광석이나 암석 상태를 알아보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 坑道探査,Tunnel pr- |
49 | 갱부 | 광산 ·탄광 ·석유 광업소 등에서 관리직과 사무직원 등을 제외한 일반 노무자.갱부 중 갱내작업을 하는 사람을 갱내부라 하며 주된 직종은 직접채광 또는 채탄작업을 하는 채광(채탄)부, 광석 ·석탄 ·폐석(廢石) 등을 운반하는 운반부, 갱도(坑道)의 굴진 ·수리 등을 하는 굴진부, 지보작업(支保作業)을 하는 지주부(支柱夫), 기계류 ·전기계통의 보수유지를 담당하는 기계공 ·전기공 등이다. 갱외(坑外)작업을 하는 사람을 갱외부라 하며 운반부 ·선광(선탄)부, 기계 공장에서 일하는 기계공 ·전기공 등이 이에 속한다. | 坑夫,miner |
50 | 갱외운반 | 광산의 갱 밖 구내에서의 운반은 갱 안에서 운반된 광차나 벨트가 그대로 선광장까지 연장 운행되도록 되어 있으며, 선광장의 저광장에서 역에 마련된 저광장까지는 주로 자동차에 의하여 정광이나 석탄을 운반한다. 그러나, 운반해야 할 양이 적당하고 도로를 가설할 수가 없는 산간에서는 가공 삭도를 설치하게 된다. "갱내운반" 참고. | 坑外運搬 |
51 | 건식 | 착암기로서 천공하는 도중에 구멍 속에 생긴 돌가루를 배출시키는 방법에는 구멍 속에 물을 보내 주는 방법과, 공기를 불어 넣어 주는 방법이 있다.앞의 방법이 습식이며, 뒤의 방법이 건식이다. 대형의 천공기는 습식을 많이 사용한다. | 乾式 |
52 | 건식선별 | 비중 선별에서 물을 쓸 경우 습식 선별이라 하고, 공기를 이용할 때를 건식 선별이라 한다. | 乾式選別 |
53 | 검탄 | 목탄의 하나인 참숯. 백탄(白炭)에 비하여 굳기 ·연소 지속시간은 떨어지나, 발화점 이 250~400℃로 순간적인 화력은 강하다. 발열량은7,000~8,000cal/g이다. 대부분이 난방용 ·취사용 ·건조용 연료에 사용되었으나 이제는 거의 쓰지 않는다. 제탄공정 중 정련(精練) 때 최고 700℃ 정도에서 멎게 하고, 숯가마의 입구와 굴뚝을 막고 숯가마 안에서 소화(消火) ·냉각하면 얻어진다. | 黔炭, charcoal |
54 | 게르마늄 | 주기율표 제4B족에 속하는 탄소족원소. 원소기호 : Ge 원자번호 : 32 원자량 : 72.59 녹는점 : 958.5℃ 끓는점 : 2700℃ 비중 : 5.325(25℃) 1871년 D.I.멘델레예프가 에카 규소(珪素)로서 그 존재를 예언하 였으며, 86년에 독일의 화학자 C.빙클러, A.브라이하우프트가 아지로다이트(argyrodite) 속에서 발견하여, 독일의 라틴명인 Germania를 따서 게르마늄이라 명명하였다. 아지로다이트 ·게 르마나이트 등의 광석이 있으나 극히 드물다. 지각 속에는 넓고 얇게 분포되어 섬아연석(閃亞鉛石) ·황화동석 속에 약간 함유 되어 있고, 또 암석 속에서 규산염의 규소와 치환하여 미량(微 量)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 때문에 클라크수는 0.00065로 제43위 이다. 석탄 속에도 농축되어 존재하며, 식물에 흡수되어 존재하 는 경우도 많다. 【성질】 청색이 감도는 회백색의 단단한 금속으로 굳기는 불순 물에 따라 뚜렷한 차이가 나지만, 보통은 모스굳기로 6이다. 전 형적인 반도체로, 진성(眞性)반도체로 생각된다. 3가 또는 5가의 불순물 원자를 미량 함유할 때는 각각 p형 및 n형 반도체가 된다. 결정구조는 다이아몬드형이다. 공기 중에서는 안정하지만, 적열(赤熱) 이상으로 가열하면 산화 한다. 염산 ·묽은 황산에는 녹지 않지만, 왕수(王水) ·알칼리 용액(과산화수소 함유) 및 뜨거운 진한 황산 등에는 녹는다. 흔 히 2가 및 4가의 화합물을 만든다. | Germanium : Ge |
55 | 경사습곡 | 습곡축면(褶曲軸面)이 어떤 각도로 기울어진 습곡. 지층이 옆으로부터 압력을 받아 휘어질 때 한 방향의 압력이 상 대적으로 강하여 습곡축면이 기울어져 생긴다. 한편 대칭적으로 휜 지층의 습곡부에는 하나의 대칭축면을 기준으로 습곡축면이 있는데, 옆으로부터 받는 압력이 좌우균등인 경우 습곡축면은 수 직이 된다. | 傾斜褶曲 inclined fold |
56 | 경상누층군 | 한국 남부의 대구·경주 지방에 잘 발달한 중생대 백악기의 지층.경상계라고도 한다. 경상누층군은 검은색 또는 붉은색의 역암 (礫岩)·사암·셰일 등이 두껍게 퇴적한 지층이며, 선캄브리아대 부터 중생대 초의 지층인 대동계(大同系)를 뚜렷한 부정합(不整 合)으로 덮고 있다. 이 계는 하부인 낙동통(洛東統)과 상부인 신 라통(新羅統)으로 나뉜다. 낙동통은 일부 지층을 제외하면 붉은색 셰일·사암·역암의 호층(互層)으로 되어 있고, 때로는 무연탄층이 협재(狹在)하며, 두께 약 4,000 m이다. 한편 신라통은 그 하부에 집괴암(集塊岩)과 붉은색 셰일·사암·역암으로 구성되어 있고, 두께는 약 3,600m이다. 신라통은 낙동통을 평행부정합으로 덮었으며, 널리 다른 지역에서도 다른 지층을 부정합으 로 덮는다.낙동통에서는 비해성패(非海成貝)의 화석 외에 Euestfheria류의 새우 화석이 산출되고, 신라통에 서는 쌍떡잎식물의 화석식물군 및 Trigonoides 등의 패류 화석 군이 산출된다. | 慶尙漏層群 |
57 | 경상자 | 재해로 인한 부상정도가 3일 이상 4주미만의 치료를 요하게 된 자를 말한다. | 輕傷者 |
58 | 경석 | 채탄이나 선탄의 과정에서 선별의 결과 유용광물인 석탄이 아닌 파쇄된 암괴, 암편이나 슬라임 또는 산물을 말하며, 미광(尾鑛), 버럭, 폐석(廢石)이라고도 한다. | 硬石, waste tailing |
59 | 계단식채굴법 | 내부를 계단 모양으로 파들어가는 갱내채굴법. 상향식 계단채굴법과 하향식 계단채굴법이 있다. 상향식은 갱도 보다 위쪽을 향해 파올라가는 채굴법으로, 채굴장 천장이 계단 모양이 된다. 채굴할 때는 운반갱도 바로 위에 일부 광석상(鑛 石床)을 남겨 놓고 그보다 위를 채굴하는 경우와 광석상을 남겨 놓지 않고 곧바로 막장을 만드는 경우가 있다. 후자에서는 지주(支柱)를 짜고, 그 위에 버력을 쌓아 올려 채굴할 때 발판을 삼는다. 하향식은 갱도보다 아래쪽을 향해서 파내려가는 채굴법으로, 이 때는 채굴장이 계단 모양으로 된다. 계단의 높이는 1∼2.5m 정도, 채굴된 광석이 중력에 의해서 계단면을 굴러 아래쪽의 운반 갱도(坑道)로 낙하하도록, 그 면의 물매를 40° 이상으로 잡는다 | 階段式採掘法, bench cut mining method |
60 | 계속작업권 | 석탄 개발 임시 조치법에 의하여 연간 30만톤 이상의 석탄을 생산할 수 있다고 인정되는 구역의 광구를 묶은 것을 탄좌로 설정하고 심부 개발을 효율적으로 하도록 했으므로, 이미 개발하고 있는 광업권자에게는 지상탄에 대하여 계속 작업을 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 하였다.굴진 증구나 계속 작업권 모두 광산의 합리적 개발을 위하여 광구의 변경을 가져오게 하는 조치라 할 수 있다. | 繼續作業權 |
61 | 고령토 | 고령토 광상은 1차 풍화잔류광상으로 회장암질이나 우백질화강암, 우백질편마암 등이 풍화되어 카오린화된 장소 혹은 그 인근에 잔류되어 광상이 형성된 것으로 하동, 산청, 가야지역의 고령토가 이에 해당된다. 카오린 광물은 Al2O3·2SiO2·2H2O의 기본 화학식을 가지며 동질이상체로 카오리나이트, 할로이사이트 등이 있다. 용도로는 도자기용, 내화물용, 화학공업 충진제용, 제지공업용등에 사용된다. | 高嶺土, Kaoline |
62 | 고정조오 | 광석을 필요에 따라 큰 것을 잘게 부수는 과정으로 조쇄, 중쇄, 및 분쇄의 세가지를 파분쇄라 하는데, 이중 조쇄과정에 사용되는 조쇄기에 파쇄되는 부분에 이용되는 부분. | Fixed jaw |
63 | 골재 | 건설공사에서 쓰이는 자갈이나 모래 따위의 재료를 골재라 하는데 골재채취법 및 한국산업규격에서 규정하고 있는 골재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①골재채취법(제2조1항)정의:골재라 함은 하천, 산림, 공유수면, 기타 지상·지하 등에 부존되어 있는 암석(쇄석용에 한함), 모래, 자갈로서 건설공사의 기초재로 쓰이는 것을 말한다.②한국산업규격(kS F 2522) 정의:콘크리트, 모르타르, 석회반죽, 역청질 혼합물 등과 같이 결합재에 의하여 뭉쳐서 한 덩어리를 이룰 수 있는 건설용 광물질 재료로서 화학적으로 인정한 것을 말한다. 다만, 물, 혼합재 및 결합재는 제외한다. | 骨材 |
64 | 공기력선별 |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광물을 비중 또는 바람에 날리는 정도의 차이에 따라서 광물을 선별하는 방법이 공기력 선별이다. 여기에는 공기력 지그, 공기력 테이블 등이 고안되어 사금 처리와 선탄에 이따금 사용되고 있다. | 空氣力選別 |
65 | 공기분급기 | 건식으로 처리하는 것으로서 풍력에 의하여 작은 알갱이와 굵은 알갱이를 분급하는 기계이다. | 空氣分級機 |
66 | 공기압축기 | 주로 갱내채굴용 기계의 동력원으로 사용되는 압축공기를 제조하는 기계를 말한다. | 空氣壓縮機, Air compressor |
67 | 공기저장조 | 압축기에는 그 용량에 적합한 크기의 공기 저장조를 비치 한다. 이것은 왕복식에서는 배출 압력을 일정하게 하기 위함이고, 일반적으로는 압축기에 걸리는 하중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이 저장조에는 안전 밸브, 압력계, 드레인 콕 등이 붙어 있으며, 대형 저장조는 청소할 때 사람이 들어 갈 수 있게 만들어져 있다. | |
68 | 공업 뇌관 | 뇌관 몸체를 구리로 만든 것과 알루미늄으로 만든 것 등이 있으며, 뇌홍(풀민산수은)뇌관. 혼성 뇌관, 아지화납 뇌관 및 디아조디니트로페놀 뇌관 등이 있다. | |
69 | 공업뇌관 | 다이너마이트 등의 폭파약에 파괴적 폭발을 일으키기 위해 사용되는 화공품.도화선의 불꽃으로 그 기능을 발휘한다. 구리판으로 만든 관체(管體)의 바닥 부분에 테트릴·헥소겐·펜트리트 등 상당히 예민하고도 강력한 폭약(첨장 약이라고 한다)의 분말을 압착하고, 그 위에 소량의 점폭약(點爆藥)을 채워 넣은 후, 다시 구멍이 뚫린 작은 구리 내관(內管)을 덮어 씌워 보강한 것이다.공업뇌관에 전기 점화장치를 한 것이 전기뇌관이며, 그 원료로서의 공업뇌관은 원관(原管)이라 한다. 점폭약으로서 이전에는 뇌홍폭약분말(雷汞爆藥粉末:뇌홍 80, 염소산칼륨 20의 혼합물)이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디아조디니트로페놀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제2차 세계대전 전에는 아지드화염도 사용되었으나, 이때 구리 관체를 사용하면 위험한 아지화구리를 생성하기 때문에, 아지드화물의 폭발성이 약한 알루미늄 관체가 사용되어 알루미늄 뇌관이라고 하였다. 광석 속에 불발뇌관이 들어가면 위험하므로, 자기적(磁氣的)으로 검지(檢知)하기 위한 철관체(鐵管體)나 철과 구리를 접착시킨 금속판에 의한 관체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 工業雷管 blasting cap |
70 | 과산화질소 | 이산화 질소(二酸化窒素)와 같은말. 질소와 산소를 고온에서 직접 작용시키거나 암모니아를 가열하거나 하여 만드는 무색의 기체. 공기보다 약간 무거우며, 여러 금속과 니트로실 화합물을 만드는데 쓰임. | 過酸化窒素,No2 |
71 | 관입암 | 화성암(火成岩)의 산출 상태의 하나로 마그마가 지각 내에서 고결(固結)되어 생긴 암석.마그마가 지표에서 고결되어 생긴 화산암(또는 분출암)과 대조적으로 사용되는 말이다. 관입암체의 장자리는 주위의 암석과 접촉함으로써 마그마가 급속히 냉각되므로 암체의 내부보다 세립(細粒)이 되며, 유리질이 되는 경우도 있다. | 貫入巖, Intrusive rock |
72 | 광괴 | 불규칙 광상의 불규칙한 큰 덩어리로서, 경계가 광층과 같이 뚜렷하지 못한 광상의 덩어리이며, 그 속에 유용 광물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 鑛塊 |
73 | 광구 | 광업권이 설정되는 일정한 구역을 광구라고 한다. 광구면적에 대해서는 합리적인 광산개발이 가능한 범위내에서 최소면적과 최대면적을 설정하고 있다. 국가에 따라서는 불합리한 광업개발의 규제를 위해서 최소면적을 설정하고 있는 경우도 있고, 석유와 천연가스 등과 같이 일반광물에 비해 비교적 넓은 범위에 광물이 매장되어 있는 경우 광물의 합리적 개발을 고려하여 최대면적을 설정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광업법 제15조(광구의 단위구역)에서는 광구의 경계는 직선으로 정하고 지표경계선의 직하를 한계로 한다고 규정하고 1개 광구를 경도선 1분과 위도선 1분으로 둘러싸인 4변형의 구역으로 설정하고 있으며, 이 4변형의 구역을 단위구역으로 통칭하고 있다. 광구는 광업지적 단위로 번호가 매겨져 있는데 우리나라에는 현재 370개 광업지적이 있고, 1개의 광업지적에 150개의 광구가 있으므로 단위구역에 대한 예외를 감안할 경우 전체 광구수는 55,500개 이상이 되는 것이다. 단위광구에 대한 예외로 단위광구를 4등분한 소단위 구역에 광업권 설정이 가능한 광종을 광업법시행령 제5조에서 장석, 불석, 사문석, 고령토, 석회석, 규석, 규사, 운모(견운모 및 질석을 포함) 등 41종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광업법 제16조에서는 지형 및 공익사항에 따른 조정 등 다음과 같은 단위구역 적용의 예외를 인정하고 있다.1. 지형에 의하여 단위구역으로 광구를 정하기 곤란한 때2. 광종에 따라 단위구역의 면적이 필요하지 아니한 때 3. 기존 광구로 인하여 단위구역 실시가 곤란한 때 4. 공익사항을 제거하고 조건부로 광업권 설정의 출원구역을 감소하여 허가한 때(광업법 제29조의 2 관련) 5. 광업권 설정 후 공익상 이유에 의해 광구의 감소 처분을 한 때(광업법 제39조)광구의 면적에 대해서는 광업법시행령 제6조에서 최대면적과 최소면적을 규정하고 있는데 최대면적은 300ha로 하고, 최소면적은 석탄.흑연(인상흑연은 제외)의 경우에는 50ha, 석유(천연피치 및 가연성 천연가스 포함)의 경우에는 30ha, 기타 광물의 경우에는 3ha로 하고 있다 <단위구역의 면적이 필요하지 아니하는 광종> 인광, 석면, 유황, 석고, 납석, 활석, 남정석, 홍주석, 형석, 규조토, 장석, 불석, 사문석, 규회석, 수정, 연옥, 고령토, 석회석, 규석, 규사, 세륨광, 질코늄광, 티탄철광, 사금, 사철, 사석, 토륨광, 탄탈윰광, 니오비움광, 란타늄광, 이트륨광, 붕소광, 마그네사이트, 석탄, 흑연, 금강석, 석유 (천연피치 및 가연성 천연가스를 포함), 운모(견운모 및 질석을 포함), 명반석, 중정석, 하석 토지 소유권의 경계와 같이 광업권을 행사할 수 있는 경계 구역을 설정한 것을 광구라 한다. 따라서, 광물 채굴은 이 등록된 광구 내에서만 할 수 있으며, 광구의 경계는 직선으로 정하고, 지표 경계선의 직하를 한계로 한다. 원래 광구는 일제 시대의 법령에 따라 광업권을 출원한 사람의 의사에 따라 광상을 중심으로 자유로이 설정했으며, 이와 같은 광구를 자유형 광구라고 한다. 그러나 우리 나라 광업법이 제정될 때 이 자유형 광구 제도를 없애고 단위 광구제를 채택하게 되었는데, 이 단위 광구제는 경도선과 위도선으로 포위된 4 | |
74 | 광구단위구역 | 광구의 경계는 직선으로 정하고 지표한계선의 직하를 한계로 한다. 광구는 경도선과 위도선으로 둘러싸인 4변형의 지역(단위광구)으로 하며, 그 각 모서리점의 위치는 경도 1분, 위도1분의 차가 있는 것으로 한다. 산업자원부 장관은 제 항의 단위광구에 관하여 그 광업지적·변의 길이 및 면적을 고시한다. 광구의 최대면적은 300헥타르로 하며, 최소면적은 석탄·흑연(인상흑연제외) 및 석유(천연피치 및 가연성 천연가스를 포함한다)의 경우에는 30헥타르, 기타 광물의 경우에는 3헥타르로 한다. 단위구역의 면적이 필요하지 아니하는 광종은 인광, 석면, 유황, 석고, 납석, 활석, 남정석, 홍주석, 형석, 규조토, 장석, 불석, 사문석, 규회석, 수정, 연옥, 고령토, 석회석, 규석, 규사, 세륨광, 질코늄광, 티탄철광(사광상), 사금, 사철, 사석, 토륨광, 탄탈윰광, 나오비움광, 란타늄광, 이트륨광, 붕소광, 마그네사이트, 석탄, 흑연, 금강석, 석유(천연피치 및 가연성 천연가스를 포함한다), 운모(견운모 및 질석을 포함한다), 명반석, 중정석 및 하석으로 한다. | 鑛區單位區域 |
75 | 광니 | 물 밑에 침적된 산물을 보면 굵은 입도의 부분과 작은 입도의 부분이 층을 이루게 되며, 굵은 입도의 것을 광사(sand), 가는 입도의 것을 광니(slime)라 구별한다. 쉽게는 광석, 석탄, 암석 등의 미세립자를 말한다. | 鑛泥, slime |
76 | 광량 | 지하에 매장되어 있는 광물의 총량을 말한다. | 鑛量, Ore reserves |
77 | 광량계산 | 광상(鑛床)의 부피를 계산하고, 여기에 광상의 평균비중을 곱하여 광상 질량인 매장량을 산출하는 일.광량(鑛量)은 그 존재의 확실성에 따라 확정광량 ·추정광량 ·예상광량의 3종류로 구분된다. 광상을 채굴함으로써 출광(出鑛)이 예상되는 조광(粗鑛)의 양은 채광실수율(採鑛實收率)과 잡물혼입률(雜物混入率)을 고려하여 계산한다. | 鑛量計算, Calculatiion of ore reserves |
78 | 광물 | 천연산 무기물로서 균질(均質)의 고체이며, 일정한 범위 내의 화학조성과 규칙적인 원자배열을 가지고 있는 물질.광물은 대체로 지각 속에서 발견되지만, 지구 밖에서 날아온 운석(隕石)이나 달의 구성물질에서도 발견된다. 광물이 천연산이라는 말은 인공적으로 만든 것은 엄밀한 의미에서는 광물이 아니라는 뜻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보석광물 및 기타 광물들도 인공적으로 합성되기 때문에 이 때는 인조(人造) 또는 합성광물이라고 부른다. 무기물이라는 것은 예외는 있지만 대개의 광물이 무기화합물이며, 이들이 무기적으로 만들어졌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즉, 생물에 의하여 만들어진 것은 광물이 아니라는 뜻이다. 예를 들면, 동물에 의하여 만들어진 고체물질, 이를테면 조개껍 데기 같은 것은 광물이라고 할 수 없다. 일정한 화학조성이라는 말은 일정한 화학식으로 나타낼 수 있는 화학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광물의 화학조성은 여러 원인에 의하여 몇몇 광물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일정한 범위 내에서 변화하는 것이 특징이기도 하다. 구성원자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고체를 결정질(結晶質)이라고 하는데 광물은 대체로 결정질이다. 그러나 예외로서 단백석과 같이 비결정질인 것도 광물로 취급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광물들은 대체로 고체이지만, 예외로서 수은과 같이 액체인 것도 광물로 취급된다. 광물은 이상적인 환경에서 정출(晶出)되면 결정형을 이루지만, 대부분 불규칙한 형태로 산출된다. 그러나 외부 형태가 불규칙하다고 하여 내부구조, 즉 원자들의 배열상태가 달라지는 것은 아니다. | 鑛物, mineral |
79 | 광물의 감정 | 광물들은 서로 다른 결정 형태와 물리적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육안으로 광물을 감정하려면 결정 형태와 물리적 성질(색 ·조흔색 ·광택 ·굳기 ·쪼개짐 ·단구 ·자성 ·발광성 등) 등을 이용하여 감정한다. 그러나 좀더 자세한 감정을 위해서는 편광현미경이나 광석현미경을 사용해야 하며, 정밀한 감정을 위해서는 X선회절분석 및 화학분석을 해야 한다. 때로는 육안적 감정법과 함께 취관분석에 의한 정성분석을 하여 광물종을 알아낼 수도 있다. | |
80 | 광물의 명칭 | 광물의 이름은 주로 그리스어 또는 라틴어에서 유래된 것이 많다. 광물명의 어원(語源)을 보면, 광물의 색 ·정벽 ·결정형 ·화학조성 ·비중 등에서 유래된 것도 있지만, 대체로 그 광물이 처음 발견된 지명 또는 광물학자의 이름을 따서 명명한 것이 많다. 예를 들면 루스벨타이트 ·괴타이트 ·그루너라이트 등은 광물학자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광물이고, 아라고나이트 ·프랭클리나이트 ·장군석(將軍石) 등은 산지(産地) 이름을 따서 명명된 광물이다. 한국에서 처음 발견되어 명명된 광물로는 일본인이 명명한 고토석[小藤石] ·수안석(遂安石) ·상팔동석(上八洞石)과 김수진이 명명한 장군석(將軍石:janggunit- e) 등이 있다. | |
81 | 광물의 분류 | 광물의 분류는 우선 화학조성(음이온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고, 그 다음에는 화학조성과 구조를 결합한 결정화학적 구분법에 따라 세분한다. 이러한 분류에 따른 광물은 원소광물, 황화광물, 산화광물, 할로겐광물, 탄산염광물, 질산염광물, 붕산염광물, 황산염광물, 인산염광물, 비산염광물, 바나듐산염광물, 텅스텐산염광물, 몰리브덴산염광물, 규산염광물 등이 있다. | |
82 | 광물의 분포 | 지각을 구성하고 있는 광물들 중 장석이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여기에 휘석 ·각섬석 ·석영 ·운모를 합하면 90% 이상을 차지한다. 나머지 10%를 차지하고 있는 광물로는 감람석 ·자철석 ·인회석 ·저어콘 ·티탄철석 ·금홍석 ·녹니석 ·사문석 ·석류석 ·전기석 ·탄산염광물 ·적철석 ·황철석 ·갈철석 ·강옥 ·티타나이트 ·첨정석 ·황동석 ·자류철석 등이다. 이 밖의 광물들은 모두 합쳐도 1% 이내이다. 그러나 이렇게 소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광물들은 지각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지 않고 어떤 일정한 곳에 모여서 광상을 이루고 있다. | |
83 | 광물의 산출형태 | 광물의 산출상태는 광물의 성인(成因)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석영 ·장석 ·감람석 ·휘석 ·운모와 같은 광물은 주로 암석의 구성광물로 산출되고, 다이아몬드는 염기성 화성암에 광염상(鑛染狀)으로 산출된다. 또 열수용액에서 만들어진 광물들은 광맥이나 광맥에 인접한 모암(母岩)에서 교대광물(交代鑛物)로 산출되고, 접촉교대광상에서는 화성암과 접한 모암 내에서 괴상 또는 맥상(脈狀)으로 산출된다. 한편, 퇴적광상에서 산출되는 광물들은 퇴적층에 따라 배태되어 있으며, 변성광물들은 변성암에서 산출된다. 중사(重砂)를 이루고 있는 비중이 큰 광물들은 사력층(砂礫層)에서 산출된다. | |
84 | 광물의 생성 | 광물은 여러 작용에 의하여 생성된다. 가장 일반적인 광물생성작용은 마그마로부터의 정출(晶出)이다. 마그마의 온도가 내려가면 그 속에 녹아 있던 성분이 결합하여 감람석 ·휘석 ·각섬석 ·사장석 ·정장석 ·운모 ·석영 등이 어떤 일정한 순서대로 정출된다. 또한 마그마가 고결(固結)되어 암석이 형성된 후에 남은 잔류용액 및 열수광화용액(熱水鑛化溶液)으로부터도 광물이 침전되어 각종 유용광물이 생성된다. 또한 온천수 ·해수(海水) ·지하수로부터 그 속에 녹아 있던 성분이 침전하여 광물이 만들어진다. 이미 만들어진 광물들이 변성작용을 받아 새로운 광물이 만들어지기도 한다. 최근에는 인공적으로 광물을 실험실에서 합성하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서 광물의 생성환경에 대한 이해가 넓어졌다. | |
85 | 광물의 성질 | 광물은 서로 다른 결정 형태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물리적 성질을 가지고 있다. 광물의 특징적인 물리적 성질로는 색 ·조흔색(條痕色) ·광택 ·굳기 ·비중 ·쪼개짐 ·단구 ·점성(粘性) ·자성(磁性) ·발광성(發光性) ·전기적 성질 ·열적(熱的) 성질 등이 있다. 광물의 물리적 성질은 광물의 동정(同定)뿐만 아니라 공업적 활용면에서도 중요하다. 광물을 특징짓는 중요한 요소는 화학조성과 결정구조이다. 대체로 광물은 화학성분에 따라 색이 다르게 나타난다. 광물의 화학성분을 알기 위해서는 화학분석을 해야 한다. 현재 고전적인 습식분석법(濕式分析法)도 사용되고 있지만, 최근에는 X선형광분석 ·원자흡수분광분석 ·전자현미경분석 등과 같은 정밀한 기기분석장치가 개발되어 광물의 화학조성 연구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완전 분석방법에 의하지 않고 간단한 시험으로써 광물에 들어 있는 화학성분을 정성분석(定性分析)하는 취관분석(吹管分析) ·현미경분석과 같은 방법도 있으며, 야외에서는 묽은 염산으로 반응시켜 방해석과 백운석을 구별할 수도 있다. 광물은 종종 양이온 또는 음이온 들의 광범한 치환현상으로 고용체를 이루는 경우가 많다. 결정의 구조상태와 화학조성 변화와의 관계에 관하여 연구하는 분야 를 결정화학이라고 한다.광학적 성질은 크게 구분하면 광물의 물리적 성질에 속하지만, 광물 연구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 고 있어서 보통 따로 취급한다. 광물은 우선 빛이 광물을 투과할 수 있는지 없는지에 따라 투명광물과 불투명광물로 구분된다. 투명광물의 광학적 성질 연구와 감정을 위해서는 광물의 박편(薄片)을 제작하여 편광현미경으로 관찰하고, 불투명광물들은 연마편(硏磨片)을 제작하여 광석현미경(鑛石顯微鏡)으로 관찰한다. 불투명광물을 감정할 때, 때로는 연마편에 시약을 작용시켜 그 반응을 현미경으로 관찰하기도 한다. 광물의 현미경 관찰에서는 광물종의 감정뿐만 아니라 광물의 구조와 조직도 관찰하게 된 다. | |
86 | 광물의 이용 | 광물은 인간생활에 필요한 각종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서 선사시대부터 이용되어 왔다. 광물은 그것이 가지고 있는 화학성분 때문에 유용한 것도 있지만, 또한 그것이 가지고 있는 물리적 성질 때문에 이용되는 것도 있다. 어떤 광물들은 유용하게 쓰이는가 하면, 어떤 광물들은 전혀 이용되지 않는 것도 있다. | |
87 | 광물의 종류 | 지금까지 알려져 있는 광물의 종류는 약 2,400종이나 된다. 석영은 수정 ·자수정 ·연수정 ·장미석영 등 여러 가지 변종을 가지고 있지만, 광물종으로는 석영 하나에 속한다. 매년 세계적으로 약 25종의 신종 광물이 발견되고 있다. 한국에서 알려진 광물종은 현재 약 350여 종밖에 되지 않으나, 자세한 조사연구를 실시하면 훨씬 많은 광물종이 발견될 것이다. | |
88 | 광물의 형태 | 광물의 형태는 같은 종류에 있어서도 천차만별이다. 그러나 결정을 이루고 있을 때 그 결정형에는 상당한 규칙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광물종에 따라 특징적인 결정형이 나타난다. 그러나 광물생성의 물리적 환경변화 때문에 이상적 결정형은 잘 발달되지 않고, 외형상 주상(柱狀) ·침상(針狀) ·판상(板狀) ·엽편상(葉片狀) ·인편상(鱗片狀) ·섬유상(纖維狀) ·방사상(放射狀) ·구상(球狀) ·괴상(塊狀) ·토상(土狀) 등의 정벽(晶癖)을 이루면서 집합체로 산출된다.광물의 결정은 그 결정형에 따라 6정계(晶系), 32정족(晶族)으로 구분된다. 결정의 내부 구조는 결정의 형태뿐만 아니라 결정의 물리적 성질과도 관련이 있어서, 결정구조에 있어서 층상격자(層狀格子)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운모나 흑연에서와 같이 엽편상으로 쪼개진다. 암염과 방연석에서는 서로 직각인 3방향의 쪼개짐이 발달되어 있는데, 이것도 결정구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다. 그런가 하면 석영과 같이 아무렇게나 깨지는 광물도 있다. | |
89 | 광미 | 선광(選鑛) 중에 분리된 가치가 없는 광석 부분. 선광 과정에서 생기는 산물 중에서 회수대상이 되는 성분의 함유율이 낮은 것을 말하며, 함유율이 높은 산물인 정광(精鑛)에 대응하는 말이다. 상당량의 유용광물(有用鑛物)이 섞여 있어서 재처리를 해야 하는 것과 구별할 때는 최종광미 또는 폐석(廢石)이라고 한다. | 鑛尾,tailing |
90 | 광사 | 물 밑에 침적된 산물을 보면 굵은 입도의 부분과 작은 입도의 부분이 층을 이루게 되며, 굵은 입도의 것을 광사(sand), 가는 입도의 것을 광니(slime)라 구별한다. | sand |
91 | 광산 | 광물자원을 개발하는 작업이 실행되는 장소.광석을 채굴하는 장소뿐만 아니라 선광·제련 등의 공작소도 포함된다. 광산은 채굴되는 광물의 성질에 따라 크게 금속광산과 비금속광산으로 나눈다. 따라서 석탄·석유가 생산되는 곳도 광산이라고 하지만, 석탄을 생산하는 광산은 탄광, 석유인 경우는 유전(油田)이라고 한다. 광산은 지상의 일반적인 생산공장과는 달리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수성을 지닌다. ① 대상으로 하는 광물자원이 유한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채굴 때 가능한 한 채취율(採取率)을 높여야 한 다. ② 광산의 경영에 있어서 장기간에 걸쳐 가행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곤란하고, 투자자본의 회수기간이 길고 폐광 후 시설물을 재활용할 수 없기 때문에 기업으로서의 위험성이 높다. ③ 지하의 협소한 공간에서 작업이 진행되므로 낙반·출수·가스폭발 등의 재환율이 높다. ④ 규폐(硅肺) 등의 직업병 이환율(罹患率)이 높고, 노동강도가 다른 산업에 비하여 크다. | 鑛山,Mine |
92 | 광산구호대 | 광산보안은 사람에 대한 위해(危害), 지하 자원의 보호, 광업 시설의 보존 및 광해의 방지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가장 중요한 것은 광산 종업원에 대한 재해의 방지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재해 발생의 위험이 있는 광산에서는 대피 훈련과 응급 구호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따라서, 광산에서는 그 광산에 적합한 구호대를 설치하도록하여, 광산 종업원의 안전을 도모하고 재해 발생시의 구호 조치를 취해야 한다. ※갑종광산구호대의 설치 갑종 탄광, 사무소장이 지정하는 을종 탄광, 또는 일반 광산의 광업권자 또는 조업권자는 재해 발생에 대비하여 갑종 광산 구호대를 설치하여야 한다. 갑종광산 구호대는 1개 반의 인원을 5인 이상으로 하여 5개 반 이상을 편성하고, 산소 호흡기 등 산업자원부령으로 정하는 장비를 갖추고 정기적으로 검사하여 항상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특별한 경우에는 사무소장의 승인을 얻어 반의 인원, 반수 및 장비를 줄일 수 있다. 갑종 광산 구호대가 갖추어야 할 장비는 산소 호흡기, 환자 수송용 차량, 산소 구급기 및 갱내 유선 통신 장비이며, 이 수량은 산업자원부장관이 별도로 정한다. 광업권자 또는 조광권자는 갑종 광산 구호대원에게 6개월에 1회 이상 구호 훈련을 지켜야 하며, 구호 훈련은 다른 광산의 구호대와 공동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 鑛山救護隊, Mine |
93 | 광산구호대훈련 | 광산구호대원들의 체계적이고 신속한 구호활동 전개에 필요한 전문 구호기술교육으로 인명구조, 피해확대 방지 및 조기복구를 위한 교육을 말한다. 대한광업진흥공사는 1968년부터 광산구호대 훈련 및 재해시 구호활동업무를 지원하고 있다. | 鑛山救護隊訓練, Mine rescuecrew |
94 | 광산기술자 | 석탄 ·금속광 ·비금속광 ·원유 ·천연가스 등의 광맥(鑛脈) 및 층(層)을 조사하고, 개발계획을 입안하며, 탐광(探鑛) ·채취 ·채굴(採掘)의 기술적 연구와 지도 등을 맡아보는 사람.구체적으로 지질조사 ·지형학적(地形學的) 조사 ·물리적 조사 ·지하미생물조사 등을 실시하여 탄층 ·광맥 ·유층 ·주위층(周 圍層)의 위치와 규모, 경사(傾斜)와 성질을 밝혀 채취할 경우 채 산(採算)이 맞는가 여부를 결정한다. 수직갱 ·수평갱 ·사갱(斜 坑) 등의 위치, 채굴용기계의 위치, 급배수시설 ·동력장치 등 설비의 설치계획도 세운다. 광상(鑛床)의 성격과 형태 및 규모에 가장 적합한 채광 ·채취방법(사용기계 ·장치의 종류도 포함)을 연구하여 최대의 능률을 올릴 수 있도록 여러 가지 방법을 구사한다. 또 안전능률조사를 실시하여 항상 안전한 작업조건을 연구하고 광산 ·유전의 측량을 지도하며, 채굴 ·채취작업을 감독한다. 이수(泥水) 및 시멘트의 용법, 탄환천공법(彈丸穿孔法), 그 밖의 특수기술 및 시굴작업도 지도한다. 이 외에 원유 ·천연가스 분출량의 지정 ·조절, 인공적 분출방법 등을 결정하고, 원유 중에 함유된 수분 ·불순물 등의 제거방법을 지시하며, 유정(油井)의 보존 ·유지를 감독, 각 유정 및 그 밖에 다른 작업상의 여건 등에 관한 기록을 작성한다. | 鑛山技術者 |
95 | 광산물비축자금 | 주요 에너지광물 및 중화학공업원료광물의 급격한 가격변동을 방지하고 지역적·계절적인 수급의 원활을 도모할 목적으로 행하는 이의 구매, 저장, 조작 또는 공급 등에 필요한 자금을 말한다. | 鑛産物備蓄資金 |
96 | 광산보안 | 광산재해를 방지하고 광산노동자에 대한 안전위생수준을 높여서 광산작업을 합리적이고도 경제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공학적 기술. 재해요인이 배제(排除)되고 광산노동자의 안전위생이 유지되고 위해가 방지되고 있는 상태를 보안이 확보되었다고 한다. 광산보안은 원칙적으로 어떤 광산에 대해서도 이와 같은 생각이 적용되나, 광물의 종류 내지 그것을 생산하는 환경조건에 따라 필요한 보안기술에 다소의 차이가 있다. 예를 들면, 석탄을 갱내에서 채굴하는 탄광에서는 메탄가스 및 탄진(炭塵)의 폭발방지, 자연발화 방지기술 등이 중요하며, 유리규산(遊離硅酸)이 많은 광상(鑛床)을 채굴하는 광산에서는 규폐방지기술(硅肺防止技術), 황화광·황광석을 채굴하는 광산에서는 갱내화재 및 가스중독 방지기술이 문제가 된다. 이와는 달리 낙반(落盤) 방지 및 화약 발파기술은 모든 광산에 공통된 보안문제이다. 이처럼 광산보안기술은, 대상으로 하는 광산의 종류에 따라 석탄광산보안·금속광산보안·석유광산보안으로 나눌 수 있으며, 석탄광산은 메탄가스의 유무에 따라 갑종탄광과 을종탄광으로 분류된다. 대상환경에 따라 갱내보안·갱외보안·기계보안·전기보안·화약보안·발파보안·안전보안 등으로 나눈다. 광산의 보안은 광산의 보안법규상의 최고책임자인 보안관리자를 선두로, 보안기술직원 및 광산노동자의 높은 보안의식과 자주적 노력 없이는 확보되지 않으며, 광산경영자의 보안확보에 대한 의욕이 중요하다. 이들 보안기술직원은 보안에 관하여 충분한 전문지식과 기능을 필요로 하므로, 국가시험에 합격하여야 한다. | 鑛山保安,Mine safety |
97 | 광산보안관 | 광산 보안관은 산업자원부 장관과 법규에 의하여 위임된 서울 특별시장, 직할시장, 또는 도지사의 광산 보안 감독에 관한 사무를 보좌하기 위한 광산 보안 감독 기구의 구성원이다. 광산 보안관은 광산 현장 조사권, 사법 경찰권 및 보안 사고 신고 수리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 鑛山保安官 |
98 | 광산보안교육 | 광산근로자들의 재해예방을 위하여 안전교육과, 생산성 향상을 위한 직무능력 향상훈련 및 직업능력 | 鑛山保安敎育, Mine safety education |
99 | 광산보안규정 | 광업권자 또는 조광권자는 광산 보안을 확보하기 위하여, 항상 50인 이상의 광산 종업원을 사용하는 광산에 있어서는 광산마다 광산 보안 규정을 제정하여 산업 자원부 장관(사무소장)의 승인을 얻어야 하며, 이를 변경할 때에도 승인을 얻어야 한다. 다만, 사무소장은 광산 보안을 위하여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항상 50인 미만의 광산 종업원을 사용하는 광산에 대해서도 보안 규정을 제정하게 할 수 있다. | 鑛山保安規定 |
100 | 광산보안법 | 광산노동자에 대한 위해를 방지함과 동시에 광해를 방지하고, 광물자원의 합리적인 개발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1963년 3월 5일 법률 제1292호로 공포된 법률로서, 전문 29조 및 부칙으로 되어 있다. 법률의 정의에 따르면, 광산보안이란 광산에서 다음 각 호의 사항을 말한다. ① 사람에 대한 위해의 방지, ② 지하자원의 보호, ③ 광업시설의 보존, ④ 광해의 방지(2조). 사람에 대한 위해의 방지에는 위생에 관한 통기 및 재해시의 구호를 포함하고 있다. 광산보안법에 광산보안의 단속에 관한 대강(大綱)을 나타내고, 세부규정은 광산보안법 시행령(1981.6.24, 대통령령 10369호) 및 동 시행규칙(1969.7.7, 상공부령 282호)에 의하여 규정하고 있다. 한국은 삼국시대 이전부터 금·은·동 귀금속을 사용하였고, 국가에서 금·은·철 등의 생산을 장려하였으나, 광업에 관한 법령은 없었다. 조선 말기 1896년(고종 33)에 비로소 광업에 관한 법령으로 사광개채굴조례(砂鑛開採掘條例)를 제정 실시한 것이 광업법규의 시초이다. 그후 미국의 운산 금광개발특허와 일본 통감부의 자극으로 광무행정이 급선무임을 깨닫고, 1905년(광무 9)에 광업법을 제정 발표하였다. 일제강점기에 광업은 외국인의 손에 의하여 활발하게 되어 1915년 12월 제령(制令) 제8호로 조선광업령을 공포·실시하고, 동 시행규칙, 조선광업등록규칙 및 제반 부수규칙을 제정 실시하다가 8·15광복을 맞이하였다. 건국 후 국내 사정의 정비관계로 새로운 광업법 제정이 지연되어 오다가 1951년 12월 23일 전시임에도 불구하고 법률 제234호로 한국의 광업법이 공포되었다. 그러나 광업개발 보호육성에 필요한 광산보안법은 제정이 지연되다가 1963년에 제정되었다. | 鑛山保安法 |
101 | 광산보안법감독기관 | 광산보안법 제3장에 규정되어 있는 광산보안에 대한 감독기관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광산보안관〉 외교통상부에서 광산보안에 관한 업무를 관장하고, 광산보안의 감독지휘를 한다. 외교통상부 설치법에 따르면 광산보안에 관한 관장업무는 ① 광산에서 사람에 대한 위해의 방지(위생에 관한 통기 및 재해시에 있어서 구호 포함), ② 광물자원의 보호, ③ 광산시설의 보존, ④ 광해의 방지, ⑤ 광산에서 보안기술의 개선, ⑥ 광산보안법에 관한 교육 등이다. 현장 부근에 외교통상부 광산보안 관리관실 산하에 5개광산보안출장소, 즉 영동지구(황지 지구)에 영동광산보안 출장소, 영서지구(고한·정선·영월 지구)에 영서 광산보안출장소, 중부지구(점촌·단양·충주·대구 지구)에 중부광산보안 출장소, 서부지구(서울·경기·충남 지구)에 서부 광산보안출장소, 남부지구(제주·전남·전북·경남 일원)에 남부 광산보안출장소가 있다. 관내 광산의 보안에 관한 업무, 시설의 성능검사, 광산보안관에 의한 순회감독, 보안사상 및 보안기술의 지도를 한다. 광산재해 발생시에는 광산보안관에 의한 재해상황 및 원인 조사를 하고, 보안법규 위반의 유무, 재해책임의 소재를 확실하게 하며 장래의 재해방지를 위한 자료로 사용한다. 광산보안 감독행정의 중요한 점은 인명 존중에 입각한 사람에 대한 위해 방지에 있다. | |
102 | 광산보안위원회 | 광산 보안에 관한 산업자원부 장관의 자문 기구로 산업자원부에 광산 보안 위원회를 두고 있다. 이 위원회의 업무와 구성 및 기타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인 광산 보안법 시행령에 규정되어 있다. | 鑛山保安委員會 |
103 | 광산재해 | 광산에서의 사상자 또는 시설의 파손 및 자원의 손실 등을 수반하는 사고를 말한다. | 鑛山災害, Mine disaster |
104 | 광산지리정보시스템 | 광산개발도면, 광산 및 광해 자료, 수치지도 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한 광산관련 정보시스템으로 구축 후 국토개발 및 광산지역 개발시 기초자료로 활용키 위한 시스템을 말한다. << 광상의 분류(생성과정) >> ①화성 광상 ·정마그마 광상 ·페그마타이트 광상 ·접촉교대 광상 ·열수 광상 ②퇴적 광상 ·화확적 퇴적 광상 ·유기적 퇴적 광상 ③변성 광상 ·암석의 변성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광상 ④표성 광상 ·풍화 잔류 광상 ·사광상 | 鑛山地理情報System,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105 | 광상 | 지각 내에 어떤 암체가 유용 광물로 농축되어 경제적으로 개발 가치가 있을 때 이를 광상이라 한다. 광상은 어떤 특정 성분이 지질 작용이 진행되는 동안에 농집된 것을 의미하며, 광상의 분류는 생성과정에 따라 나누어진다. | 鑛床, Ore deposit |
106 | 광석 | 채굴 대상이 되는 유용 광물을 광석이라하고, 광석 중에 포함된 쓸모 없는 광물을 맥석이라 한다. 석영맥에 구리, 아연 등의 금속 광물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우리가 필요한 것은 금속이므로 구리, 아연 광물이 광석 광물이고, 석영은 불필요한 것이므로 맥석 광물이 된다. 광석은 금속 광물 뿐만 아니라 장석, 석면, 점토 등 비금속 광물도 있으며, 오늘날에 와서는 석회석과 같은 암석도 시멘트 원료 광석으로 이용된다. 광석이 경제적 가치를 가진다는 것은 일정한 채굴량에 들어 있는 유용 성분의 함유량에 따라서 결정된다. | 鑛石, Ore |
107 | 광소 | 광상의 분류법 중 형태에 의하여 분류할 경우 불규칙적 광상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작고 불규칙한 모양을 가진 광괴이다. | 鑛素 |
108 | 광액 | 분말상의 광석(또는 석탄)과 물과의 혼합물로 현탁액의 상태로 있는 것을 말한다. | 鑛液, Pulp |
109 | 광업 | 유용광물을 탐사(탐광)하고, 이것을 채굴(채광)해서 유용광물과 폐석을 선별(선광)하여 그 정광(精鑛)을 제련하는 산업. 광업은 농업과 함께 인간문명 발전의 기간(基幹)을 이루는 2대 산업이다. 농업이 인간에게 생명을 유지하게 하는 음식을 제공해 준다면, 광업은 생활을 영위하게 하는 자재·원료·연료 등을 제공해 주고 있다. 즉, 돌·시멘트·철과 같은 건축자재, 구리·철·납·아연·황·흑연과 같은 공업용 원료, 석탄·석유·천연가스와 같은 연료, 칼륨 ·인산 ·질소와 같은 비료원료, 금·은·다이아몬드·루비·청옥과 같은 보석류, 그리고 우라늄과 같은 핵분열물질 등을 인간에게 공급해 주고 있다. | 鑛業, Mining |
110 | 광업개발심의회 | 광업 정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산업 자원부에 광산 개발의 중요 정책 사항을 심의하고 자문을 구하기 위하여 광업 개발 심의회를 두게 되어 있으며, 이 심의회의 구성, 운영,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이상과 같이 정부가 광업을 육성, 보호하고 관리와 감독을 철저히 할 수 있도록 명백히 규정해 둠으로써 광산 개발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 鑛業開發審議會 |
111 | 광업권 | 등록을 받은 일정한 광구(鑛區)에서 등록을 받은 광물과 이와 동일 광상중(鑛床中)에 부존(賦存)하는 다른 광물을 채굴하며 취득하는 권리(광업법 5조). 광업원부에 등록함으로써 성립하는 것으로 물권으로 간주된다. 다만, 상속 ·양도 ·저당 ·조광(租鑛) ·체납처분과 강제집행 이외에는 권리의 목적으로 할 수 없다(12 ·13조). 광업권의 설정을 받고자 하는 자는 광업권 설정출원서(設定出願書)를 통상산업부 장관에게 제출하여 허가를 받아야 한다(17조, 동시행령 13조). 다만, 설정출원은 매광구별로 하여야 하며, 동일한 광구에 동종(同種) 광물의 광업출원(鑛業出願)이 중복된 경우는 선출원자(先出願者)에게 우선적으로 허가하여야 한다(21조). 허가를 받은 경우에는 통상산업부 광업등록사무소에 등록세 영수증 등을 첨부하여 등록을 신청하여야 한다(시행령 48조). 광업권의 존속기간은 25년을 원칙으로 하되 기한만료 전에 통상산업부 장관의 허가를 받아 존속기간을 연기할 수 있다. 다만 매차(每次)의 연기기간은 25년 이내로 한다(14조). 광업권은 대한민국 국민과 대한민국의 법률에 의하여 설립된 법인 및 국회의 동의를 얻어 정부가 특히 인허(認許)한 외국인 및 외국 법인(外國法人)에 한하여 향유할 수 있다(6조). | 鑛業權 |
112 | 광업권자 | 광업권은 개인의 명의로 등록할 수도 있고, 1개의 광구를 2명이상이 공동으로 가질 수 있도록 정해 두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각 개인을 공동 광업권자라 하고, 광업권에 대한 제반 권리 행사와 의무 이행에 대하여 공동으로 권한과 의무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광업권자 상호간에 하등의 계약을 하지 않아도 민법상의 조합과 같은 성질의 것으로 규정되어 있기 때문에, 만일 광업권을 이전할 때에도 공동 광업권자의 확인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국가가 각 공동 광업권자에게 일일이 명령이나 지시 사항을 전달하기에는 사무적으로 복잡하므로 공동 광업권자 중에 대표자를 선정하게 되어 있다. | 鑛業權者 |
113 | 광업권제도 | 우리나라와 같이 광업권주의를 택하는 나라에서 광물의 합리적인 개발을 도모하고, 토지로부터 광물을 채굴하여 취득할 수 있는 권한을 토지 소유권과 분리하여 광업권이란 귄리를 국가가 부여하는 법적 제도를 말한다. 이 제도는 광물 자원이 한정된 자원인 동시에 국가 경제의 주요한 기본 자원이므로 국가적인 차원에서 조정할 필요가 있고, 지하 자원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채굴의 권한을 토지 소유권과 분리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거기에다 광물 자원의 개발에 따른 위험성과 특수성으로 인하여 국가의 충분한 보호와 지도의 필요성이 있는 점 등을 감안하여 광업권 제도가 설정되었다고 할 수 있다. | 鑛業權制度 |
114 | 광업권존속기간 | 1)광업권의 존속기간은 25년을 초과할 수 없다. 2) 광업권자는 광업권의 존속기간만료전에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산업자원부 장관의 허가를 받아 광업권의 존속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이 경우 매차(每次)의 연장기간은 25년 이내로 한다. | 鑛業權存續其間 |
115 | 광업권주의 | 비단 토지의 소유자라 하더라도 광업권이 없으면 광물을 채굴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을 채택하는 것을 광업권주의라 한다. | 鑛業權主義 |
116 | 광업권출원 | 광업권 출원이란 광업권을 설정코자 하는 의사표시라고 할 수 있다. 광업권을 부여하는 방법은 영국등지에서 이루어지는 사계약(私契約)에 의한 원칙을 제외하면 대별하여 선원주의(先願主義)와 능력주의(能力主義)의 두 법제가 실시되고 있는데 선원주의를 기초로 하는 경우에는 미국, 카나다, 필리핀 등과 같이 광구 선점을 요건으로 하는 경우와 독일, 칠레, 일본, 대만, 한국 등에서와 같이 국가기관에 제출하는 원서의 선·후에 의해 결정하는 경우 및 광물발견자주의를 가미하는 경우 등으로 그 내용에도 차이가 있다. 광업에 대한 개발능력을 고려하여 권리를 부여하는 제도인 능력주의를 채택하고 있는 국가로는 프랑스, 이태리, 태국 등을 들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산업자원부 광업등록사무소에서 광업권 설정출원을 받고 있는데 먼저 광업권 출원신청서를 제출하는 사람에게 광업권을 설정할 수 있는 우선권을 주는 선출원주의를 채택하고 있다. 동시에 광업권을 출원하는 경우에는 추첨에 의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하게 된다.(1) 근거법령 : 광업법 제17조제1항, 동법시행령 제8조 제1항 제2항, 동법시행규칙 제8조(2) 민원인이 해야할 사항1) 1차 제출서류 ① 출원서 1부② 주민등록초본 1부 또는 주민등록증(개인의 경우) ③ 법인등기부등본 1부 (법인의 경우)2) 2차 제출서류 ① 광상설명서 1부(출원일로부터 6개월 이내) 3) 수수료 및 기타비용의 납부 (3) 유의사항 광업권설정출원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광상설명서를 제출하여야 하며, 기한내에 제출하지 않을 경우 각하처분됨(광업법시행령 제18조 제2항) | 鑛業權出願 |
117 | 광업대리인 | 광업권자 또는 조광권자가 광산 개발을 직접 관리할 수 없을 때, 광업 대리인을 선정하여 이 광업 대리인에 대한 권한의 범위를 정하여 기재하고, 광업 대리인과 연서하여 산업 자원부 장관에게 신고해야 한다. 그러나, 광업 대리인은 광업의 관리, 운영에 국한된 위임 사항으로서, 광업권의 권리 변동 등에 대해서는 관여할 수 없으므로 대리인에게 모든 권한이 주어진 것은 아니다. | 鑛業代理人 |
118 | 광업자금융자 | 민영광산의 광업권자 및 조광권자에게 자금을 융자지원 하는 것으로서, 융자는 시설자금과 운영자금의 2종류가 있다. 운영자금은 일반운영자금과 단기성 운영자금으로 구분하면 일반운영자금은 대한광업진흥공사법 제12조 제3항의 규정에 의한 광산평가 결과에 따라 융자하는 운영자금이며, 단기성 안정자금은 일시적인 자금난 해소를 위하여 융자하는 단기성 운영자금을 말한다. | 鑛業資金融資 |
119 | 광업조정위원회 | 이의 신청 사항을 심의, 의결하기 위하여 산업 자원부 산하에 광업 조정 위원회를 두게 되어 있고, 이 위원회의 위원은 경험과 지식이 많은 사람 중에서 장관이 위촉하게 되어 있으며, 그 기능과 운영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이 위원회에서 이의 신청에 대한 심의를 한 결과 이유 있다고 인정되면 그 행정 처분에 대한 시정을 할 수 있도록 장관에게 제의하고, 이유 없다고 의결된 때에는 그 신청인은 1개월 이내에 행정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 鑛業調定委員會 |
120 | 광역변성대 | 광역변성작용을 받아서 변성된 지대. 조산대의 중추부를 이루며, 대개 띠 모양으로 분포하고 있다. 이 지대는 규모가 크고 반드시 조산운동과 더불어 형성될 뿐만 아니라, 변성도가 여러 가지로 다른 변성암이 규칙적으로 띠 모양을 이루며 분포하는 것이 특징이다. 광역변성대와 변성암의 다이성(多異性)은 변성암을 형성시킨 물리적 조건이 다양하기 때문이다. 광역변성대의 변성암 연구는 조산운동의 역사를 규명하는 데 중요하다. | 廣域變成帶, regional metamorphic belt |
121 | 광역변성암 | 광대한 지역에 변성작용이 일어나서 조직이나 광물의 일부 또는 전부가 변화한 암석. 광역변성작용은 수백㎞까지에 이르는 광대한 지역에 변성암이 생성되는 현상으로서, 조산운동의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이 경우에는 지각운동 때문에 암석이 지하 깊숙이 치밀려 들어가거나 화성암마그마의 관입(貫入)으로 인해서 기존의 암석을 구성하는 광물 사이에 반응이 일어나, 그 전과는 다른 새로운 광물과 조직이 생기어 암석의 성질이 변화한다. 이렇게 해서 생성되는 광역변성암은 두드러진 방향성(方向性) 조직, 곧 편리(片理)나 줄무늬 모양 구조를 가진 결정편암(結晶片岩)이나 편마암(片麻岩)이 된다. 광역변성작용에서는 온도와 함께 압력도 중요한 요인이어서, 온도와 압력의 비(比)에 따라 고압저온형(高壓低溫型), 중압형(中壓型) 및 저압고온형 등 몇 가지 경우로 나눌 수 있다. 고압저온형 광역변성작용에서는 남섬석(藍閃石), 로손석(石), 비취휘석 등의 고압(高壓)광물이 생성된다. | 廣域變成岩 |
122 | 광차 | 광산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광차는 광석이나 석탄을 운반하는 용기로서, 그 종류는 철재와 목재가 있으며, 큰 광산에서는 대개 철재 광차를 쓴다. 철재 광차의 용량은 1톤에서 5톤까지 여러 종류가 있으나, 국내 광산은 주로 1톤과 3톤 용량의 광차를 사용하고 있다. 광차는 충격이나 마찰 또는 부식 등에 강하고, 운전 중 탈선이 잘 되지 않으며, 수명이 길고 값이 싼 것일수록 좋은 광차라 할 수 있다. 2대 이상의 광차를 연결할 때에는 광차에 장치된 링에 핀을 꽂아 연결시키게 되어 있으며, 만일 사갱에서 링이나 핀이 파손될 경우에는 큰 사고가 일어나게 되므로 항상 정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 탄광에서는 달리 탄차(炭車)라고도 한다. | 鑛車, Mine car |
123 | 광천 | 광물성 물질 ·방사성 물질 등을 함유한 용천(湧泉). 제2차세계대전전에는 일반적으로 체온보다 높은가 낮은가에 따라 온천과 광천을 구분해서 불렀으나 광천이라는 개념에는 온천도 포함된다. 광천은 함유된 성분에 따라 단순탄산천 ·알칼리천 ·산성천 ·방사능천 등으로 구분한다. 온천수 ·냉천수는 옛날부터 약수로 쓰이거나 여러 가지 병에 효과가 있는 목욕물로 쓰였다. | 鑛泉, mineral spring |
124 | 광층 | 수성암이 생성될 때 광물이 함께 침전되어 지층 속에 낀 층상의 광상이며, 그 모양이 불규칙하고 두께보다 넓이가 작은 것을 말한다. 광층 중에서 두께가 균일하고 두께보다 넓게 퍼져 있는 것을 층(seam)이라 한다. 예를 들면 석탄은 대개의 경우 층으로 되어 있다. 이탄은 지표 부근에서 산출되나, 다른 석탄은 보통 사암(sandstone), 셰일(shale) 등의 사이에서 층상으로 산출되는데, 이것을 탄층(coal seam) 이라 한다. 탄층을 가지고 있는 지층을 협탄층이라 하며, 그것이 있는 곳을 탄전(coal field)이라 한다. | 鑛層, ore bed |
125 | 광학선별법 | 남아프리카의 다이아몬드 선별용으로 고안된 것임. 맥석 광물들은 표면에서만 빛을 반사하나 다이아몬드는 내부에서도 빛을 반사, 산란시킨다는 성질을 이용하여, 이동 벨트의 최종 간격으로부터 산란광이 나올 때마다 전자 회로를 이용, 문을 열어 다이아몬드만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 鑛學選別法 |
126 | 광해 | 1)광해란 광산 개발로 인하여 지표 시설물이나 경작지 또는 지표의 환경에 끼치는 일체의 손해를 말한다. 2)광물의 채굴을 위한 토지의 굴착, 갱구 혹은 폐수의 방류, 폐석(사석)또는 광체의 퇴적, 광연의 배출 등에 의하여 제삼자에게 미치는 불이익을 말한다. 1. 재해(災害) 광산은 지하 깊은 곳에서 작업을 하게 되므로 다른 산업에 비해 재해율이 높다. 재해의 종류는 낙반, 출수, 가스폭발, 갱내화재, 화약류 등 여러 가지가 있으며, 이와 같은 재해가 많이 발생하는 이유는 평소 보안 법규나 규칙을 잘 이행하지 않는 데 원인이 있으므로, 항상 철저한 보안 교육과 훈련을 실시해야 한다. 2. 구조(救助) 일단 재해가 발생하면 구조를 해야 하는데, 구조란 인명을 구하고 응급 처치를 하는 것을 말하며, 사고 지점에서 병원으로 옮기는 데 시간이 걸리므로, 그 동안에 응급 처치를 함으로써 생명을 구하게 하는 방법을 습득해야한다. 응급 처치에는 지혈법, 충격을 받았을 때의 조치, 질식했을 때의 인공 호흡법 등을 들 수 있다. | 鑛害, Injurious from miining |
127 | 광해배상제도 | 광해는 단시일 내에 발생되는 것이 아니라 오랜 세월에 걸쳐 광산 개발과 더불어 서서히 발생하고, 또 광해의 정도도 산정하기가 어려울 뿐 아니라, 광해에 대한 광업권자와 피해자 간의 견해가 상반되기 때문에 광해 배상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와 같은 견지에서 일반 민법상의 손해 배상과는 달리 광업법에 광해 배상 제도를 둠으로써 피해자를 보호하도록 했다. 민법의 손해 배상 제도와 광해 배상 제도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가) 광업에 의하여 일어나는 광해라도 광업법에 해당되는 광해 이외에는 일반 민법상의 손해 배상이 적용된다. (나) 민법은 불법을 행한 당사자가 책임지나, 광업법상 광해는 손해 발생 당시의 권리자가 책임진다. (다)광해는 금전 배상뿐만 아니라 원상 복구해야 할 의무를 지는 경우가 많다. (라)광해 배상 의무는 공동 광업권자뿐만 아니라, 광산 개발에 관계된 자에 대한 넓은 범위의 연대 책임을 지게 된다. (마)광산보안법을 광해 방지책의 일환으로 채택하고 있다. (바)광해에 대해서는 민법의 적용을 받기 전에 광해 조정 제도를 두고 있다. (사)광해 배상 규정은 과실의 유무를 따지지 않고 획일적으로 배상 의무를 부과시킨다. | 鑛害賠償制度 |
128 | 괴광 | 덩어리 광석을 괴광이라 한다. 보통 15㎜ 이상의 광석을 말한다. 분상의 것을 분광이라 하면 5-15㎜정도의 것을 분광이라 하고 5㎜이하의 것은 임광이라고 한다. | 塊鑛, lump ore |
129 | 괴상광상 | 불규칙한 모양을 한 광상. 길이 ·폭 ·두께가 거의 같다. 층상광상(層狀鑛床) ·맥상광상(脈狀鑛床)에 대응하는 말이다. 광상의 형태만을 나타내며, 금속광상이나 비금속광상이나 어느 쪽에도 사용된다. 괴상의 뜻에는 엄밀한 정의(定義)가 있는 것이 아니고 층상 ·렌즈상에 가까운 형태의 것도 괴상이라 부르는 경우가 있다. 접촉교대광상(스카른 광상)은 괴상광상의 한 예이다. | 塊狀鑛床, massive |
130 | 괴탄 | 덩어리로 된 석탄으로서 발열량은 6,300∼6,500㎉/㎏정도로 분탄 보다 높으며, 규격별로 소괴(15∼40㎜), 중괴(40∼60㎜), 대괴(65㎜이상)로 분류된다. | 塊炭 |
131 | 교질다이너마이트 | 달리 젤라틴 다이너마이트라고도 하며, 약면약에 니트로글리세린을 배합한 것을 말함. 블라스팅 젤라틴은 니트로글리세린 함유량 92-93%, 약면약 7-8%로 조성 되어 있고, 폭발 온도 4500℃, 폭발속도 7000m/s정도로 가장 강력한 다이너마이트이다. | |
132 | 교환정보제도 | 어느 사업소에서 폐기물이라 할지라도 다른 기업에서는 유용할지 모른다. 그래서 이러한 정보를 수집하고 알선하는 것이 교환정보제도이다. | 交換情報制度 |
133 | 구호대 | 갱내의 가스 중 일산화탄소가 가장 무서운 가스로서, 갱 안의 일단 가스 중독자가 발생했다면 즉시 구호대를 조직하여, 산소 호흡기를 착용시켜 생존자를 구해야 한다. 산소 호흡기는 평소 보관중에도 점검을 철저히 하지 않으면 안된다. 만일, 갱 안에서 사고가 발생하여 산호 호흡기를 갑자기 사용하려 할 때, 산소가 없어졌거나 밸브가 열리지 않는다면 큰 위험을 당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평소에 유지, 관리를 철저히 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 두어야 한다. | 救護隊 |
134 | 국영광업 | 국가는 산업 자원부 주관하에 국가에서 만든 기관인 대한 석탄 공사, 대한 광업 진흥 공사 및 대한 석유 공사로 하여금 광업을 직접 경영할 수 있도록 법으로 정해 두었으며, 이와 같이 국가 기관이 광업을 직접 경영하는 것을 국영 광업이라 한다. 이 국영 광업체도 광업법의 적용을 그대로 받아야 하므로 광업권자나 조광권자가 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 國營鑛業 |
135 | 국제협력조사 | 자원보유 개도국 등 자원관련 전문기관과의 광물자원 공동 탐사 실시로 유망프로젝트 조기 발굴을 위한 사업을 말한다. | 國際協力調査 |
136 | 굴진능률 | 굴진기능원 1인이 1교대(8시간)작업 기준 중 암석을 절취하여 진행시킨 굴진 진행장(M/공)을 말한다. | 掘進能率 |
137 | 굴진부 | 암석갱도를 굴진 하는 작업원을 말한다. "갱부"참고 | 掘進夫 |
138 | 굴진증구 | 굴진증구란 광업권자가 굴진하고 있는 광상이 인접한 타인의 광구에 연속되었을 때 그 광상의 완전하고 합리적인 개발을 위하여 인접 광구의 광업권자, 조광권자 또는 저당권자의 승낙을 얻어 일정한 광구의 증가를 출원하는 것을 말한다. | 掘進增口 |
139 | 굴착 | 채광의 근본이 되는 작업으로서 광상의 채굴 및 그에 따른 토사, 암석을 채굴하는 것을 말한다. 굴착 작업에서 암석이나 광석이 잘 부서지는 것과 부서지지 않는 것이 있는데, 이러한 차이는 그 암석이나 광석이 가지는 저항 때문이다. 이 저항은 주로 두 가지 성질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그 암석이나 광석이 가지는 굳기이고, 다른 하나는 인성, 즉 밀착력이다. | 掘鑿, excavation |
140 | 굴착용권양기 | 수갱굴착은 수직으로 굴착해 내려가야 하므로 굴착과 축벽을 위한 여러 가지 장비가 준비되어야 하는데 이때 굴착용 권양기와 권양탑이 설치되어야 한다. | 掘鑿用捲楊機 |
141 | 권양기 | 광산에서는 와이어 로우프에 의한 운반이 많다. 사갱이나 수갱에서 권양기로 광차나 케이지 또는 스킵을 운반할 때 로우프를 사용하여 운반한다. 이 로우프는 가는 소선(wire), 즉 철사를 꼬아서 자승(strand)을 만들고, 다시 이 자승을 여러 개 꼬아서 만든 것으로서, 철사의 수를 본 수로 표시하고, 자승의 수를 연으로 나타내게 되어 있다. | 捲楊機, Hoist |
142 | 권양기탑 | 수직갱(垂直坑)의 카페 감기에서 윈치를 직접 그 위에 설치한 탑.수갱굴착은 수직으로 굴착해 내려가야 하므로 굴착과 축벽을 위한 여러 가지 장비가 준비되어야 하는데 이때 굴착용 권양기와 권양탑이 설치되어야 한다. 윈치 설치장소를 크게 나누면, ① 케이지에 출입하는 탄차(炭車)의 진행방향에 대해 권양대의 뒤쪽 지상(地上), ② 권양대의 옆쪽 지상, ③ 권양대의 탑두(塔頭) 등인데, ③의 경우에 사용되는 것이 이른바 권양탑이다. 갱구 부근이 좁거나 지질이 약하여 권양기를 설치할 수 없는 경우 또는 다강권양(多綱捲揚)을 할 경우 등에 이용된다. | 捲揚機塔, winding machine tower |
143 | 규사/규석 | 1)순수한 석영에 가까운 모래나 암석으로서 유리 제품의 주원료이지만, 최근에는 반도체 재료인 실리콘의 원료 광물로서 많이 이용되며, 시멘트부원료, 유리용, 주물용, 타일시멘트, 코티드 샌드용 등으로 사용된다. 우리나라는 자원이 풍부하므로 정제 기술이 발전되면 귀중한 자원이 될 수 있다. 2)국내에 매장량이 풍부한 광물중의 하나이며, 전국적으로 널리 분포되어 있다. 산출상은 석영맥, 장석과 석영이 혼재하는 페그마타이트, 퇴적기원의 사암이 번성을 받아 형성된 규암층·사암층이 주로 이루고 있다. | 硅砂/硅石, silica sand |
144 | 규산염광물 | SiO4 사면체 구조를 기본골격으로 하는 결정구조의 광물이다. 사면체는 각기 독립되기도 하고 하나나 둘 또는 여러개의 산소원자를 이웃하는 사면체와 공유함으로써 기본골격의 구조를 달리한다. 석영, 장석, 운모, 각섬석, 기타 주요 조암광물은 거의 규산염 광물이다. | 硅酸鹽鑛物 |
145 | 규조토 | 주로 규조의 유해(遺骸)로 된 연질(軟質)의 암석 또는 토양. 바다에 사는 단세포 동물의 일종인 규조류가 쌓여서 된 것으로, 성분은 함수규산(SiO2)질이다. 연마제, 여과, 정제, 열, 소리 등의 차단제로 이용되며, 전세계적으로 산출 지역이 많다. 해수에서 생성된 것과 담수성의 것이 있으며, 양질의 것은 이산화규소 SiO2를 90% 이상 함유하고 있다. 세계적인 산지는 미국의 캘리포니아 ·오리건 등이며, 그 다음이 독일 ·프랑스이다. 니트로글리세린 등과 같은 폭발제의 흡수제 및 촉매운반체 ·탈지제(脫脂劑) ·흡착제 ·여과제 ·소성단열재 ·시멘트 혼화제 ·연마재 등으로 쓰인다. 우리나라는 경상 북도 영일 지역에서 많이 생산되며, 1980년의 생산량은 약 25,000톤이었다. | 硅藻土, diatomaceous earth |
146 | 규칙광상 | 맥상과 층상의 광상을 말한다. 다만, 맥상 광상 중에서도 품위 및 형태가 심히 불규칙적일 경우에는 불규칙 광상으로 간주할 수 있다. | 規則鑛床 |
147 | 그레이트볼밀 | 실린더형 밀이며, 밀 내에서 빻아진 광석이격자를 통하여 배출된다. 이 종류의 밀에는 마시 밀(Marcy mill)과 앨리스 차머스 밀(Allis Chalmers mill)이 있으며, 이 두 밀의 차이점은 격자 구조에 있다. | |
148 | 그뢴달습식자력선별기 | 미세한 자철광의 광액을 공급하면 수면과 접촉한 원통형 밑에 미분의 철광석이 붙는 장치. | |
149 | 그리즐리 | 주로 원광을 조쇄기에 공급하기 전에 작은 광석을 제거할 목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서 그리즐리라 하는 가장 간단한 체 장치가 있는데 고정체에 속한다. 보통 35-150mm정도의 간격으로 강철대가 그림과 같이 평행으로 놓여 있다. 경사는 보통 25-50°정도이고, 위에서 광석이 중력으로 미끄러져 내려오는 사이에 작은 광석은 밑으로 빠진다. 광산에서는 흔히 레일을 뒤집어서 그리즐리를 만들어 이용하는 곳이 많다. | |
150 | 금강광택 | 광물의 표면이나 쪼개진면에서 반사되는 빛으로서 다이아몬드 광택을 말함. | 金剛光澤 |
151 | 금속광석 | 광산에서 채광되어 나온 광석을 원광이라 하는데, 여기에는 두가지가 있다. 즉, 광석 중에 함유되어 있는 유용 성분을 제련하여 금속을 추출하고자 하는 것을 금속 광석이라 한다. 그리고 광물을 그대로 또는 선별하여 공업 목적으로 이용하는 것을 비금속 광석이라고 한다. | 金屬鑛石 |
152 | 금속채취 | 침출액 혹은 정액된 용액으로부터 환원에 의해서 목적 금속을 화학적으로 채취하는 조작을 말한다. | metal recovery |
153 | 급광 | 선광 계통에 있어서 선광을 받기 위해서 기계로 공급되는 광석을 말한다. | feed |
154 | 기계배수 | 하천보다 낮은 곳에 있는 갱도에서는 갱내수를 갱 안의 일정한 장소에 모아 펌프로써 갱 밖으로 배출시켜야 하며, 이와 같이 기계력을 이용하여 배수시키는 것을 말한다. | 機械背水 |
155 | 기계분급기 | 분급하고자 하는 광액을 경사진 밑바닥면을 가진 긴 분급통에 연속적으로 넣어서, 굵고 무거운 광립을 분급통의 밑바닥에 가라앉히고, 입도가 작은 가벼운 광립은 물과 함께 넘쳐 흘러 나가도록 설계되어 있다. 가라앉은 광사는 기계 장치로 연속적으로 긁어 올려 분쇄를 위하여 마광기에 다시 급광한다. | |
156 | 기계통기법 | 갱내의 통기방법 중 하나로서 작업장소가 깊어지고, 갱내 규모가 커지면 자연 통기법으로는 통기시킬 수 없게되므로 기계력, 즉 선풍기를 달아서 갱내 공기를 뽑아 내도록 한다. 갱도 내에 공기가 흐를 때 여러 가지 원인으로 마찰이 생기게 되고, 이로 인하여 압력 강하가 생기게 된다. 갱내 통기의 경우, 이 압력 강하는 부압으로 표시하고, 단위는 수주로 표시하게 된다. 이 부압이 크면 클수록 선풍기의 용량이 큰 것을 설치해야 하므로, 갱 안에 공기가 흐를 때 될 수 있는 대로 마찰이 적도록 할 필요가 있다. 선풍기의 종류는 원심형 선풍기와 프로펠러형 선풍기가 있으나 주로 원심형 선풍기가 많이 사용되고, 다음과 같은 세가지 법칙을 가지고 있다. (가) 통기량은 선풍기의 회전수에 비례한다. (나) 선풍기에 생기는 부압은 회전수의 제곱에 비례한다. (다) 선풍기의 동력은 회전수의 세제곱에 비례한다. | 機械通氣法 |
157 | 기시루우니 | 비저항법에 사용되는 기기로서 직류형 비저항기의 한 유형이다. | Gish Rooney |
158 | 기초조사 | 광물의 부존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최초단계의 조사로 유용광물의 부존 여부 및 개략적인 품위 등을 파악하는 것을 말한다. | 基礎調査 |
159 | 기포제 | 부유 선광법에서는 물 속에 작은 기포를 많이 만들어야 한다. 이때 사용하는 것이 기포제이다. 기포제는 물에 극소량 용해하여 물의 표면 장력을 낮추어 줌으로써 기포의 발생을 쉽게 해 주는 것으로 대부분 유기물질이다. 부기로서 파인유와 MIBC가 기포제로 많이 사용된다. | |
160 | 기폭약 | 폭발 감도가 대단히 높은 물질로서, 작은 충격이나 열에 의하여 쉽게 폭발하는 화약류를 말한다. 한 예로서, 다이너마이트 등과 같이 폭발 감도가 낮은 공업용 폭약을 폭발시키기 위해서는 기폭약이 들어 있는 뇌관을 사용하여야 한다. 기폭약에는 풀민산수은(Ⅱ)(뇌홍), 아지화납, 디아조디니트로페놀, 트리시네이트, 테트라센 등이 있다. | 起爆藥 |
161 | 기폭제 | 화약류의 감도가 낮아 폭발하기 어려운 화역류를 폭발시킬 때 사용하는데, 기폭제에는 감도가 높은 뇌홍과 아지화납, 디아조니트로페놀 등이 있고, 공업용 뇌관의 제조에 사용된다. | 起爆製 |
162 | 나사식급광기 | 나사수송기의 축소형이다. | screw feeder |
163 | 나선형분급기 | 반원통형의 탱크를 비스듬히 설치하고 그 안에 광액을 급광하여 분급하는 것으로, 레이크 분급기의 레이크 역할을 비본 모양의 나선형으로 하게 되어 있다. 통 밑바닥에 침적된 굵은 입자는 나선이 회전하여 위로 밀어 올려져 상단에서 배출되는데, 이 나선은 축에 가까운 중심부 쪽이 비어 있기 때문에 물이 잘 빠지며, 나선 리본이 레이크 분급기의 레이크와 비슷한 역할을 하여 분급의 효과가 크다. | spiral classifier |
164 | 낙반 | 갱도 ·막장 등에서 천장의 암반 부분인 천반(天盤)의 암석이 떨어지는 현상. 작은 규모의 것은 낙석(落石) 또는 낙탄(落炭)이라 하고, 갱내공간의 주벽이 낙하하는 것을 붕락(崩落)이라고 하는데, 이것들을 총칭하여 낙반이라고 한다. 광산재해 중에서 낙반에 의한 재해는 가스 ·탄진폭발 ·출수재해 등에 비하면 규모는 작은 편이다. 낙반재해는 금속광산에 비해서 탄광의 경우가 많은데, 이것은 암석층이 약하여 붕괴되기 쉽기 때문이다. 탄광 중에서도 낙반재해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곳은 채탄막장이고, 다음이 갱도굴진 또는 갱도보수작업시에 발생한다. 채탄작업장에서는 작업중에 천반을 받치고 있는 지주재(支柱材)의 붕괴 또는 파손에 의한 낙반, 지주와 지주 사이의 공간에서의 낙석 등이 많다. 굴진작업장에서는 지보(支保) 준비중의 붕괴, 지보 파손에 의한 낙반, 축벽 붕괴, 무지보에 의한 천반붕락 등이 많다. 낙반재해의 직접적인 원인은 적절한 지주의 결여, 지보 불충분 또는 지주보수 불량, 지보작업 방법과 순서의 잘못, 지보 ·천 | |
165 | 낙반재해 | 막장에서 지주를 하지 않은 채 작업을 하거나 발파 후 부석 처리를 잘못하였을 때 일어나게 되며, 그밖에 위험한 갱도의 지보를 보수하지 않을 경우 붕락되어 사고를 내게 된다. | 落磐災害 |
166 | 난동다이너마이트 | 니트로글리세린의 10%를 니트로글리콜로 치환하면 -1.0℃이상의 기후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말함. | |
167 | 납기둥시험 | 높이와 지름이 각각 200㎜인 납기둥의 중심에 지름 25㎜, 깊이 125㎜(부피 61㎖)의 구멍을 뚫고, 여기에 10g의 폭약을 넣는다. 시료 폭약의 지름이 24.5㎜가 되도록 성형하여 주석 종이로 싸고, 8호 뇌관을 끼원 도화선을 연결한다. 그 다음, 구멍을 모래로 메우고 폭발시킨다. 폭발한 다음에는 납기둥을 거꾸로 세워 모래를 없애고, 바로 세워 냉각한다. 냉각이 끝나면 물을 사용하여 확대된 부피가 얼마인지를 측정한다. 폭발한 후 납기둥 부피에서 구멍의 처음 부피를 빼면 확대된 부피가 나온다. | |
168 | 납석 | 일명 엽랍석이라고도 하며, 고온에 견디는 성질, 즉 내화도가 높기 때문에 납석 소비의 대부분은 내화 벽돌 제조나 요업 재료로 이용된다. 납석은 연질 광물로서, 쉽게 분쇄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살충제의 분산 충전제로도 이용된다. 엽랍석은 전라 남도와 경상 남도 지방에 많이 부존되어 있는데. 총 매장량은 약 5천만톤으로 추정된다. 1980년 우리 나라의 납석 총 생산량은 약 54만 톤이었으며, 이 중 약 30만톤은 수출하였고, 국내 수요는 대부분 내화 재료로 소비되었다. 우리나라는 노화도(전남 완도군)의 납석광산이 유명하다. | 蠟石, Pyrophyllite |
169 | 납판시험 | 납판 위에 뇌관을 설치하여 점화시킨다. 이 때, 납판 위에 생긴 폭발 흔적과 구멍이 뚫린 형태를 조사하여 뇌관의 위력을 시험한다. 뇌관이 폭발할 때 생기는 폭발 흔적은 뇌관의 위치와 수직 방향의 위력을 나타내며, 천공 형태는 뇌관과 수평 방향의 위력을 나타낸다. | |
170 | 내화감도 | 화약의 감도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대한 화약의 반응성, 즉 화약류가 외부의 힘에 의하여 폭발하는 성질로서, 화약의 사용, 취급 및 안전도와 깊은 관계가 있다. | 耐火感度 |
171 | 노두 | 지층이나 광상(鑛床) 따위가 지표에 노출되어 있는곳. 탐광(探鑛)을 하는 데 중요한 실마리가 된다. | 露頭, Out crop |
172 | 노르웨이 커터 | 천공수가 많으므로 굳음 암석에 적합하며, 1대의 착암기로 다수의 천공을 해야 한다. | Norway cut,노르웨이 심빼기 |
173 | 노이만효과 | 원뿔 또는 반구형의 금속 라이너(liner)에 폭약을 넣고 폭파시키면, 라이너가 파괴되면서 금속 미립자 무리를 형성하여 거센 흐름(jet)을 형성한다. 이것을 노이만 효과(Neumann effect)라 하며, 미국에서는 먼로 효과(Munro effect)라고도 한다. | Neumann effect |
174 | 노천발파 | 큰 암체의 모양에 따라 발파공의 위치와 방향 및 자유면의 수를 정하고, 특히 지질학적으로 층리와 절 리가 포함된 경우에는 장약 방법과 천공 위치를 잘 선택하여야 한다. 최근에는 석재산업이 활발해짐에 따라 큰 암체에서 암질의 손상없이 다량의 석재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경제적인 발파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 露天發破 |
175 | 노천채굴법 | 광상이 지표에 노출되어 있거나 지표에서 그다지 깊지 않은 곳에 부존되어 있을 때, 지표의 표토를 제거한 다음 지표에서 직접 채굴하는 방법을 노천 채굴법이라 한다. 외국의 경우, 석탄이나 철광산을 이 노천 채굴법에 의하여 채굴하는 곳도 많으나, 우리 나라에서는 석회석 광산이나 규석 광산등에서만 이 채굴법이 채택되고 있다. 이 채굴법은 채굴비가 싸고 작업이 안전하며, 많은 생산량을 낼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으나, 기후와 일기의 영향을 많이 받고, 심도의 제한을 받는 점이 단점이다. 이 노천 채굴법에는 채굴된 광석의 적재 방법에 따라 계단 채굴법, 경사 채굴법, 노천 갱정법 등이 있으나, 우리 나라에서는 거의 계단 채굴법을 적용하고 있다. 이 계단 채굴법은 큰 광체에 높이 15m, 폭 2m정도의 계단을 여러 개 만들어, 이 계단에서 수직으로 장공을 뚫어 발파하여 파쇄된 광석을 기계력으로 적재, 운반하게 되어 있다. | |
176 | 녹암통 | 고생대 석탄기 중엽부터 중생대 초기 트라이아스기에 이르는 동안 한반도에 퇴적된 두꺼운 퇴적층인 평안계(平安系) 최상부에 놓인 지층. 그 분포는 하부 평안계층과 거의 동일하나 영월탄전(寧越炭田) 지역에는 발달되지 않았고 정선 지역에 특히 두껍게 발달되어 있다. 이 통(統)은 구성암석이 주로 녹색을 띠기 때문에 녹암통이라고 한다. 녹색 및 녹갈색 알코즈사암(砂岩), 녹색 및 갈색 사질셰일과 역암(礫岩)이 우세하고, 암록색 셰일이 엷게 층층이 협재(夾在)한다. 대체로 녹암통 하부에는 사암이 많고, 중부에는 사암과 역암이 호층(互層)을 이루며, 상부는 사질셰일과 사암의 호층으로 되어 있다. 녹암층 중에서는 화석(化石)이 거의 나오지 않으며, 육성층(陸成層)으로 보통 석탄층이 발달되지 않았고, 층두께는 평균 500m를 넘는다. 이 층 중에서 삼척 탄전지대에 발달한 것을 동고층(東古層:鄭昌熙, 1969)이라 하고, 황지(黃池) 부근에 발달한 층을 황지층군이라고 하자는 의견(孫致武, 1971)도 있다. | 綠岩統 |
177 | 농축 | 묽은 광액으로부터 수분을 제거하여 50-65% 정도의 고체를 포함하는 광액을 만드는 작업. | 濃縮 |
178 | 농축기 | 묽은 광액에서 대부분의 물을 고체 입자의 침강에 의하여 분리, 제거하는 것을 농축이라 하며, 이 목적을 위하여 만들어진 침강 장치를 농축기라 한다. | 濃縮機 |
179 | 뇌관 | 폭약을 기폭시키는 화공품으로서 공업 뇌관, 전기 뇌관, 총포 뇌관 등이 있다. (가) 공업 뇌관 뇌관 몸체를 구리로 만든 것과 알루미늄으로 만든 것 등이 있으며, 뇌홍(풀민산수은)뇌관, 혼성 뇌관, 아지화납 뇌관 및 디아조디니트로페놀 뇌관 등이 있다. (나) 전기 뇌관 공업 뇌관의 윗부분에 전기적 점화 장치를 한 것이다. 이 뇌관에는 폭발 지연 장치가 없는 순발 전기 뇌관과 폭발 지연 장치가 있는 지발 전기 뇌관이 있으며, 백열 전기 뇌관과 백열 유극 전기 뇌관이 있다. (다) 총포 뇌관 수렵용이나 스포츠용 총의 발사약을 점화시키는 데 사용되는 뇌관을 말한다. | 雷管 |
180 | 뇌홍 | 1800년에 발명되었음. 시안산수은의 이성질체. 뇌산수은이라고도 한다. | 雷汞, Mercury fulminate |
181 | 뇌홍뇌관 | 뇌홍을 구리관 속에 넣어 만든 것으로, 폭발할 때 일산화탄소가 많이 발생하고 발열량이 적은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뇌홍 80-85%와 염소산칼륨 15-20%를 배합하여 가루 상태의 뇌홍 폭분을 만들어 넣은 것을 뇌홍 뇌관이라 한다. | 雷汞雷管 |
182 | 누두공 | 균질한 암반에 적당량의 폭약을 적당한 깊이에 장전하여 발파하면 원뿔모양의 파쇄공이 생겨나는데, 이것을 누두공이라 한다. 누두공의 모양과 크기는 암반의 종류와 폭약의 폭력 및 메지의 정도에 따라 달라지며, 약실의 위치와 자유면의 거리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 crater |
183 | 누두공시험 | 누두공의 크기와 모양을 관측하여 폭약량을 결정하는 자료를 얻기 위한 시험. | crater, test |
184 | 니트로글리세린 | 폭발력이 큰 폭약으로, 순수한 것은 무색 투명하지만 공업용은 담황색을 띤다. 또, 상온에서 냄새와 맛이 없으나, 인체에 흡수되면 해로우므로 취급할 때 주의하여야 한다. NG(니트로 글리세린)는 물에는 녹지 않으나 알코올, 아세톤, 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메탄올 등에 녹고, 동결 온도는 8℃이며, 얼게 되면 백색결정으로 변한다.또, 40-50℃에서 분해하기 시작하여 200℃ 정도에서 폭발하며 충격 감도가 민감하므로 액체 상태로는 운반이 금지되어 있다. 이 폭약의 폭발 속도는 7500m/s, 폭발열 1470㎉/㎏, 폭발온도는 4000℃이며, 용도는 다이너마이트나 무연 화약의 원료로 사용된다. | Nitroglycerine |
185 | 니트로글리콜 | 다이너마이트 제조원료이며, 상온에서 무색인 유상액체. 정식명칭은 이질산에틸렌글리콜이다. 화학식은 C2H4(ONO2).2 분자량 152, 녹는점 -22.8℃, 비중 약 1.5. 물에는 잘 녹지 않으나, 아세톤 ·에테르 ·메탄올 등의 유기용매에는 녹는다. 니트로글리세린처럼 니트로셀룰로오스를 젤라틴화(化)한다. 급격히 가열하거나 가압하에 가열하면 폭발한다. C2H4N2O6→2CO2+2H2O+N2. 에틸렌글리콜을 니트로화하여 제조한다. 에틸렌글리콜과 글리세롤을 임의의 비율로 혼합하여 니트로화하면 니트로글리세린과 니트로글리콜의 혼합물이 생긴다. 예전에는 니트로글리콜의 녹는점이 낮은 점을 이용하여 난동(難凍) 또는 부동(不凍) 다이너마이트의 제조에 이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에틸렌글리콜이 니트로글리세린보다 값이 싸기 때문에 다이너마이트용 니트로글리세린에 니트로글리콜을 혼합하게 되었다. 휘발성이 크고 그 증기는 독성이 강하여 심근(心筋)에 급성 국소빈혈을 일으켜 사망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일정량 이상의 혼합은 금지되고 있다. | nitroglycol |
186 | 니트로셀룰로오스 | 질산기(NO3)의 수에 따라 강면약과 약면약으로 나누어진다. 강면약의 배합은 질산 23%, 황산70%, 물 7-8%이고, 약면약은 질산 23%, 황산60%, 물10-20%이며, 모두 아세톤에 녹는다. NG에 7-8%의 약면약이 용해되면 교질 상태가 되는데, 이것이 다이너마이트 중에서 가장 강력한 블라스팅 젤라틴이다. | Nitrocellul- ous : NC |
187 | 니트로폭약 | 연소에 의하여 많은 가스를 내는 흑색 화약이나 무연 화약은 압력에 의하여 탄환을 발사하므로 발사약이라 한다. 그러나 피크르산을 위시한 방향족의 폴리니트로 화합물과 같이, 파괴용인 다이너마이트나 질산암모늄 폭약과는 달리, 탄환이나 지뢰, 폭탄 등에 충전하여 이들을 작렬시키는 폭약을 작약이라 하며, 폭굉을 일으킬 때 유독 가스를 내다. 또한 강한 폭발성을 나타내며, 장기간이 보존이 가능하고 맹렬한 파괴력을 가지므로 군용 폭약의 작약으로 중요하다. 광공업용으로는 질산 암모늄 폭약의 예감제, 염소산염 폭약의 예감제, 공업 뇌관의 첨장약이나 도화선의 심약 등에 쓰인다. | |
188 | 니트로화합물 | 유기 화합물의 탄소 원자에 니트로기(NO2)가 결합하는 반응을 니트로화 반응이라고 하고, 이 반응으로 생성되는 화합물을 니트로 화합물이라 한다. 니트로 화합물에는 지방족과 방향족이 있다. 화약류로 주로 사용 되는 것은 방향족으로서, 니트로기가 1개 결합된 것을 모노(mono)니트로 화합물, 2개 결합된 것을 디(di)니트로 화합물, 3개가 결합된 것을 트리(tri)니트로 화합물이라 한다. 이 중에서 니트로기가 1개 또는 2개 결합된 것은 폭발성이 적어 폭약으로 사용할 수 없다. 니트로기가 3개 이상 56개까지 결합된 화합물이 폭발성이 크고 화학적으로도 안전하여 폭약으로 사용되고 있다. | |
189 | 다공질규조토 | 마그마가 급격히 냉각될 때 가스가 팽창하므로 암석 속에 기공을 많이 만들게 되는데 이러한 기공을 많이 포함한 암석을 수식하는 용어. 용암이나 얕은 곳에 관입한 암체에서 자주 볼 수 있으며 기공의 형태는 대체로 구형 내지 타원체이지만 불규칙한 것도 있다. 다공질 조직은 용암 표면에 가장 많고 최저부에도 다소 있지만 내부에는 거의 없다 주로 규조의 화석으로 구성된 담색의 연한 규산질 퇴적암. | |
190 | 다단압축 | 왕복운동형 압축기로서 실린더의 양 끝에 흡기밸브, 배출밸브가 붙어 있어서 피스톤의 왕복 운동과 함께 공기를 압축한다. 갱내가 발전되어 배기관의 길이가 길어지면 압축 공기 수송 도중에 압력이 내려가므로, 압축기가 압축할 압력도 점점 높아져야 한다. 그런데 1단에서 고압으로 압축하려면 압축열에 의한 온도 상승이 심해져서 실린더 안에 있는 윤활유의 연소 또는 폭발의 위험이 생긴다. 일반적으로 7기압 이상을 압축하고자 할 때에는 2단이나 3단 또는 그 이상의 여러 단으로 단계적 압축을 해야 한다. 보기를 들면 9기압으로 압축하려면 제1단 실린더에서 3기압 까지 압축한 후에 그 압축된 공기를 중간 냉각기에서 냉각시켜서 다시 제2단 실린더로 보내서 9기압까지 압축한다. 이와 같이 여러단계로 압축하여 마지막 압력에 도달시키는 압축 작업을 다단 압축이라 한다. | multi-stage compression |
191 | 다유법 | 수면에 두꺼운 기름층을 만들어 기름에 잘 젖는 광물을 그 속에 모으고, 물에 잘 젖는 광물을 물 속에 남김으로써 분리시키는 방법이다. | |
192 | 다이아몬드시추 | 로드 시추나 로우프 시추로는 구멍의 길이가 길어지면 구멍의 벽과 마찰로 충격이 감쇠되어 깊은 구멍의 천공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로드의 회전으로 동력을 전달하여 로드 끝의 비트를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 회전 운동으로 암석을 마멸시킴으로써 구멍을 뚫는 방법이 채택되었다. 마멸시키는 재료로서는 마멸에 대한 저항이 강한, 즉 경도가 가장 강한 다이아몬드를 날에 이용하게 되었다. 이 때 사용하는 다이아몬드는 값이 비교적 싸며, 보석용으로 쓰이지 못하는 것이 사용된다. 다이아몬드를 로드의 끝에 접착시킬 때에는 구리와 같이 연성이 있는 금속을 로드의 끝에 접착시키고, 그 금속에 다이아몬드를 심는다. 이러한 금속과 다이아몬드를 붙인 금속 막대의 끝 부분을 크라운 비트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분리하여 갈아 끼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이아몬드 시추는 보통 동력 전달용의 로드가 파이프 모양으로 되어 있고, 크라운 비트도 가운데가 비어 있으므로, 다이아몬드 시추는 대체로 코어 시추이다. 다이아몬드는 값이 비싸기 때문에 매우 단단하고 균질인 암석에 주로 사용되며, 견고하지 않은 암석에서는 비싼 다이아몬드의 손실과 시추 비용의 절감을 위하여 다이아몬드 대신 경도가 큰 특수 합금의 금속으로 된 메탈 크라운 비트가 흔히 사용된다. | |
193 | 다이어프램펌프 | 다이어프램 펌프에는 감압식과 가압식의 두 가지가 있는데, 농축조의 스피것 같은 진한 광액을 2-2.5m의 높이까지 올리기 위해서는 전자가 많이 쓰인다. 피스톤 대신에 고무막을 쓰는 왕복식 펌프라고 생각할 수 있는 것으로 40-60SPM으로 움직인다. 가압식은 특별히 강한 막을 쓰고, 밸브의 종류와 위치를 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개조하여 어느 정도의 높이까지 밀어 올리 수 있게 만든 것이다. | |
194 | 단계파쇄 | 큰 덩어리의 광석을 필요한 크기로 파쇄할 때에는 잘게 부서진 광석이 많이 생긴다. 그러므로 분쇄를 효과적이고 경제적으로 실시하기 위해서는 큰 덩어리의 광석을 한 번에 목적하는 크기로 부수지 않고 파쇄기로 대강의 크기까지 부순 다음에 목적하는 크기 이상의 것만 골라 다시 잘게 부숴 선별에 도움이 되는 적당한 크기로 하는 것을 말한다. | Stage crusing |
195 | 단벽식채탄법 | 단벽식은 장벽식(長壁式)에 대응하는 말이다. 채탄구역을 갱도에 따라 좁게 구획하여 짧은 탄벽면을 만들어서 막장으로 하고, 그곳을 채굴하는 채탄법이다. 단벽식이란 흔히 탄벽면의 길이가 20 m 이하인 경우를 말한다. 대부분 경사가 가파른 탄층을 채굴하는 데 이용되나, 많이 쓰이고 있는 채탄법은 아니다. | 短壁式採炭法, shortwall mining system |
196 | 단분자층 | 극성 물질 중에서 물에 대한 용해도가 적당히 작은 것이 표면 활성 물질이며, 이 물질이 물 표면에 흡착되면 표면 장력 또는 표면 에너지를 현저하게 저하시킨다. 표면 활성 물질의 무극기는 표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그리고 유극기는 표면으로부터 물 내부로 향하여 표면에 한 분자의 두께로 배열되는데, 이것을 단분자층이라고 한다. | |
197 | 단사정계 | 3개의 축은 모두 길이가 다르고 좌우축과 위아래축은 수직으로 만나나 앞뒤축과 위아래축은 수직으로 만나지 않는다. 예) 석고, 백운모, 공작석, 철망간중석 등 | 單斜晶系 |
198 | 단열발화시험 | 전기 뇌관 시험법 중 품질이 같은 뇌관 중에서 조건 없이 시료를 선택하여 납판 시험, 둔성 폭약 시험, 점화 전류 시험, 단열 발화 시험, 내수성 시험 등을 한다. 단열 발화 시험은 각 단에서 뇌관 1개씩을 채취하여 시료의 단의 순서에 따라 직렬로 연결하여 전류를 통했을 때의 폭발 상태를 조사하는 시험이다. | |
199 | 단위광구제 | 원래 광구는 일제 시대의 법령에 따라 광업권을 출원한 사람의 의사에 따라 광상을 중심으로 자유로이 설정했으며, 이와 같은 광구를 자유형 광구라고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이 광업법이 제정 될 때 이 자유형 광구 제도를 없애고 단위 광구제를 채택 하게 되었는데, 이 단위 광구제는 경도선과 위도선으로 포위된 4변형의 구역으로 정하되, 각 모서리점의 위치는 위도 1부, 경도 1부의 차이가 있도록 한 것을 말한다. | |
200 | 단체분리 | 광석 중의 유용 광물과 맥석이라 불리는 무용 광물은 서로 밀접히 붙어서 산출되므로, 이 광물들을 선별하려면 먼저 파·분쇄하여 광물과 맥석을 서로 유리시켜 주어야 한다. 이와 같이 다른 종류의 광물들을 서로 개개의 광물로 분리시키는 것을 단체분리라 한다. | 團體分離 |
201 | 단축압축강도 | 암석의 단축 압축 강도는 원주 또는 직육면체 시험편을 사용하여 단축 압축 시험기로 최대 파괴 하중을 구하여 계산한다. 이 강도는 시험편의 크기와 형상, 하중 조건 및 함수율 등에 따라 달라 진다. | 短縮壓縮强度 |
202 | 단층 | 암석이나 지층이 변형할 때 그 연속성이 파괴되어 지괴(地塊)가 분리되고, 그들 지괴가 서로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어긋나 있는 구조. 이 지괴의 분리면을 단층면이라고 하며, 이는 평면으로 이루어진 것과 파랑상(波浪狀)을 이루는 것 등이 있다. 이 단층면 양쪽의 암석은 부서져서 각력(角礫:단층각력) 이나 점토(粘土:단층점토)를 이루게 되며, 단층면을 따라 석영이나 방해석 외에 유용광물을 포함하는 광맥이 생길 경우도 있다. 또 단층면을 따라 암석이 이동할 때 일어나는 강한 마찰압력 등에 의해서 견운모와 같은 새로운 광물이 생기고, 거울과 같이 매끄러운 면이 생길 때가 있다. 이것을 단층마찰면(slickenside) 또는 단층거울면이라고 한다. 그 밖에 단층면 양쪽의 지괴의 이동방향을 가리키는 손톱자국 같은 흔적을 단층거울면상에서 볼 경우도 있다. 단층은 단층면 양쪽의 지괴가 어긋나는 것에 따라 정단층(正斷層) ·역단층(逆斷層) ·주향이동단층(走向移動斷層) 등으로 구분된다. 또 경사져 있는 단층면을 경계로 단층면 윗부분의 지괴를 상반(上盤), 아랫부분의 지괴를 하반(下盤)이라고 한다. 정단층은 상반측이 하반측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미끄러져 내려간 것 같은 모양을 이루는 것을 말한다. 정단층의 단층면은 일반적으로 수직에 가까운 급경사를 이루는 것이 많다. 역단층은 정단층과는 반대로 상반측이 하반측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미끄러져 올라간 것 같은 상태를 이루는 것을 말한다. 그 단층면은 수직에 가까운 것부터 수평에 가까운 것까지 여러 모양의 단층경사를 나타낸다. 즉, 경사가 45 ° 이상으로 비교적 급경사를 이루는 역단층을 스러스트(thrust:衝上斷層)라고 하고, 45 ° 이하의 낮은 각도에서 상반측이 밀려 올라간 단층을 오버스러스트(overthrust)라고 한다. 또, 단층면을 경계로 주로 수평방향으로 어긋난 것을 주향이동단층 또는 수평이동단층이라고 한다. 이것은 다시 우(右)이동단층과 좌(左)이동단층으로 구분되며, 우이동단층은 단층선(단층면과 지표면의 교선)의 한 지점에 서서 단층선이 뻗은 방향으로 눈을 돌렸을 때 오른쪽 지괴가 왼쪽 지괴에 비하여 자기 쪽으로 가까이 놓여 있는 것 같이 보이는 단층을 말한다. 이에 대해서 좌이동단층은 그와 반대되는 것을 말한다. 주향이동단층도 정단층과 같이 수직으로 또는 수직에 가까운 급경사를 이루는 것이 많다. 경사진 것에 의해서 면이 수직인 수직단층 또는 직립단층과 그것이 기울어지는 경사단층으로 나뉜다. 수직단층에서는 단층면이 직립되어 있으므로 상하반의 구별은 어렵지만, 그 양쪽 지괴의 수직전위(垂直轉位)가 있는 것은 생성 구성상으로는 정단층과 같다. 물론 수평단층이 수직단층에 들어갈 경우도 있다. | 斷層, Fault |
203 | 대발파 | 300㎏ 이상의 폭약을 사용하여 발파하는 경우(각 약실의 폭약량의 합계가 300㎏ 이상으로 동시 또는 단계적으로 발파하는 경우를 포함)에는 화약류 발파 및 전기 발파의 기준 이외에 다음과 같은 기준을 준수해야 한다. 피해 예방에 필요한 주의 사항을 보기 쉬운 곳에 게시하고, 발파의 계획과 작업은 1급 화약류 관리 보관 책임자가 실시한다. 발파 장소 및 그 부근의 지형, 암층, 암질, 사용 폭약의 종류 등에 따른 약실의 위치, 폭약의 양, 갱도의 폐쇄, 대피 장소 등을 미리 결정 하여야 한다. 또 갱도의 굴진 작업을 할 때에는 작업에 필요한 최소량의 화약류만 가지고 들어가도록 하며, 갱 안에서 화약류를 운반, 장전하거나 갱도의 폐쇄 작업을 할 때에는 화기를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 大發破 |
204 | 대체에너지 | 대체 에너지로 활용할 수 있는 자연의 힘으로서는 태양열, 풍력, 조력, 지열 등이 있는데, 이의 대부분은 이미 실용화 단계에 까지 와 있다. 이 중에서 지열은 지하에서 얻어지는 열이기 때문에 지하 자원의 범위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지열은 지각 내부에서 발생한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으로서, 지구 전체 평균으로는 1㎞심도마다 25℃ 상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지구가 가지는 전체의 지열 자원은 엄청난 것이지만, 실제로 활용하는 것은 현재까지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일본, 이탈리아, 뉴우지일랜드, 미국 등은 현재 지열을 이용해서 수십만 킬로와트의 발전을 하고 있으며, 이용 지역은 대부분 화산 지대 또는 온천 지대로서, 지구의 평균 온도 상승률에 비해 훨씬 높은 지역이다. 지열이 높은 지역에서는 200-300℃의 고온 지하수를 지하 수백 미터에서 끌어올려 지표에서 바로 기화되는 것을 발전에 이용한다. 우리나라는 현재 화산 활동 지역이 아니기 때문에 이와 같은 고온 지하수는 얻기 어렵지만, 깊은 지각 내의 열을 대체 에너지로 활용하는 방법을 계속 연구해야 할 것이다. 해안의 간만의 차이를 이용하는 조력 발전은 막대한 시설 투자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현재는 실용화되지 않고 있으나, 우리 나라 서해안은 조력 발전에 좋은 입지 조건을 갖추고 있어서, 장래의 에너지 자원으로 크게 기대된다.이 밖에 대체 에너지도 기계, 화공, 전기 분야의 과학 기술자들 에 의해서 계속 그 실용성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 |
205 | 대칭의3요소 | 대칭축, 대칭심, 대칭면 | |
206 | 대형공포 | 드라이빗 발사 속도 종류에는 대형공포와 소형 공포가 있다. 대형 공포의 장약량은 무연 화약 0.6-0.9g이고, 소형 공포는 무연 화약 0.2-0.3g이다. | |
207 | 더블지브커터 | 카페 채탄 작업장에서 쓰이는 커터의 종류로서 발파를 하지 않고 커터 자체로 채탄하도록 아래 위 2개의 지브(jib)를 가지고 있는 커터. | double jib cutter |
208 | 더블튜브 | 코어배럴에는 싱글튜브와 더블튜브가 있다. 암석이 부스러지기 쉽고 물에 씻겨 나가기 쉽고 또한 마멸되기 쉬원 코너 실수율에 영향이 크게 미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것으로서 길이는 3m 정도의 크라운으로 되어 있다. | |
209 | 더블튜브스이펠 | 시추탐광에 쓰이는 코어 배럴 종류중의 하나이다. 더블 튜브 스이펠형은 안쪽 관과 바깥쪽 관이 각각 회전하도록 베어링이 끼워져 있어 안쪽 관이 바깥쪽 관을 따라 회전하지 않고 코어를 다치지 않게 만들어져 있다 | |
210 | 덴버미네랄지그 | 다이어프램 지그의 일종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플런저 지그와 다른 점은 플러저실이 고무로 된 다이어프램으로 밀폐되어 있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광 등과 같이 비교적 비중이 높은 광석에서 효과가 있고, 방연석과 같이 과분쇄하면 부선 성적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는 광석에서도 효과가 있다. 다른 지그에 비해 미립의 정광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 Denver mineral jig |
211 | 덴버서브A부선기 | 이 기계는 파렌발트가 고안한 것을 덴버 회사에서 발전시틴 것으로, 파렌발트 부선기라고도 불린다. 광액은 급광 파이프를 통하여 중력에 의해서 부선기에 유입된 다음 교반과 공기 혼화, 목적 광물과 맥석 광물과의 분리가 이루어지며 광화 포말층을 만든다. 임펠러는 1개의 원판 위에 4장 또는 6장의 날개가 직립해 있고, 이것을 다시 덮개(hood)가 덮고 있는데, 그 가운데에 큰 구멍을 뚫어 수직축(shaft)을 둘러싸는 관(stan-dpipe)이 연결되어 이것이 광액층을 지나서 대기로 통해 있다. 공기는 이 파이프를 통하여 빨려온다. 관과 덮개와의 연결점이 약간 경사진 급광관으로부터 공급된 광액은 임펠러 한복판에 떨어져 그 원심력에 의해 주위로 내던져지는데, 이때 그 중심부에서는 큰 부압이 작용하므로 위로부터 공기를 빨아들여 부선기 내부로 들어간다. 광액은 십자가형의 방사 대각선 방향으로 놓여 있는 배플(baffie)에 의하여 소용돌이 현상이 약화되고, 다시 그 위에 수평으로 덮고 있는 바둑판 모양의 격자를 지나면서 선회 운동이 아주 약화되어 포말실로 올라온다. | Denver sub-A flotation machine |
212 | 도가니시험 | 도화선 시험으로 점화되지 않는 화약류를 시험하는 방법이다. 이 시험에서 폭발하는 화약류는 기폭제와 점화약 등이며, 많은 종류의 폭약은 폭발하지 않는다. | |
213 | 도광기 | 도광기는 중쇄, 분쇄용으로서, 가장 오래된 기계의 하나이다. 우리 나라 시골에서 볼 수 있었던 물방아나 방앗간에서 절구질을 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하는 것인데, 이 기계는 특히, 금, 은광의 선별 처리에 오래 전부터 널리 쓰여 오고 있다. 이 기계의 최대 장점은, 분쇄비가 매우 커서 조쇄기의 산물을 받아 곧바로 미분쇄까지 할 수 있어 분쇄에 필요한 기계의 종류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조광기에는 중력 도광기, 증기력 도광기, 공기력 도광기 등이 있다. 근래에는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 stamp |
214 | 도르코 여과기 | 도르코 여과기는 올리버 여과기와 같은 진공 연속식 여과기인데, 올리버 여과기는 원통의 외면에서 케이크를 채취하는 반면에 도르코 여과기는 원통 내면에서 채취하는 구조로 된 것이 다른 점이라 할 수 있다. 광액은 원통의 내부에 공급되며, 원통의 내면이 여과면으로 되어 있어 따로 광액 탱크가 필요 없고, 광액 중의 큰 입자가 침강속도가 빨라 먼저 여포에 축적되므로, 굵은 입자의 광액은 비중이 무거운 입자의 광액에 적당하다. 원통의 한쪽은 회전축에 고정되며, 다른 한쪽은 롤러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롤러 쪽에는 원형으로 크게 구멍이 벌어져 있으며, 광액의 높이는 이 구멍의 밑 부분까지가 된다. 원통 내면에는 여러 개의 여과실이 있고, 여기에 각각의 원통 외면으로부터 회전축의 안쪽을 통하여 개폐 밸브와 연결된 파이프가 설치되어 있다. | Dorrco vacuum filter |
215 | 도수율 | 전 종업원이 백만시간당 근무하는데 발생한 재해건수를 말한다. 도수율=재해건수/가동연시간×106 | 度數率 |
216 | 도지형조크러셔 | 도지형 조 크러셔는 브레이크형 조 크러셔와는 달리 가동 조의 지점이 플레이트의 밑에 있다. 따라서, 배출구는 일정하게 벌어져 있다. 이 크러셔는 파쇄 산물의 입도가 고른 장점은 있으나, 배출구 부분에서 가동 조 플레이트의 운동이 최소로 되기 때문에 파쇄된 광석이 막힐 염려가 있고, 처리 능력도 크지 않다. 그러므로 대형의 기계는 거의 없고, 중쇄기로서 시험 공장 또는 시료 제조용 등으로 실험실에서 사용된다. | |
217 | 도태판 | 비교적 입도가 큰 광립들을 비중이 다른층으로 분리 시켜 선별해 내는 기계로서 지그와 2가지 종류가 있다. | |
218 | 도통시험기 | 전기 뇌관의 불발은 주로 전교가 관체와 접촉되었거나 절단되었을 때 일어나므로, 1mA이하의 전류가 흐르는 광전지의 도통 시험기로 도통 시험을 해야 한다. | |
219 | 도트리쉬법 | 화약류의 폭발 속도를 측정하는 방법에는 도트리쉬법, 메테강법 및 오실로그래프법 등이 있다. 그 중에서 메테강법도 사용되고는 있지만, 가장 간단한 방법인 도트리쉬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 |
220 | 도폭선 | 피크르산 ·TNT ·헥소겐 등의 심약을 가느다란 금속관에 채운 것. TNT는 납으로 된 관 속에, 피크르산은 주석관 속에 채우고, 헥소겐은 심지실로 싸서 도화선 모양으로 피복한 것이다. 다량의 폭약을 사용하여 장공발파(長孔發破)를 할 경우 동시폭발을 시키기 위해 사용되는데, 도폭선의 한쪽 끝에 뇌관을 달고 점폭(點爆)하면 폭발이 매초 4,000∼6,000m의 속도로 진행되므로 대발파의 경우처럼 다량의 폭약의 각부에 단시간 내에 확실하게 폭발을 전달할 수 있다. 근년에는 특수용도로서 주로 금속가공용 등에 폭발속도가 매우 느린 것, 폭압(爆壓)이 낮은 것, 매우 가는 것들이 개발되었다. | 導爆線,detonating fuse |
221 | 도화선 | 도화선은 어떤거리 만큼 떨어져서 흑색화약이나 뇌관을 점화(점폭)시킬 목적에 쓰이는 것이다. 3가닥의 심지와 흑색화약을 작은 구멍으로 뽑아내면서 그 둘레를 실과 종이로 감은 다음에 방수를 한다. 굵기 4.6-5.5㎜로 한 끈모양의 화공품이다. 1m당 연소속도는 평균 120초±10초이다. 1종 도화선은 수중이나 탄광에 많이 사용하며 2종 도화선은 일반광산용, 3종 도화선은 채석 토목용으로 사용한다. | 導火線 |
222 | 도화선발파 | 도화선이 붙은 뇌관은 도화선의 무명실을 뜯어서 폭약을 묶어서는 안되며, 뇌관이 폭약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또, 도화선의 끝은 장약된 구멍에서 밖으로 점화에 필요한 부분만큼만 떼어 놓으며, 여분이 있게 내놓아서는 안 된다. 그리고 도화선의 앞끝을 더럽히거나 적셔서는 안된다. 점화시에 당황하거나 점화 간격 및 점화 순서를 틀리게 해서는 안되며, 점화가 끝나기 전에 점화시킬 불이 다 타 버린 경우에는 즉시 대피해야 한다. | 導火線發破 |
223 | 돌로마이트 | 고회석으로 구성된 퇴적암의 명칭. 광물명으로서의 돌로마이트와 암석명으로서의 돌로마이트가 혼동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Shrock(1948)가 제안한 명칭이다. | dolostone,고회암 |
224 | 동력변성작용 | 암석의 변성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광상을 변성 광상이라 한다. 변성 작용을 받기 전에는 전혀 경제성이 없던 광물이 변성 작용에 의해 유용 광물이 되는 경우가 있다. 광상을 생성시키는 변성 작용은 동력 변성 작용과 압력, 열, 열수 용액이 함께 작용하는 접촉 변성 작용이 있다. 동력 변성 작용의 경우는 넓은 지역에 걸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비정질의 광물이 결정질이 됨으로써 더욱 경제성을 높여 주게 된다. 퇴적암 속에 소량으로 남아 있는 유기물 기원의 비정질 탄소가 변성 작용에 의해 결정질 흑연으로 변한다. 우리나라의 경기도에도 광역 변성 작용에 의한 흑연 광상이 많이 분포되어 있어서, 과거에는 한때 그 개발이 활발하였다. | 動力變成作用 |
225 | 동력지질학 | 지질 현상의 원인과 과정을 다루는 지질학의 한 분야.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지표에 가해지는 외인적 작용으로 일어나는 지표의 변화와 지구 내부에서 일어나는 내적인 작용으로 생기는 지각의 변동에 대해서 연구하는 학문이다. | 동력지질학(動力地質學, dynamic geology |
226 | 동시발파 | 두 자유면을 가진 암석 파괴에 있어서 자유면에 평행한 여러 개의 발파공을 구멍의 간격, 지금, 그리고 깊이를 동일하게 해서 전기 뇌관에 의하여 제발 발파를 하게 되면, 인접한 발파공들이 서로 보강 작용을 하게 되어 발파 효과가 크다. | 同時發破, 제발발파 |
227 | 동적효과 | 폭발효과는 동적효과와 정적효과로 나눌 수 있다. 폭발의 동적 효과는 화약이 폭발 할 때 발생하는 충격파에 의한 효과로서, 이 효과는 화약의 맹도와 폭발 속도에 영향을 받는다. | 動的效果 |
228 | 동질이상 | 동일한 화학 조성을 가진 광물들이 둘 이상의 서로 다른 결정의 성질을 가진 것. 흑연과 금강석이 그 예다. | 同質異像, polymorphism |
229 | 되돌림조절 | 관리 계통에 따른 간단한 조업 관리는 자동 조절로부터 이루어진다. 만일 관을 통하여 흐르는 물의 양을 원하는 속도로 유지시키려면, 속도를 측정하는 사람을 두어 원하는 속도를 얻을 때까지 밸브를 여닫는 작업을 해야 한다. 그러나, 유량을 조절하는 이러한 간단한 조업은 기계를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유량계는 신호를 조절기에 보내고, 여기서 설정점(set point)과 비교가 된 다음, 신호는 다음 조절기에서 조절 밸브로 보내져서 새로운 밸브의 위치를 정하거나 밸브를 여닫는다. 이러한 조절배열을 되돌림 조절이라 한다. | feedback control |
230 | 둔성폭약시험 | 뇌관은 폭약을 완전히 폭발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폭발 감도가 낮은 폭약일지라도 완전하게 폭발시킬 수 있는 위력을 가져야 한다. 둔성 폭약 시험은 폭발 감도를 떨어뜨리기 위하여 순수한 TNT에 활석가루를 둔감제로 섞은 다음, 시험 뇌관으로 점폭시킨다. 이 때, TNT의 양과 완전 폭발을 일으키는 데 필요한 둔감제의 최 대 첨가량의 백분율로 뇌관의 위력을 표시한다. TNT 시료의 결정으로서는 녹는 점이 76.9℃이상인 것을 사용해야 하는데, 0.15-0.5㎜사이의 체의 구멍을 통과하는 것이어야 한다. 시료 폭약은 TNT에 활석가루를 배합하고, 그 중에서 30g을 취하여 약포에 넣고 1250㎏/㎠의 압력으로 눌러서 성형한다. | |
231 | 드라이빗 | 드라이빗은 화약의 폭발력을 이용하여 철판이나 콘크리트등과 같은 견고한 물체에 못을 박는 화공품이다. 드라이빗의 발사 속도는 300-500m/s이며, 이것의 종류에는 대형 공포와 소형공포가 있다. 대형 공포에는 장약량은 무연 화약 0.6-0.9g이고, 소형 공포는 무연 화약 0.2-0.3g이다. | drivite |
232 | 드래그라인 익스커베이터 | 튼튼한 이를 가지고 있는 스크래이퍼의 앞 뒤 양쪽 끝에 와이어 로우프를 연결하여 땅 위로 끌고 가면서 흙이나 모래를 파서 이것을 운반차에 옮기는 작업을 하는 것이며, 기계의 위치보다 낮은 곳을 굴착할 때에 사용된다. 주행부는 보통 무한 궤도식과 궤도식이 있는데, 원동기부와는 원반으로 연결하되 360°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원동기로는 증기기관, 내연 기관 등이 사용된다. 스크레이퍼는 긴 부움의 위 끝에 장애 로우프로 매달고, 또 하나의 로우프는 부움의 어깨쪽에 있는 드럼을 통해서 잡아당기게 되어 있다. 작업을 할 때에는 부움을 움직여서 스크레이퍼를 굴착하려고 하는 곳에 내려서 흙이나 모래를 파고, 권양 로우프와 부움으로 스크레이퍼를 높이 올려 이것을 돌려서 운반차 위에 쏟는다. | dragline excavator |
233 | 드래저 | 물 밑에 있는 흙이나 모래, 사광 등을 채취할 때에 사용하는 것이며, 여기에 필요한 장치 전체를 배에 설치한 것이다. 드래저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나, 배를 고정시키는 장치와 선상에 선광 설비가 있는 점이 서로 다르다. | dredger |
234 | 드랙분급기 | 경사진 밑면을 가진 탱크에 2개의 바퀴를 위아래로 달아 놓고, 여기에 밸트를 걸어 이 밸트에 레이크를 붙여 광사를 긁어 올리는 것이다. 밸트의 속도는 매분 7-25m, 밑면의 경사는 12-18°정도이고, 레이크의 간격은 약 30㎝ 정도이다. 성능은 레이크 분급기나 다른 분급기보다 못하나, 급광 중 굵은 광사를 제거하는데 적당하다. 그리고 구조가 간단하여 만들기가 용이함으로 많이 사용한다. | drag classifier |
235 | 드로보이선별기 | 선탄용 선별기로서 처리 용량이 크다. 맥석은 침하되어 방사선형 날개가 있는 바퀴에 끌어올려진다. 중액은 2점에서 공급되는데, 하나는 장치의 밑바닥에서, 또 하나는 원탄과 더불어 공급된다. 정탄은 배출구 반대쪽에서 배출된다. 그리고 드로보이 선별기 사용시 자철석 농도의 비중은 자동적으로 조절되어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동원 탄좌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과거에는 봉명광업소에서 사용하였다. | Drewboy Bath |
236 | 드릴로드 | 드릴로드는 커플링으로 연결되어 구멍안에서 회전하는 것으로 코어 배럴, 리밍 쉘, 토어 비트로 연결되어 이를 지표 위의 기계힘으로 회전시킨다. 또, 아래 위로 운동하는 것이므로 구멍 둘레의 벽과 스쳐서 마멸되기 쉽기 때문에, 단단한 것이 좋으며 서로 이은 곳은 물이 새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보통 길이 3m, 두께 5-6㎜, 바깥 지름 33.3-60.3㎜정도의 속이 빈 특수 강철로 만든 관이다. | |
237 | 등속침강비 | 2개의 고체 입자가 있는데, 그 하나는 비중이 크고 입도가 작은 반면에, 다른 하나는 비중이 작고 입도가 크다면 이 두입자는 그들이 비중과 입도가 적합할 때에 동일한 최대 속도를 가질 것이다. 이러한 두 입자를 등속침강입자라 하며 이들이 입도비를 등속 침강비라고 한다. | equal settling ratio |
238 | 등속침강입자 | "등속침강비" 참조 | equal settling particle |
239 | 등축정계 | 3개의 축은 서로 길이가 같고 모두 수직으로 만난다. 예) 방연광, 자철광, 형석, 황철광 | 等軸晶系 |
240 | 디니트로나프탈렌 | 디니트로나프탈렌은 무색 결정으로, 물에는 녹지 않으나 알코올, 에테르, 벤젠, 아세톤 등에 녹는다. 다이너마이트의 성분으로 많이 사용되는 이 폭약은 질산과 황산의 혼합산으로, 나프탈렌에 니트로화 반응을 일으켜 만든다. DNN의 발화점은 310-320℃이고 충격에도 둔감하여 뇌관으로 전폭시켜도 폭발하지 않기 때문에, 이것만으로는 폭약으로 사용할 수 없다. DNN은 질산암모늄 폭약의 예감제로 사용된다. | dinitronaphthalene:DNN |
241 | 디니트로톨루엔 | 디니트로톨루엔은 백색 결정으로서 비중이 1.5이고, 물에는 녹지 않지만 알코올, 에테르, 벤젠 등에 녹는다. 폭발 감도가 매우 둔하여 폭굉하기가 어렵고, 폭발력이 적어 폭약으로 사용할 수 없으며, 질산암모늄 폭약의 예감제로 사용된다. | Dinitrotoluene:DNT |
242 | 디스크필터 | 일명 아메리칸 진공 여과기라고도 하며, 부채꼴로 된 여러 개의 여과관을 조립하여 1개의 원형 여과판을 만든다. 이 여과판에는 많은 홈들이 패어 있고, 여과재로 된 주머니 속에 들어 있다. 원형 여과판이 공동 회전축에 여러 개 평행으로 달려 있어 원통형 탱크속에서 회전한다. 이러한 원형 여과판을 여러 장 연결하여 쓰면 여과 면적이 매우 커서 원통형의 여과기보다 처리 용량이 훨씬 많아진다. 또 다른 여과기로는 수동식 필터 프레스도 있다. | 아메리칸진공여과기 |
243 | 디아조니니트로페놀 | 노란색을 띤 갈색 결정으로서, 피크라민산〔NH2(NO2)2C6H2-OH〕나트륨 용액을 염산에 녹인 다음, 여기에 아질산나트륨(NaNO2)을 반응시켜 만든다. DDNP는 물에는 녹지 않지만, 탄산칼슘에는 녹는다. 또, 발화점은 170-180℃이며, 폭발 속도는 비중1.58일 때 6900m/s이다. 이 기폭약은 화학적으로는 안전하나 열에 대한 감도가 예민하고, 폭발 속도가 빠를 뿐 아니라 맹도가 커서, 공업용 뇌관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 diazo-dinitrophenol : DDNP |
244 | 디이젤기관차 | 광산에서 사용되고 있는 기관차의 종류는 전기기관차, 압축 공기 기관차 및 내영기관차의 세가지가 있다. 이 중 전기 기관차에는 가공선식 전기 기관차와 축전지식 전기 기관차가 있으며, 내연 기관차는 가솔린 기관차와 디이젤 기관차로 구분된다. 디이젤의 경우 경유를 연료로 사용하기 때문에 연기와 가스가 배출되므로 갱내에서 보다 갱 밖에서 주로 사용된다. 또한 수평에서만 사용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이 단점이다. | |
245 | 디태처블비트 | 비트는 큰 타격과 진동에 견딜 수 있는 인성을 가진 것이어야 하는데 그 모양은 -자형, +자형, 장미형 등의 종류가 있다. 분리형 비트에는 나사모양으로 끼우는 것과 그대로 끼우는 것의 두 가지가 있다. | detachable bit, 분리형비트 |
246 | 딩스유도롤형자력성별기 | 유도형 자력 선별기(induction agnet type separator)는 전자석에서 유도된 2차 자석으로 자성 광물을 선별해 내는 선별기이다. 이 종류에는 몇 가지가 있으나, 가장 널리 알려진 딩스 유도 롤(Dings induced roll)형 자력 선별기이다. 이 기계는 건식으로 0.074-2.4㎜의 약자성 입자를 처리하는 자력이 아주 센 강자력 선별기이다. 각 롤은 자성체인 연철의 얇은 판과 비자성체인 아연의 얇은 판을 번갈아 겹쳐서 만들어져 있으므로 전자석에서 자속의 얇은 연철판에 강하게 집중되어 강력한 자석이 된다. 위쪽에서 급광하면 자성 광립만은 롤의 자력에 끌려 롤과 함께 회전하나, 롤의 자력이 약해진 곳에서 떨어져 선별이 이루어진다. 만일, 비자성체 광물에서 약자성체 광물을 선별해 내려고 하면, 보조극을 별도로 설치한다. 이 보조극에 대하는 롤은 자력이 가장 약하므로 여기서는 자성이 가장 센 자성 광물만이 다른 자성 광물에서 선별된다. 이 기계는 운모, 이산화망간, 석류석 및 전기석 등의 철분을 포함하는 약자성 광물의 선별에 효과적인 선별기이다. | |
247 | 라아멘커터 | 연한탄층이나 압리가 발달된 곳에서는 커터 자신이 탄벽을 자를 수 있게 되어 있다. | rahman cutter |
248 | 라이너 | 조업 중 분쇄기의 안쪽 벽은 볼 또는 광석의 충돌과 마찰로 마멸되므로 라이너를 한다. 그리고, 라이너가 마멸되면 바꿀 수 있도록 분쇄기 안쪽 벽에 라이너를 볼트로 죄어 붙인다. 라이너의 재질은 보통 망간강, 크롬강, 그리고 고무를 사용하고 있다. 라이너가 미끄러우면 볼이 미끄러져 마멸 작용이 심하고, 울퉁 불퉁하면 볼이 높이 올라가 충격 작용이 증가한다. 이와 같은 차이가 있으므로, 광석의 성질과 산물에 대한 요구에 따라 적당한 모양의 라이너를 선택해야 한다. 이 밖에, 볼의 운동에 영향을 주는 회전수 등의 영향에 대해서도 생각하여야 한다. 라이너는 충격을 받으므로, 뒷면에 빈 틈이 없도록 볼트로 잘 죄어야 한다. | liner |
249 | 라이플바아 | 해머식 착암기 내부에 회전 장치로 사용되는 부품. | rifle bar |
250 | 라인드릴링법 | 발파 예정선을 따라 일렬의 좁은 간격으로 천공을 실시하여 암반에 취약면을 형성시킴으로써, 발파시의 충격파를 반사시켜 예정선 밖의 암반에 대해 발파 충격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이것이 조절 발파에서 가장 초보적인 방법이다. 목적하는 파단선을 따라 근접한 다수의 무장약공을 천공하여 인공적인 파단면을 만드는 방법이며, 많은 무장약공에 의해 형성되는 파단선은 발파에 의해서 발생된 폭파 응력이나 충격파의 전파를 차단하여 더 이상의 파괴를 전달하지 못하도록 하여, 파단선 바깥쪽의 암반에는 응력과 균열이 미치지 못하도록 한다. 따라서, 파괴는 이 면까지만 진행하게 된다. 라인 드릴링법의 천공은 암석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을 직경이 50-75㎜로 크다. 천공간격은 공경의 2-4배로 약 10-30㎝정도이며, 절리 또는 풍화된 암반과 같은 취약면이 존재할 때에는 천공 간격을 더욱 좁게 한다. 발파 예정선위에 천공하는 무장약공들에 가까이 위치한 장약공들에는 보통의 경우보다 50% 정도의 약장약을 장전해야 하며, 발파공 간격은 보통 때의 간격보다 25% 정도 줄여야 한다. 무장약과 인접한 장약공 사이의 거리는, 정상적인 장약공에서는 최소 저항선의 50-75% 정도가 적당하다. 이 방법은 결국 발파에 의하여 파단면을 만드는 것이 아니고 착암기로 파단면을 만드는 것이므로, 다른 조절 발파법보다 벽면 암반의 파손은 적으나 많은 천공이 필요하여 천공비가 많이 든다. 또, 천공은 수직의 같은 간격으로 하여야 하므로 천공 기술이 필요하며, 층리, 절리 등을 지닌 이방성이 심한 암반 구조에 대해서는 적용하기 어려운 결점이 있다. | |
251 | 래칫 | 해머식 착암기 내부에 회전 장치로 사용되는 부품. | ratchet |
252 | 램플라우채탄법 | 그다지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아니지만, 상하반의 강도가 강하고 비교적 탄폭이 좁은 탄층에 적합한 채탄법으로서, 수직 거리 30-50m의 상하 갱도에 권양기를 설치하여 이 권양기에 체인을 연결하고, 체인에 석탄층을 절삭하는 램이 달리도록 한 장치이다. 이 램이 탄층의 상하를 왕복하면서 석탄을 캐내도록 되어 있으므로, 채굴할 때에는 사람이 막장에 들어가지 않고 지주를 세울 때만 들어가게 되어 있다. | ram plough |
253 | 레늄 | 주기율표 제7A족인 망간족 전이원소에 속하는 금속원소. 원소기호 : Re 원자번호 : 75 원자량 : 186.207 녹는점 : 3180℃ 끓는점 : 5627℃ 비중 : 21.02(20℃) 1925년 W.노다크와 I.E.타케(후의 노다크부인)에 의해 콜룸바이트에서 발견되어, 라인강에 연유하여 레늄이라 명명되었다. 독립광물은 없고, 몰리브덴석 ·백금석 속에 미량이 함유되어 있으며, 주요 광물로 휘수연석(輝水鉛石)이 있고, 함동편암(含銅片岩)에도 들어 있다. 클라크수 1×10-7(제81위)이다. 황화물 ReS2를 고온에서 수소를 사용하여 환원시키면 흑색 분말로서 얻어진다. 이것을 고압 ·고온에서 단조(鍛造)하면 판상(板狀)으로 만들 수 있다. 은백색 금속이며, 공기 중에서는 녹슬지 않으며, 분말은 발화한다. 할로겐 ·황 등과 반응하며, 산화력이 있는 산에는 서서히 녹는다. 분말은 질산 ·과산화수소 ·염소수(鹽素水) 등에 의해 쉽게 산화된다. 화학적 성질은 몰리브덴 ·텅스텐과 비슷하고, 특히 테크네튬과 흡사하다. 값이 비싸고 산출량이 적어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으나, 열전자 방출이 크기 때문에 전자관의 재료로 사용된다. 또, 백금의 첨가제, 각종 분해반응의 촉매로 쓰인다. | rhenium:Re |
254 | 레시프러 압축기 | 공기압축기는 일반적으로 구조 및 그 압력에 따라 나누는데 레시프러 압축기는 왕복 운동형 압축기에 해당한다. | |
255 | 레이크분급기 | 미국의 도르(Dorr)회사에서 발명하였다고 하여 도르 분급기라고도 한다. 현재 선별장에서는 폐쇄 회로 분쇄 계통에서 볼 밀과 함께 이 분급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밑바닥이 경사진 긴 직사각형 통인데, 광액을 급광구에서 급광하면 광사는 침적하고 광니는 넘쳐 흘러 나간다. 타원형의 운동을 하게 되며, 광사를 끌어올렸다가 후퇴할 때에는 위로 들려서 내려간다. 레이크는 이 운동을 되풀이하여 광사를 경사진 밑바닥의 위로 긁어 올려서 배출시켜 다시 분쇄기로 되돌려 보낸다. | |
256 | 로그세광기 | 긴 반원통 속에 날개를 가진 회전축을 뉘어 놓고 이것을 물 속에서 돌려 줌으로써 광석과의 마찰과 운반을 기계적으로 한다. | log washer |
257 | 로드밀 | 지름에 비해 길이가 긴 원통형 밀로서, 분쇄용 보올 대신에 특수 강철제의 로드를 쓰는 것인데, 로드가 서로 엉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 원통부의 길이를 지름에 비해 길게 만든 것이다. 로드 밀의 분쇄 산물은 비교적 고르다는 장점이 있다. 이 원통형 밀에서는 분쇄 매체로서 보올을 사용하면 보올 밀, 로드를 사용하면 로드 밀, 구석을 사용하면 페블(pebble)밀이라고 한다. 지름에 비해 길이가 아주 긴 튜우브 밀은 시멘트와 같은 미분쇄에 이용된다. | rod mill |
258 | 로드시추 | 로드시추는 토양에서 시행할 때에는 엠파이어 시추와 마찬가지로 케이싱 파이프를 박고 파이프 속으로 막대를 움직여 시추하는 것이다. 암석을 시추할 때에는 로드의 끝에 반드시 -자나 +자 모양의 비트를 달아서 로드의 무게로 비트가 암석에 충격을 주어 암석을 깨고, 구멍을 뚫게 된다. 이 때에 돌가루는 역시 샌드 펌프로 끌어내며, 비트가 암석에 주는 충격을 조절하기 위하여 로드는 길이에 따라 쇠나 나무로 만든다. 그리고, 충격을 줄 때마다 비트를 약 30-40°씩 회전시키면서 상하로 운동시킨다. | rod boring |
259 | 로스체인급광기 | 굵은 광석의 공급에 많이 쓰인다. 로스체인 급광기는 파쇄기와 연결시켜 파쇄기의 운전 속도에 알맞게 회전하는 스프로 킷 휠에 여러 개의 굵은 강철제의 엔드리스 체인을 병렬로 걸어 놓았다. 커튼 모양의 체인들이 슈트(chute)로부터 흘러 나오는 광석을 덮어 누르고 있는 셈이다. 광석 덩어리들이 서로 얽혀서 흐르지 못하는 경우에는 자극을 주어 잘 흐르도록 하고, 광석이 너무 빨리 흘러 나가려고 할 때에는 이것을 억제하는 역할까지도 하게 된다. 속도는 물론 파쇄기의 파쇄 속도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다. | ross chain |
260 | 로우더 | 갱내에서 사용되는 로우더에는, 막장 컨베이어에서 운반된 광석이나 석탄을 받아서 갱도의 광차에 싣는 것과, 광석과 석탄을 로우더 자신이 끌어올려 광차나 컨베이어에 이동시키는 것이 있다. 막장으로부터 광차에 실어 넣을 때에는 편반의 위치를 낮게 하여 싣든지, 또는 컨베이어를 도중에서 광차의 높이까지 올리지 않으면 안 되는 곤란한 경우가 생긴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케이트 로우드를 사용하며, 막장이나 편반에 설치하여 막장 컨베이어 앞 쪽에서 이 로우더에 싣는다. 그리고 이 로우더에는 H형 트로프 컨베이어와 벨트 컨베이어가 쓰인다. | loader |
261 | 로우터리압축기 | 공기압축기의 구조상 왕복 운동형 압축기, 원심 압축기, 회전 운동형 압축기로 나누는데 로우터리 압축기는 회전 운동형 압축기의 종류이다. | |
262 | 로우프시추 | 로우프 시추는 로드 시추와 같은 원리이나, 로드에서 비트까지 동력을 전달하는 것은 깊이가 깊어짐에 따라 어려움이 따르므로, 무게를 조절해야 하며, 수직 방향을 유지하기 위하여 로우프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로우프 시추는 과거에 구멍의 깊이가 비교적 깊은 유전 탐사 등에서 드럼을 이용하여 마닐라 로우프나 와이어 로우프를 감았다 풀었다 함으로써 동력을 전달하였다. 로우프는 마찰에 의한 충격력의 손실이 로드보다 작기 때문에 유리하다. | rope boring |
263 | 로커셔블 | 셔블 로우더라고 달리 말하며 갱내에서 많이 사용하는 로커셔블은 압축 공기를 사용하는 모우터가 있으며 구조는 단순하고 튼튼하며 작업을 능률적으로 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다. 갱 내에서 취급이 나쁘면 사용 목적에 어긋나게 되므로 주의 사항을 꼭 지켜야 한다. | rocker shovel |
264 | 로크잭 | 철주를 세울 때에는 푸셔(pusher), 쐐기푸셔, 잭 푸셔의 세 종류의 기계를 사용한다. 이중 로크 잭은 잭 푸셔의 방법으로 철주를 죄어 올리는 것이다. | lock jack |
265 | 로터리시추 | 회전식 보우링 방법 | |
266 | 로헤드진동체 | 체틀의 네 바퀴를 네 줄의 와이어 로프로 매달고 그 끝을 스프링으로 지지함으로써 체의 진동을 흡수하여 다른 곳에 전하지 않게 되어 있다. 체틀에 고정된 진동기는 1쌍의 불균형 편심 회전체가 톱니바퀴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두 축의 중심선을 포함하는 평면에 직각방향으로 강한 왕복 직선 진동을 일으킨다. 그리고 진동기는 광석의 진행 방향과 체의 면에 45°의 경사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중력의 작용과 수직의 현수 장치의 제약으로 체는 광석의 진행 방향과 45° 경사진 타원형을 그리는 진동을 일으킨다. 진폭은 4-10mm, 진동수는 매분 1000-1200회 정도이다. 체눈의 크기는 100mm에서 60메시 정도까지 광범위하게 사용한다. | low head vibrating screen |
267 | 록볼팅 | 목재나 철재 볼트를 암반에 박아 작은 암반의 층을 든든한 암반에 고정시켜 상반의 붕괴를 방지시키는 지주법을 말한다. | Rock bolting |
268 | 루우프보울팅 | 미국에서 발달된 방법으로서, 천장에 구멍을 뚫고 그 속에 보울트를 끼운 다음 그 보울트가 위의 암층을 발판으로 하여 직접 천장을 지지하게 한 것이다. 점판암이나 셰일은 1장일 때에는 약하지만, 보울트로 죄면 센 힘을 가지게 되어 천장을 튼튼하게 한다. 보울트에 보를 끼우든지 또는 패킹을 붙여 죈다. 보울트의 끝에는 쐐기가 달려 있어 보울트를 죄면 암반이 죄어져서 빠지지 않게 한다. 이 방법은 지주를 하는데 다리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채굴이나 운반에 편리하고 자재도 적게 들지만, 보울트의 발판이 되는 암층이 튼튼하지 못하면 사용할 수 없다. | roof bolting |
269 | 리밍비트 | 구멍을 확공시킬때에 사용하는 비트이며 형상은 피쉬 테일(fish tail)비트 중앙에 파이프의 유도장치를 붙인 것과 같은 모양을 하고 있다. 큰 구멍을 굴착할 때에 좋으나 구멍이 공곡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먼저 작은 구멍을 뚫고 이것을 유도공으로 삼아 다시 크게 뚫어간다. | reaming bit |
270 | 리밍쉘 | 드릴로드에 사용된다. | reaming shele |
271 | 리팅거의이론 | 분쇄에 필요한 일의 양은 분쇄 결과 새로 생긴 면의 넓이에 비례한다는 이론. | |
272 | 마그마 | 화산이 폭발하면서 흘러내린 용암이 굳어져서 암석이 되는 현상은 오늘날에도 쉽게 목격할 수 있다. 이것은 지하에 있는 암석의 용융체가 지표로 흘러 나와 굳어진 것으로서, 이 용융체를 마그마라고 한다. 마그마는 지각의 하부 또는 맨틀(mantle)의 상부에서 생기며, 특히 화산 지대의 하부에 많은 것으로 추정된다. 대부분의 마그마는 지표로 나오지 못하고 지각 내에서 냉각, 고화되어 암석으로 되는데, 마그마가 굳어져서 된 모든 암석이 화성암이다. | magma |
273 | 마그마성광상 | 마그마의 고결작용에 관계되어 생긴 광상을 총칭한다. 마그마분화광상(分化鑛床) ·마그마화성광상(火成鑛床)이라고도 한다. 마그마가 냉각 ·고결하는 과정에서 온도 ·압력조건의 차이에 따라 화성암의 조암광물이 정출(晶出)되는 시기에 생성되는 정(正)마그마광상, 그 후의 휘발성 성분이 많은 시기의 페그마타이트 광상, 온도가 물의 임계온도(臨界溫度) 374 ℃에 접근하여 휘발성 성분이 잔액(殘液)과 반응하여 특징적인 광물을 정출하는 기성광상(氣成鑛床) ·열수광상(熱水鑛床) 등이 있다. | Ore deposit of magnetic origin |
274 | 마찰감도 | 화약류의 마찰감도는 마찰에 의한 폭발 감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모르타르 시험과 마찰 시험을 통하여 측정할 수 있다. | |
275 | 마찰시험 | 라스버그(Rathsburg)가 고안한 감도 시험기는, 회전하는 철판과 고정된 철제 시험 기구 사이에 화약 시료를 넣고, 회전판의 속도를 매분 20-80회 정도로 하여 회전판의 압력을 25㎏/㎠까지 올리면서 시료를 마찰시키면서 시험하도록 되어 있다. | |
276 | 막장 | 석탄, 금속 등의 광산에서 석탄, 광석 등을 채굴하고 또는 갱도 굴진을 하고 있는 작업 개소를 말한다. 노천채굴의 작업장도 막장이라고 한다. 광석이나 석탄을 채굴하는 곳을 채굴막장이라 하고, 갱도를 만들기 위해 암석 ·석탄 속을 굴진하고 있는 곳을 굴진막장이라 한다. 굴진막장이나 채굴막장은 모두 낙반을 방지하기 위해 목재 ·철재 등을 사용해서 지보(支保)를 해야 하는데, 막장이 매일 전진하기 때문에 한 곳의 지주 사용기간이 짧으므로, 쉽게 시공할 수 있고 회수할 수 있는 구조로 제작해야 한다. | 幕場, Working face |
277 | 막장반압 | 갱내 반압은 암석 갱도보다 광석이나 석탄을 채굴하는 막장에 더욱 심하게 작용하나, 특히 채탄 막장의 지압은 가장 활발하다. 그 이유는, 석탄의 채굴 공동이 다른 공동에 비하여 훨씬 클 뿐 아니라, 공동이 생기는 속도로 빨라 계속 다른 상태의 동지압이 격렬하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 |
278 | 말구 | 위아래를 자른 통나무의 가는쪽 끝머리의 지름. | 末口 |
279 | 망상산물 | 체질 작업은 일정한 크기와 구멍을 가진 체로 광립을 크고 작은 것으로 분리하는 것이며, 체질한 결과 체에 남은 것을 말함. 체는 철판에 원, 정사각형, 직사각형 및 긴 타원형 등 여러 가지 구멍을 뚫은 것도 있고, 구멍이 작을 때에는 철사로 그물을 짜서 만든 것도 있다. 이 때, 체눈의 크기는 지름 또는 짧은 변의 간격으로 나타낸다. 보통 가장 정확하게 크기를 결정할 수 있는 것은 원형이므로 체눈의 형태는 원형의 구멍이 좋으나, 이것은 제작상 또는 체질의 효율상 체눈의 형태가 큰 것에 한해서 사용이 가능하다. | oversize product |
280 | 망하산물 | 체질 작업은 일정한 크기와 구멍을 가진 체로 광립을 크고 작은 것으로 분리하는 것이며, 체질한 결과 체눈을 통과한 것을 말함. | undersize product |
281 | 매리애나해구 | 세계에서 가장 깊은 해연. 매리애나 해구중에 깊이 11,034m의 비티아즈해연과 10,863m의 챌린저 해연이 있다. | |
282 | 매장량 | 광상(탄층,광물)유층·가스층 내에 존재하고 있는 석탄량, 광물량, 유량 및 가스량을 지칭하며, 통상 지표 조건하에 환산한 체적으로 표시한다. 어느 시점 이후 적절한 조건하에서 채취할 수 있는 양을 그 시점에 있어서의 가채매장량이라 한다. | 埋藏量, Reserves |
283 | 매픽암 | 진한 색깔을 띠는 흑운모, 각섬석, 휘석 및 사장석을 주성분으로 한다.화성암을 마그마의 냉각속도, 깊이 또는 조직과 색깔을 기준으로 분류하면 아래와 같다. 표에서도 보듯이 유문암과 화강암은 비슷한 색깔을 띠나 조직이 서로 다르고, 화강암과 섬록암은 색은 다르지만 조직이 같은 암석임을 알 수있다. 화성암은 화학 성분에 따라 더욱 세분되어 수십 가지의 암석으로 분류된다. | mafic, 유색암 또는염기성암 |
284 | 맥석 | 광맥에서 광석 광물과 함께 산출되는 경제적으로 별로 가치가 없는 광물. 맥석광물은 동의의 석질 또는 토질의 비금속 광석이 많고, 때로는 경제적으로 무가치한 금속광물을 말하기도 한다. 구리광상에서 보면 구리광석은 황동광이며, 가장 흔한 맥석은 석영인데, 방해석 ·녹니석 ·전기석 등도 맥석으로 취급한다. 소량으로 함께 나는 황철광 ·섬아연광 등의 광석도 맥석이라 하는 경우가 있다. | 脈石, gangue |
285 | 맨틀 | 지구의 고체부분 중 표층(地殼)을 제외한 부분. 지표에서 깊이 30km의 모호로비치치 불연속면에서 지하 2,900km의 구텐베르크 불연속면, 즉 외핵(外核)까지의 사이를 가리킨다. 지구 부피의 82% 이상, 질량에서는 68%를 차지하며 화학조성도 직접 알 수 없으나 운석(隕石)의 화학조성에서 유추하면 철 ·마그네슘의 규산염을 주성분으로 하는 암석일 것으로 추정된다. 이것은 지구 중심부의 핵(코어)이 금속 액체로 되어 있는 것과 대조적이다. 각종 지진파(地震波)의 전파 연구로부터 맨틀에는 층구조(層構造)가 존재할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상부맨틀(upper mantle) ·점이층(漸移層) ·하부맨틀(lower mantle)로 구분한다. 지각 바로 아래부터 수십 또는 100km의 부분에서는 지진파의 속도가 깊이와 더불어 증대한다. 이 부분은 지구의 굳은 표피 같은 것으로, 약 20개 미만의 부분으로 나뉘어 지구를 둘러싸고 있다. 그 각각은 판(板:plate)이라고 하며, 그것들이 서로 상대운동을 함으로써 여러 가지 지질현상이나 지진이 일어난다고 한다(판구조론). 이 층 밑에는 지진파의 속도가 감소하는 저속도층(低速度層)이 존재한다. 저속도의 원인은 이 부분이 고온 때문에 부분용융상태에 있다는 설이 유력하다. 맨틀 상부는 주로 감람암(감람석과 휘석)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깊이 약 400km쯤에서 고압 때문에 감람석은 결정변태(結晶變態)를 일으켜 스피넬상(相)이 되어 지진파 속도나 밀도가 갑자기 증가한다. 또 그 이상의 심부(1,000km 이상)에서는 다른 상전이(相轉移)나 분해가 일어나서 맨틀물질은 산화물의 혼합체가 된다. 맨틀내부의 온도는 아직 확실하게 밝혀져 있지는 않으나, 철이나 규산염의 녹는점으로 보아 최상부는 약 1,000℃, 최하부는 약 5,000℃인 것으로 추정된다. | mantle |
286 | 맴돌이저항 | 침강하는 광립의 속도가 크면 그 뒤에 유체의 소용돌이가 생겨 광립은 이 저항의 영향을 크게 받는데, 이 저항을 맴돌이 저항이라 한다. | eddly resitance |
287 | 맹도 | 화약류의 폭력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서, 화약류가 폭발하여 최대 압력을 나타낼 때까지의 기간과도 깊은 관계가 있다. 화약류의 맹도는 다음 식으로 표시된다. B=ρ·V·S B : 맹도 ρ : 폭약의 밀도 V : 폭발 속도 S : 폭발 가스의 속도 즉 , 화약의 맹도는 폭약의 운동 에너지라 할 수 있으며, 폭약의 밀도, 폭발 속도, 폭발 가스의 전파 속도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 |
288 | 먼지조절 | 최근 우리 나라는 급진적인 공업화에 따라 여러 형태의 공해로 많은 문제점들이 제시되고 있으며, 선별장에서 광석의 파분쇄 공정 및 그 밖의 건식 처리 공정에서는 많은 먼지가 발생하고 있다. 이 먼지는 유용광물의 손실과 인체에 심각한 해독을 끼치고 있으므로, 선진 국가들은 이미 직업인의 건강과 안전 및 작업 환경의 개선, 더 나아가서는 자연 환경 보호를 위해 먼지 조절은 물론, 여러 가지의 공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당한 비용을 투자하고, 그 해결 방법을 위하여 많이 노력하고 있다. | dust contorl |
289 | 메시 | 체를 엮은 철사의 길이 1인치(25.4㎜) 사이에 들어 있는 구멍의 수를 말함. | mesh |
290 | 메탈크라운비트 | 금속과 다이아몬드를 붙인 금속 막대의 끝 부분을 크라운 비트라고 한다. 다이아몬드는 값이 비싸기 때문에 매우 단단하고 균질인 암석에 주로 사용되며, 견고하지 않은 암석에서는 비싼 다이아몬드의 손실과 시추 비용의 절감을 위하여 다이아몬드 대신 경도가 큰 특수 합금의 금속으로 된 메탈 크라운 비트를 흔히 사용한다. | metal crown bit |
291 | 면압권 | 지하의 공동(空洞) 주위의 응력(應力), 즉 지압(地壓)이 없어진 상태에 있는 것으로 생각되는 부분. 지하에 공동이 생기면 암반 속에 공동이 없었을 때 지압의 평형상태는 교란된다. 공동부분에 존재하던 암석이 제거되어 위에 겹쳐 있던 암석층의 압력 지지는 공동 주위의 암석에 맡겨진다. 따라서 주위의 암석은 부가적인 하중을 받는다. 일반적으로 공동의 측벽에서는 압축응력이 강하고, 천장과 바닥에서는 인장응력이 작용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암석은 인장응력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약하고, 압축강도의 1/10∼1/20의 응력으로 파단(破斷)되므로, 공동의 천장 ·바닥 부분에는 전단응력(剪斷應力)의 작용도 받아 많은 균열(龜裂)이 발생하여, 암석에는 갈라진 틈이 생기고, 그 결과 깨져서 무너진다. 균열이 생기면 처진 부분은 아직 처지지 않은 단단한 부분으로부터 분리되어, 어느 정도 또는 완전히 응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공동의 주위, 특히 천장 ·바닥의 응력, 즉 지압이 없어진 상태라고 생각되는 부분을 광산 ·탄광에서는 면압권 또는 면압대(免壓帶)라고 한다. 따라서 지하의 석탄을 채굴한 자리의 천장에는 넓은 범위의 면압권이 존재하고, 갱도의 천장에도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 免壓圈, Trompeter zone |
292 | 명장 | 산업현장에 장기간 종사한 자로서 투철한 장인정신과 해당분야 최고의 기술수준을 갖춘자 중 기술발전에 크게 공헌하여 노동부장관 이 일 정한 수준에 의거 선정한 자를 말함 | 明匠 |
293 | 명주광택 | 광물의 표면이나 쪼개진면에서 반사되는 빛을 광택이라 한다. 광택은 금속 광택, 아금속 광택, 비금속 광택등으로 구분 되며 금속 광택은 금속과 같은 센광택, 아금속 광택은 금속 광택과 비슷한데 약간 약한 광택 비금속 광택은 아주 약한 광택을 말한다. 명주광택은 이 중 아금속 광택에 해당한다. 섬유, 석고, 석면이 명주광택에 해당한다. | 明紬光澤 |
294 | 모서리각 | 접촉각. | edge angle |
295 | 모암 | 관입암체(貫入岩體)나 광상(鑛床)을 배태하는 주위의 암석. 어떤 광상이 제3기의 이암(泥岩) 중에 배태되어 있는 경우, 이 광상의 모암은 제3기의 이암이다. 또 광상의 생성에서 열수작용이 모암에 미치면 변질작용이 일어나는데, 모암의 변질에는 고령토화(高嶺土化) ·몬모릴로나이트화 ·적운모화(績雲母化) ·녹니석화(綠泥石化) ·규화(硅化) 등이 있고, 이들 변질대는 광상을 사이에 끼고 양쪽에 배열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모암의 변질대의 조사 결과를 단서로 하여 광상을 탐사하기도 한다. | 母巖, country rock |
296 | 모오스경도계 | 광물의 굳기의 정도를 모오스가 10종으로 구분한 것을 모오스 경도계라 한다. | |
297 | 목재지보 | 지하에 갱도를 개설하거나 광석을 채굴할 때 지보를 시공하게 된다. 지보의 목적은 첫째, 낙반으로 인한 재해를 예방하는 데 있고, 둘째, 갱도나 공동의 단면적을 유지하여 광차나 사람이 자유롭게 다닐 수 있게 하는 동시에, 필요한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목재지보의 경우는 채탄 막장과 같이 사용기간이 짧은 갱도에서 많이 사용한다. | 木材支保 |
298 | 목적 | 갱목을 가로, 세로로 쌓아서 천장을 지지하는 것을 목적이라 한다. 상하반이 수평일 때에는 목적을 만들기가 쉬우나, 경사가 심하면 미끄러져 내려갈 염려가 있으므로 기둥을 박아 준다. 목적의 네 모서리는 언제나 일직선 위에 있게 하여야 한다. 속이 빈 목적은 막장에 널리 쓰이고, 속을 버력 등으로 채운 목적은 채굴한 장소의 벽을 튼튼하게 하는 데 사용된다. 목적의 세기는 그 구조에 따라 다르지만 속을 채운 목적이 속이 빈 목적보다 약 6배의 강도를 가진다고 한다. 그러나 속을 채운 목적은 많은 갱목을 버리게 되므로, 속은 버력 등으로 채운다. | 木積,crib |
299 | 목탄 | 목재를 공기의 공급을 차단하고 가열하거나, 또는 공기를 아주 적게 하여 가열하였을 때 생기는 고체 생성물. 숯이라고도 한다. 재료로는 일반적으로 재질(材質)이 단단한 나무가 사용되며, 한국에서는 참나무류(갈참나무 ·굴참나무 ·물참나무 ·줄참나무 등)가 주로 사용된다. 참나무류로 만든 숯을 참숯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질이 낮은 검탄(黔炭)과 질이 좋은 백탄(白炭)으로 분류된다. 숯에는 이 밖에 건류탄과 뜬숯이 있다. 그리고 숯을 만들 때는 목가스 ·목초산 ·목타르 등이 부생(副生)한다. 제탄법(製炭法)에는 무개제탄법(無蓋製炭法) ·퇴적제탄법 ·갱내제탄법 ·축요제탄법(築窯製炭法) 등이 있으나 한국에서는 주로 축요제탄법이 사용되고 있다. 축요제탄법이란 숯가마를 쌓고 그 안에 목재를 넣어서 굽는 방법인데, 검탄과 백탄은 이 방법으로 만든다. 가정용 연료로 많이 사용되었으나, 연탄 ·석유 ·전기 ·가스 등의 이용률이 커짐에 따라 가정용으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 木炭, charcoal, C |
300 | 무극기 | 이극성 물질(heteropolar substance)의 하나. 계면 활성 물질의 특성은 그 분자의 화학 구조로부터 설명할 수가 있다. 일반적으로 탄소 수가 많은 것은 물에 잘 용해되지 않으며, 탄소 수가 적은 것은 물에 용해된다. 그 이유는 이들의 산이나 알코올 분자들은 물과 결합하는 부분과 물과 결합하지 않는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CH3·(CH2)n,CH3·C6H4-등은 물에 용해되지 않는 부분으로서 이것을 무극기라고 한다. | nonpolar part |
301 | 무색암 | 달리 산성암 또는 펠식(felsic)암으로 불리며 엷은 색깔을 띠며 주로 석영 장석으로 구성된다. | 無色岩 |
302 | 무연탄 |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석탄의 대부부은 무연탄이다. 대부분 검정색으로 탄소의 양은 많으나 불이 늦게 붙으며 탈 때 연기가 나지 않아 무연탄이라 부른다. 주로 연료용과 발전용으로 쓰이며, 연소시 일산화탄소(CO)가스가 발생되며 연탄가스 사고의 원인이 된다. 석탄의 분류는 무연탄, 유연탄, 갈탄, 토탄 등이 있으며, 생성 순서는 토탄→갈탄→역청탄→무연탄이다. | 無煙炭, Anthracite |
303 | 무연화약 | 니트로셀룰로오스를 주성분으로 하는 니트로셀룰로오스 화약과 니트로셀룰로오스에 니트로글리세린을 배합한 니트로글리세린 화약으로 나눌수 있다. 니트로셀룰로오스 화약에는 β-화약과 피로콜로디온(pyrocollodion)화약이 있으며, 니트로글리세린 화약에는 가루형, 구형, 관형 등이 있고, 주로 탄환의 발사약으로 사용되나 로켓 발사약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또, 질소의 함유량에 따라 강면 화약(N=13% 이상)과 약면 화약(N=12% 이하)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발화온도는 약 180℃정도이며, 건조 상태에서 자연 폭발의 위험이 있으므로, 운반이나 취급 및 저장등에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無煙火藥 |
304 | 무용제화약 | 니트로글리세린 화약. | |
305 | 무지지상향계단식채굴법 | 작업 개소를 많이 만들기 위하여 채굴면을 계단식으로 만들어 상부로 채굴을 진행시키는 채굴법이다. 이 채광법의 적용 조건은 광맥의 경사가 급경사이고, 폭이 별로 넓지 않은 광체에 해당한다. 이 채광법의 장점은, 동시에 많은 작업장을 만들어 다수의 착암기를 사용할 수가 있고, 채굴 도중 필요하면 언제든지 다른 채광법으로 바꿀 수 있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 |
306 | 무지지채굴법 | 상반이나 좌우의 축벽을 지지하지 않아도 붕락되지 않을 정도의 견고한 모암과 광석일 때 적용되는 채광법으로서, 채굴 후에 생긴 공동을 충전물이나 지주 등으로 지지하지 않고 그대로 방치하면서 채굴해 나가는 방법이다. 그러나, 광체가 커서 상반을 지지할 목적으로 광주를 남겨 놓거나, 급경사 광체에서 작업을 하기 위한 발판을 걸쳐 놓은 것 등은 무지지 채굴법에 속한다. 이 무지지 채굴법의 종류에는 무지지 상향, 계단식 채굴법, 무지지 하향 계단식 채굴법, 중단 계단식 채굴법, 갱내 갱정법, 잔주식 채굴법 및 시링키지(shrikage)채광법 등이 있다. | 無支持採掘法,open stope mining method |
307 | 무지지하향계단식채굴법 | 대체로 무지지 상향계단식채굴법과 같으나, 다만 진행 방향이 하부로 향한다는 것이 다르다. 따라서, 무지지 상향 계단식 채굴법과 같이 광맥을 천반으로 하여, 착암기를 상부로 향하고 천공하는 대신 바닥 쪽을 향하여 천공하게 되므로 작업이 안전하고, 작업대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는 등의 장점이 있으나, 광석 운반이나 배수에 기계력을 이용해야 된다는 장점이 있다. | |
308 | 물리검층 | 지층의 물리적 양을 심도의 함수로 하여 기록하는 검층 방법으로 전기검층, 방사능층, 온도검층 등의 총칭이다. | 物理檢層, Geophysical well logging |
309 | 물리탐광 | 전기, 자기, 지진, 중력 탐광이 물리탐광에 속한다. | 物理探鑛 |
310 | 물의윤회 | 지표와 바다로부터 증발하여 대기내의 수증기 상태로 존재하였다가 비나 눈으로 강수 하고 있다. 이 과정을 반복 하는데, 이것을 물의 윤회라고 한다. | |
311 | 미광 | 선광 작업에서 유용 성분이 없어서 필요가 없는 광석이다. 정광만 회수하고 나머지는 찌꺼기이다 | |
312 | 미네랄지그 | 지그의 한 종류로서 비중을 선별해 내는 기계이다. | |
313 | 미분리입자 | 단체 분리가 완전히 된 입자. | locked particle |
314 | 미시간심빼기 | 갱도 중심 부분에 큰 지름의 천공(최대 101.6㎜)을 하지만, 이 구멍에는 장약을 하지 않고 그 주위에 작은 구멍을 천공하여 장약을 한 후 발파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천공이 쉽고, 1발파당 굴진 길이가 늘고, 심빼기에서 비석이 적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튼 구멍을 천공해야 하고, 폭약 소비량이 많아지는 경향이 있다. | Michigan cut |
315 | 밀리세컨드발파법 | 지발발파법의 하나로서 폭발지연 시간의 차이에 따라 분류된다. 발파시간은 0.020-0.050초 간격으로 폭약을 폭발시키는 방법이다. | millisecond,MS |
316 | 밀의 임계속도 | 볼과 밀의 안벽 사이에 미끄러짐이 없다고 가정하고, 밀의 회전 속도를 점차 빠르게 하면 볼의 무게와 원심력이 균형을 취하는 회전 속도에 달한다. 이때의 속도를 밀의 임계속도라 한다. | |
317 | 바다골재 | 해저나 해변에 퇴적되어 있는 바다모래, 바다자갈, 하구에 퇴적되어 있는 하구모래, 사구에 퇴적되어 있는 사구모래를 말한다. | 骨材 |
318 | 바리스타이트 | 약 50%의 니트로글리세린이 배합되어 폭발 온도가 높은 화약으로서, 현재는 전혀 사용하지 않고 있다. | |
319 | 바움지그 | 일종의 지그로서, 그 구조는 수선실과 공기실로 나누어져 있고, 수선실에는 수평 또는 구멍이 뚫린 경사 철판이 놓여 있어 석탄과 버력이 이 위에서 분리된다. 이 공기실은 폐쇄되어 있고, 여기서 압축 공기에 의한 물의 상하 운동이 일어난다. 수선실과 공기실과의 벽은 철판보다 어느 정도 깊게 빠져 있다. 물통, 즉 물 탱크는 보통 길이 방향으로 몇 개의 구로 분할된다. 공기실 위에는 공기 밸브가 있어 물의 맥동을 일으키는 압축공기를 넣거나 배출시킨다. 망상의 구멍을 빠져 나와 허치(hutch)에 가라앉은 버력과, 버력 배출기로 배출된 굵은 버력은 버킷 엘리베이터로 탈수되면서 배출된다. | |
320 | 반사법 | 땅 속에 있는 서로 다른 지층의 경계에서 반사되어 나온 탄성파를 기록해서 지하 구조를 알아 내는 방법이며, 이 방법의 특징은 짧은 축선으로 깊은 곳까지 탐사할 수 있다는 것과 불연속면이 많아도 이것을 쉽게 알아볼 수 있게 할 수 있다는 점이다. 기계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조사를 하는 데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나 최근에는 이 반사법에 사용되는 기계가 매우 발달되었으며 자기 녹음 방식에 의한 탐광기와 해석용 재생기(解析用 再生機)가 있다. 자기 녹음 방식에 의한 발달은 종전의 단점을 개량하여 모든 정보를 일단 테이프에 녹음해 몇번이고 재생 가능한 상태로 기록할 수 있게 하는 데 성공하였다. 그러므로, 지진파 탐광 중에 수록한 정보가 빠짐없이 이용됨은 물론 해석용 재생기를 이용하여 새로운 자료를 가지고 탐사 결과를 처리하는 방식이 개발 연구되었다. 현재 반사법으로 얻을 수 있는 유효한 정보는 반사파의 검출뿐만 아니라 이의 연결법, 소멸 상태의 파형, 주기 등과 또한 단층 판정에 사용되는 회절파, 속도 분포에 이용할 수 있는 다중 반사, 표면파 등의 파동 등이 있다. 이것들은 단층이나 반사면의 암상변화, 반사층의 호층상태(互層狀態) 등을 어느 정도 반영하는 것이다. 종전의 지진 탐광에 있어서는 100싸이클 이하의 주기적인 지진파가 쓰였으나, 최근에는 고주파의 파장을 이용하며 미세한 지하 구조까지 탐사하는 방법이 많이 쓰이고 있다. 또한 해상에서는 지진 탐광의 반사법과 유사한 원리에 따라 진원을 화약 대신 압축 공기 또는 가스 폭발 등의 음파를 발생시켜 탐사하는 해상 음파 탐광이 개발되었다. | |
321 | 반사현미경 | 편광 현미경의 일종으로 불투명 광물의 반사광에 의해 결정의 광학적 성질을 조사하는 현미경. 광석 현미경이라고도 한다. | 反射顯微鏡, refletion microscope |
322 | 반산화배소 | 광석 또는 정과 중의 S의 일부를 산화해서 제거하는 경우를 말한다. 동 제련의 배소 등은 이 예로, 만들려고 하는 매트의 품위에 따라 S을 남긴다. | |
323 | 반알렌데 | 외기권, 즉 기권의 바깥부분이다. 대전 입자가 지구 지상으로 인하여 대략 도우넛 모양으로 지구를 둘러싸고 있다. | |
324 | 반압 | 반압과 지압은 엄밀히 정의할 때에는 구분이 되나 광산에서는 같은 뜻으로 사용된다. 즉 지압은, 지하에 미치는 넓은 의미의 반압 상태를 말하는 것이고, 반압은 지하에 공동이나 갱도를 개설했을 때 미치는 압력 상태를 뜻한다. | |
325 | 반자성 | 자성에 의하여 물질을 두가지로 나누는데, 그 하나는 물질을 자장 안에 놓을 때 그것이 자장과 반대 방향의 자성을 얻어서 자석으로부터 반발하려는 힘이 생긴다. 비스무트, 안티몬, 인, 금, 은, 수은, 납, 구리, 물 등이 여기에 속한다. | 反磁性 |
326 | 발사약 | 무연화약조 참조. | 發射藥 |
327 | 발연제 | 폭발할 때 흰색 연기를 내게 하기 위해서는 아연가루와 산화아연이 사용되며, 노란색 연기에는 계관석, 검은 연기에는 안트라센고 나프탈렌 등이 사용된다. | 發煙劑 |
328 | 발파 | 폭약을 사용하여 물체를 파괴하는 작업을 말한다. 물체의 파괴란 발파 구멍내에서 폭약이 뇌관의 기폭력에 의하여 폭발 반응을 일으켜 순간적으로 많은 가스와 높은 열을 발생하고, 그 가스가 높은 열로 이해 급격히 팽창되어 주위의 물체에 고압을 가함으로써 물체의 결속을 파괴하고 압축 분쇄 상태로부터 파괴 균열 상태로 폭발력이 작용하여 물체를 파괴에 이르게 하는 것이다. | 發破, blasting |
329 | 발파계수 | 누두공의 크기와 모양은 누두 지수의 함수 f(n)과 관계되는 것이며, 발파계수 C의 값은 누두공의 크기나 모양과는 관계가 없으며, 발파에 필요한 장약량을 계산하는 데 중요한 계수이다. 암석의 강도에 비하여 폭약의 힘이 약하거나 전색이 불충분하면 발파 효과가 적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효과적인 발파를 하려면 많은 양의 폭약이 필요하게 된다. 어떤 부피의 암석을 발파할 때 필요한 폭약량은 발파 대상 암석의 발파에 대한 저항성, 폭약의 발파 효력 및 전색의 상태 등에 크게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발파계수 C는, 암석의 저항성을 나타내는 암석 계수를 g, 폭약의 효력을 나타내는 폭약 계수를 e, 그리고 전색 계수를 d로 나타낼 때,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 發破計數 |
330 | 발파공 | 폭약을 장진하여 발파하기 위해 뚫는 구멍. 발파공의 길이, 직경, 간격은 발파의 목적, 안전성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가장 적절하게 선택해야 한다. 또는 지진탐사에서 지진파를 발생시키기 위해 폭약을 장치하는 구멍. | 發破孔, shot hole |
331 | 발파공해 | 발파작업은 계획대로 효과적이고 안전하게 수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여기에는 여러 가지의 공해 요인이 수반되므로, 이들 문제점에 대한 예방과 통제가 반드시 필요하다. 공해 요인으로는 파쇄된 암석 조각의 비산, 폭굉압에 의한 지반 진동, 그리고 주로 폭발 가스에 의하여 발생되는 폭풍압 등이 있다. 이들 현상의 특성을 이해하고 예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 發破公害 |
332 | 발파기 | 전기 뇌관의 결선 방법은 직렬, 병렬, 직·병렬의 세 종류가 있고, 각각의 결선 방식에 다라 전압이 다르므로, 미리 결선 방식과 뇌관 수를 정하고 필요한 전압을 계산하여 그 용량에 따라 여유 있는 발파기를 선택하여야 한다. 전압 계산에는 발파 모선의 저항과 뇌관의 저항 및 발파기 내부의 저항 등을 고려해야 한다. | 發破機 |
333 | 발파전 | 화약류는 전류가 흐르는 곳 부근에서 취급해서는 안 되며, 발파는 발파 계원이 실시하여야 한다. 그리고 탄광에서는 발파할 때마다 발파 장소의 메탄가스를 점검하고, 0.5% 이상 있는 곳에서는 발파해서는 안 된다. 다만, 1.5% 이하일 때에는 순발 전기 뇌관 발파 및 점화 후 100m/s 이내로 끝나는 MSD(millisecond delay) 발파는 관계 없다. 또, 갑종 탄광에서 석탄가루가 많이 있을 때에는 물을 뿌린 다음에 발파를 시행하고, 발파할 때에는 바람이 불어오지 않는 쪽부터 해야 한다. 특히, 탄광에서 장공 발파를 할 때에는 뇌관을 정기폭으로 실시해야 한다. | 發破前 |
334 | 발파진동 | 발파에 따른 지반 또는 암반의 진동은 발파 지점에서부터의 거리, 폭약의 종류, 폭약량, 전색 상태 등의 발파 조건 이외에 파동의 전파 경로, 암석의 성질, 지반 또는 암반의 성층 상태 등에 따라 달라 진다. | 發破震動 |
335 | 발파채탄 | 탄층에 착암기나 오거(auger)드릴로 발파구멍을 뚫고, 여기에 폭약을 장전하여 발파함으로써 석탄을 채굴한다. 발파에 의해서 채굴된 석탄은 기계력 ·인력에 의해 컨베이어나 탄차에 실어 반출한다. 폭약은 일반적으로 질산암모늄 폭약이 사용되며, 가스가 없는 곳에서는 도화선 점화도 이루어지지만, 가스(메탄가스)가 많은 곳에서는 전기뇌관을 사용한다. | 發破採炭 |
336 | 발파효과 | 일반적으로 발파 작업은 착암기로 천공한 구멍 아넹 폭약을 장전하고 메지한 후 점화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발파를 내부 장약 발파, 밀폐 발파, 또는 천공 발파라 하고, 파괴 대상 물체의 외부에 폭약을 장치한 후 흙으로 덮어 발파하는 것을 외부 발파, 또는 자유 발파라 한다. 이때, 발파 효과는 약실의 형상, 약포의 지름, 장약공의 간격 및 폭발 시차 등에 의해 달라진다. | 發破效果 |
337 | 발파후 | 점화 후 폭발하지 않았거나, 폭발 여부가 확실하지 않을 때에는 지발 전기 뇌관의 경우 5분, 탄광, 토목, 석회석 발파 등 그 밖의 발파에서는 15분 이내에 발파 개소에 접근하지 말아야 한다. 또, 광산에서는 갱내 또는 갱외의 소발파시 15분, 그 밖의 경우에는 30분, 대 발파시는 30분 이내에 현장에 들어 가서는 안된다. 이 때, 전기 발파 모선은 발파기에서 떼어 놓아 재점화될 가능성을 없애야 한다. 특히, 탄광에 있어서는 메탄가스나 석탄가루의 유무를 조사하고, 위험이 있을 때에는 작업자의 출입을 금지시켜야 한다. 또, 불발약이 제거되지 않은 상태로 작업이 교대될 때에는 불발상황을 자세히 알려 주어 위험을 방지하도록 해야 한다. | 發破後 |
338 | 발화성 | 쉽게 불이 나는 성질. | 發火性 |
339 | 발화점 | 화약류가 가열되어 어느 온도에 도달하거나 일정한 온도로 일정한 시간만큼 가열하면 폭발 반응을 일으키는데, 이와 같이 화약이 발화되어 폭발할 수 있는 최저 온도를 발화점이라 한다. | 發火點 |
340 | 방사능 | 불안정한 원소의 원자핵이 스스로 붕괴하면서 내부로부터 방사선을 방출하는 현상. 이러한 성질을 가진 원자핵을 방사성 핵종(核種)이라 하고, 방사성 핵종을 함유하는 물질을 방사성 물질이라고 한다. 자연계에는 우라늄·라듐을 비롯하여 원자번호가 비교적 큰 약 40종에 이르는 원소의 원자핵이 이에 속하며, 원자핵 반응에 의해서 인공적으로 방사능을 띠게 한 것에는 원자번호 1인 수소에서 104번 원소인 쿠르차트븀(kurchatvium)에 이르는 약 1,000종의 방사성 핵종이 존재한다. | 放射能 |
341 | 방사능선별법 | 일명 전자 선별법이라 하며, 방사능 광물에 대한 선별법이다. 이 방법은 광석을 벨트에 단일층으로 깔아서 이동시키는 도중 방사능 계측기를 장치해 놓고 해당하는 방사능 광물을 기계적으로 적출한다. | 放射能選別法 |
342 | 방사능탐광 | 암석에 포함된 천연 방사성 원소의 붕괴에 의해 방출되는 αβγ선의 강도나 흡수변화를 측정하여 지하의 구조나 방사성 광물의 광상을 탐사하고 단층이나 지층의 변형을 검토하고 암층의 분포상태, 지하수의 이동이나 순환을 조사하는 일. 광물질 탐사에 사용되는 용어이다. 방사능 탐사는 동의어. | 放射能探鑛, radioactive prospecting |
343 | 방향족화합물 | 유기 화합물의 한 족. 분자 안에 벤젠핵을 가진 화합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 芳香族化合物 |
344 | 배사 | 젊은 지층의 방향으로 불룩한 습곡. 습곡에서 흔히 위로 불룩한 부분을 가리키는데, 보다 정확하게 표현하면 습곡의 내곡면 측에 층서적으로 고기의 암층이 존재하는 습곡구조를 가리킨다. | 背斜, anticline |
345 | 배수갱도 | 갱도를 규격과 목적에 따라 분류를 할 때 배수가 주 목적인 갱도. | 背水坑道 |
346 | 배수방법 | 배수 방법은 자연 배수와 기계 배수의 두 가지 방법이 있다. 1) 자연배수 갱도가 광산이 있는 지방의 하천보다 높은 곳에서 있을 때에는 갱내수가 갱도의 경사를 따라 갱구 쪽으로 흘러 나와서 하천으로 빠지게 되는데, 이와 같이 기계력을 이용하지 않고 배수시키는 것을 자연 배수라 한다. 2) 기계배수 하천보다 낮은 곳에 있는 갱도에서는 갱내수를 갱 안의 일정한 장소에 모아 펌프로써 갱 밖으로 배출시켜야 하며, 이와같이 기계력을 이용하여 배수시키는 것을 기계 배수라 한다. | 背水方法 |
347 | 백금선 | 백금(Pt)90%와 이리듐(Ir)10%를 섞은 합금을 사용한다. | 白金線 |
348 | 백만인당재해율 | 전 종업원이 백만시간 근무하는데 발생하는 재해자수를 말한다. 백만인당재해율=재해자수/가동연인원×106 | 百萬人當災害率 |
349 | 백만톤당재해율 | 석탄 백만톤을 생산하는데 발생하는 재해자수를 말한다. 백만톤당재해율=재해자수/석탄생산량×106 | 百萬ton當災害率 |
350 | 백암탄광 | 양강도(량강도) 백암 일대에 있는 유연탄광. 지층은 신생대 제3기 지층이며 주로 현무암·응회암·사암·이암 등이 분포한다. 탄층이 땅 표면에 6㎦ 이상 드러나 있으며 분포면적은 10㎦ 이상이다. 함탄층이 퇴적된 시기에 분출작용이 여러 번에 걸쳐 일어나 탄광이 형성되었다. 여러 곳의 탄층이 있으나 가행탄층은 두 곳이다. 이 지역의 석탄은 탄화작용이 매우 낮은 단계에서 형성되었으며 고정탄소 25% 이상, 휘발분 산출량 20~30%, 회분 20~30%, 습기 6~15%이다. 탄광 주변에는 이탄도 많이 매장되어 있는데, 이탄층의 두께는 평균 1m, 최고 6m이다. 이 지역에서는 지금도 습지화가 진행되고 있다 | 白岩炭鑛 |
351 | 백열전기내관 |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저압 전기 뇌관으로서, 전극 사이에 지름 0.03㎜의 백금선이 달려 있는데, 전류가 흐르면 가열되면서 점화약을 발화시킨다. 사용되는 전기는 0.5-2.0V, 1.0-1.5A, 0.8-1.5Ω이다. 점화약으로는 강면약 57%와 염소산칼륨 21.5% 및 황화안티몬 21.5%의 혼합물을 사용하지만, 티오시안산수은〔Hg(SCN)2〕과 염소산칼륨을 각가 1:1로 배합한 것을 사용하기도 한다. | |
352 | 버력 | 광산 ·탄광 등에서 갱도굴진 ·채광 ·채탄 ·선광 ·선탄 과정에서 선별되는 무가치한 암석 덩어리 ·암석 조각 ·슬라임(암석 등의 미세입자) 등의 총칭. 폐석(廢石)이라고도 한다. 탄광에서도 상당히 많은 버력이 나오지만, 철광산을 제외한 대부분의 금속광산에서는 채굴된 조광(粗鑛)의 90 % 이상이 선광한 후 폐석이 된다. 광산에서 광석을 채굴할 때 가치가 없는 암석도 동시에 채굴되고, 또 광석에도 가치가 없는 광물이 많이 포함되어 이것들을 선광과정에서 유용한 광물만을 골라내고 나머지는 버력으로 버려진다. 버력은 채굴하고 난 빈 장소의 충전재로 이용되지만, 보통 대부분은 갱외(坑外)에 반출되어 버력퇴적장에 버려진다. 오늘날은 버려진 버력이 콘크리트 골재 ·기와의 원료로도 이용된다. | refuse |
353 | 버언커트 | 이 방법은 천공 깊이를 깊게 하여 한 번의 발파량을 크게 하는 방법으로, 수평공을 평행으로 뚫어 굴진 능률을 올리고, 1발파당 굴진 길이를 증가시키는 방법이다. 오래전부터 미시간 심빼기가 사용되어 왔는데, 이것은 갱동 중심 부분에 큰 지름의 천공을 하지만, 이 구멍에는 장약을 하지 않고 그 주위에 작은 구멍을 천공하여 장약을 한 후 발파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천공이 쉽고, 1 발파당 굴진 길이가 늘고, 심빼기에서 비석이 적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튼 구멍을 천공해야 하고, 폭약 소비량이 많아지는 경향이 있다. 번 심빼기의 원리는 장약을 하지 않은 무장약 구멍을 천공하여 발파시 발생하는 균열권 안에 있게 하면, 그것이 자유면의 효과를 나타내어 장약공과 무장약공 사이에 있는 암석을 완전히 파괴시키는 것이다. 이 때, 파쇄된 암석의 일부는 외부로 분출되고, 일부는 발파공에 남아 있게 된다. 이렇게 해서 1차적으로 깊은 심빼기가 되면 자유면이 증가하게 되며, 2차적인 발파에 의해서 발파 범위를 쉽게 확대시킬 수 있다. | 번심빼기, burn cut |
354 | 버킷엘리베이터 | 광산에서 사용하는 연속 운반기의 한 종류로써 수직으로 올리는 것. | bucket elevator |
355 | 법정광물 | 국민 경제상 가치가 있고, 품위, 매장량, 부존 심도 및 교통 수단이 적합하여, 채굴이 가능한 광물을 법으로 정하여 놓은 것을 말함. 우리 나라에서는 이 법정 광물이 총 60여 종으로서 금, 은, 구리를 비롯한 금속 광물과 석탄, 흑연, 석유 등과 같은 비금속 광물이 이에 속한다. 이 법정 광물에는 희유 원소가 포함된 토석으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광물이 포함되어 있으며, 광물의 폐광 또는 광재로서 토지와 부합되어 있는 것도 법정 광물의 범위에 속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법정 광물은 나라마다 그 범위와 종류가 다르며, 같은 국가 내에서도 경제적인 여건과 환경의 변화에 따라 법정 광물의 종류가 변경 될 수 있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장차 희유원소를 포함한 토석이 광업법의 보호를 받아야 할 필요가 생길 경우 대통령령으로 법정 광물에 포함시킬 수 있게 해 놓았다. ※법정광물 : 금광, 은광, 백금광, 동광, 연광, 아연광, 창연광, 석광, 안티모니광, 수은광, 철광, 크롬철광, 티탄철광, 황화철광, 망간광, 니켈광, 코발트광, 텅스텐광, 몰리브덴광, 비소광, 린광, 붕소광, 보크사이트, 마그네사이트, 석탄, 흑연, 금강석, 석유, 운모, 석면, 유황, 석고, 하석(霞石), 납석, 활석, 남정석, 홍주석, 형석, 명반석, 중정석, 규조토, 장석, 불석, 사문석, 규회석, 수정, 강옥, 고령토, (도석, 벤토나이트, 산성백토, 규목점토, 목절점토 및 반토혈암을 포함한다), 석회석(백운석), 사금, 사철, 사석, 규석, 규사, 유라늄광, 리슘광, 카드미늄광, 세륨광, 토륨광, 베리륨광, 탄탈륨광, 니오비윰광, 질코늄광, 바나듐광 기타 희유 원소를 포함하는 토석으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것을 말한다. | 法定鑛物 |
356 | 베르톨레 화약 | 최초의 폭굉화약. 1786년 C.L. 베르톨레가 흑색 화약에 염소산 칼륨을 첨가하여 만든 화약. | |
357 | 베타(β)선 | 양(+)이나 음(-)의 전기를 가지고 있는 전자 입자. | 베타(β)선 |
358 | 베타(β)-화약 | 강면 화약 70%와 약면 화약 30%로 구성되어 있으며, 담회색 또는 담갈색을 띤다. 비중은 1.56-1.57로 물에 녹지 않고, 연소 생성물이 모두 기체이며, 군용 화약과 발사약 등으로 사용된다. | |
359 | 벤드지브커터 | 커터가 트로프 위를 달리기 때문에 탄벽의 아랫부분이 트로프 높이 만큼 남겨지므로, 현장에서는 커터 밑에 삼각형의 커터 슈우(cutter shoe)를 붙여 커터를 탄벽 쪽에 약 10°기울어지게 하여 될 수 있는 대로 탄벽 아래에 남는 것이 적게 하고 있으나, 그래도 아래에는 석탄이 삼각형으로 되어 남게 된다. 이 점을 개량해서 만든 것이 밴드 지브 커터이다. | band jib cutter |
360 | 벤토나이트 | 몬모릴로나이트군의 점토 광물군과 콜로이드상태의 실리카로 구성된 담색의 다공질 암석. 유리질 화성기원 물질. 흔히 응회암이나 화산재가 화학적 변화를 거쳐 생성된다. 촉감이 부드럽고 보통 비누의 촉감을 준다. 흔히 많은 양의 물을 흡수하여 부피가 약 8배 정도까지 팽창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토목공사에 사용한다. | bentonite |
361 | 벨트식급광기 | 벨트식 공급기에는 벨트 수송기의 축소형인 벨트 급광기, 에이프런 수송기의 축소형인 에이프런 급광기, 쟁반 수송기의 축소형인 쟁반 급광기 등이 있다. | |
362 | 벨트컨베이어 | 일반적으로 가장 널리 쓰이는 수송장치로서, 양단에 고정된 2개의 풀리(pulley)사이에 엔들리스 벨트(endless belt)를 걸고, 중간에 벨트가 처지지 않고 수평을 유지하도록 롤러(roller)로 받치도록 한다. 한 풀리를 회전시켜 줌으로써 앞 풀리 근방에서 벨트에 공급되는 광석을 운반하여 뒤 풀리 쪽으로 배출 시킨다. | belt conveyor |
363 | 변성광상 | 변성작용으로 유용광물이 한 곳에 집중되어 이루어진 광상. 변성작용에 따라 접촉변성 광상과 광역변성 광상으로 나눌 수 있다. 전자는 암석학적으로는 변성광상이지만 광상학에서는 마그마 광상으로 분류한다. | 變成鑛床, metamorphic deposit |
364 | 변성암 | 변성작용을 받은 암석의 총칭. 기존의 암석은 어떤 원인으로 그것이 만들어진 때와 다른 온도와 압력을 받게 되면 반응을 일으켜 새 환경에 알맞는 광물이 만들어진다. 그 때 암석의 조직도 변화하게 된다. 이렇게 광물의 조성과 조직이 변화하면 변성암이 된다. 변성암을 만드는 여러 현상을 변성작용이라 한다. 기존 암석이 완전 용융을 하게 되면 마그마가 형성되어 화성암(火成岩)을 만들기 때문에 완전 용융을 거치지 않는 상태에서의 작용을 의미한다. 부분 용융에 의하여 생긴 혼성암(混成岩)은 변성암으로 취급하는 학자가 많다. 변성작용시 화학조성의 변화는 기존 암석의 그것과 다름없는 경우가 보통이다. 예를 들면, 휘석과 사장석으로 된 염기성 화성암이 변성작용을 받아 화학조성의 변화 없이 각섬석과 사장석으로 구성된 각섬암(角閃岩)을 만드는 예가 그렇다. 그러나 변성작용시 화학조성이 기존암의 그것과 달라지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작용은 변성교대작용(變成交代作用)이라 하여 구별하기도 한다. 퇴적암이 화강암에 필요한 성분이 들어와서 화강암질암이 되는 화강암화작용(花崗岩化作用)은 이 작용의 한 예이다 | 變成巖, Metamorph rock |
365 | 보갱능률 | 보갱기능원 1인이 1교대(8시간) 작업 기간중 기존 갱도에 시공되어 있는 변형된 지주를 새로운 지주로 재시공한 작업량(set/공)을 말한다. | 保坑能率 |
366 | 보갱부 | 갱도의 보수·유지, 채탄과 굴진의 작업준비를 하는 작업원을 말한다. | 保坑夫 |
367 | 보롬프롬 | 중액제 중의 유기제 시약. | |
368 | 보안거리 | 화약류는 일정한 보안 거리를 두고 저장해야 한다. 보안 거리란 저장소 외벽으로부터 보안 물건까지의 거리를 말하며, 저장량에 따른 보안 거리는 대체로 70m-340m사이여야 된다. | |
369 | 보안교육 | 광업권자 또는 조광권자는 광산 종업원이 작업에 익숙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재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종업원에게 작업에 필요한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광산 보안에 필요한 교육은 대통령령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자체 교육, 위탁 교육 및 지도 교육으로 구분되고, 교육에 관한 기록은 보존해야 한다. 1) 자체교육 광업권자 또는 조광권자는 신규 채용자, 작업 내용이 바뀐 자 및 산업 자원부령에 규정된 위험 작업에 종사하고 있는 자에 대하여 보안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다만, 관계 법령에 의하여 기술 또는 기능 자격을 가진 자가 그 기술 또는 기능에 관련된 작업에 종사하는 경우에는 교육을 생략할 수 있다. 신규 채용자에 대한 보안 교육은 총 24시간 이상, 작업 내용이 바뀐 자에 대한 보안 교육은 총 8시간 이상 실시해야 한다. 위험한 작업에 종사하는 자에 대한 보안 교육은 6개월마다 8시간 이상 실시 해야 한다. 광업권자 또는 조광권자는 자체 교육 이외에 갱내에 취업하는 자에 대해서는 천반, 측벽 및 작업면의 검사 방법과 검사 후에 필요한 조치 및 낙반과 붕괴의 방지에 관한 교육을 매작업 시작 전에 실시해야 한다. 2) 위탁교육 광업권자 또는 조광권자는 보안 관리 직원, 기타 산업 자원부령으로 정하는 특히 위험한 작업에 종사하는 자에 대하여, 그 취업하는 작업에 관한 보안 교육을 대한 광업 진흥 공사에 위탁하여 실시한다. 위험한 작업이라 함은 광물을 직접 채굴하는 작업, 광산 재해시의 구호 작업 및 화약류를 취급, 사용하는 작업을 말한다. 다만 석유 광산의 경우, 위험한 작업은 산업 자원부 장관이 별도로 정한다. 3) 지도 교육 사무소장은, 보안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언제나 광산 종업원에 대하여 취업하는 광산이나 기타 적절한 시설에서 교육을 실시 할 수 있다. 4) 기록의 보존 광업권자 또는 조광권자는 자체 교육의 실시 결과 기록을 교육이 끝난 날로부터 2년간 보존해야 한다. | 保安敎育 |
370 | 보안물건 | 화약류의 취급상 피해로부터 보호가 요구되는 장비, 시설 등을 말하며, 다음과 같이 4종류로 구분한다. (가) 제1종 보안 물건 국보로 지정된 건조물, 시가지의 주택, 학교, 보육기관, 병원,사찰,교회 및 경기장. (나) 제2종 보안 물건 촌락의 주택 및 공원 (다) 제3종 보안 물건 제1종 및 제2종 보안 물건에 해당되지 안는 주택, 철도, 궤도, 선박의 항로 또는 계류소, 석유 저장시설, 고압가스제조 및 저장시설, 발전소, 변전소 공장. (라) 제4종 보안 물건 국도, 지방도, 고압 전선, 화약류 취급소 및 화기 취급소 | |
371 | 보오크사이트 | 알루미늄을 추출하는 원료 광물이므로 금속광물로 취급됨. | |
372 | 복성현가 | 재취득 또는 재생산원가에서 그 물건의 현상에 적응하는 감가를 공제하여 얻은 현가를 말한다. | 復成現價 |
373 | 본드(Bond)의 이론 | 분쇄에 필요한 일의 양은 분쇄된 광립의 크기(지름)의 제곱근에 반비례한다는 이론 | |
374 | 볼노턴원통형자력선별기 | 원통을 옆으로 2개 놓고, 앞 원통의 정광을 뒤의 원통으로 자성이 강한 것과 비교적 약한 것으로 다시 선별해 내고 있다. 이 선별기는 세가지 종류의 산물을 얻을 수 있는데, 비자성 광립, 중간물, 강자성 광립이 모인다. 원통은 보통 지름 60-90㎝, 나비 40-60㎝ 정도의 크기이고, 필요한 전류의 양은 광립의 크기에 따라 다르다. | |
375 | 볼밀 | 볼 밀은 분쇄하는 매체로서, 칠제 볼을 사용하는 것이다. 1) 튜브 볼 밀 원통의 길이가 지름의 3-4배나 길며, 원통 내의 광석의 이동 거리가 길어서 미분쇄하는 데 적합한 것이다. 2) 그레이트 볼 밀 실린더형 밀이며, 밀 내에서 빻아진 광석이 격자를 통하여 배출된다. 3) 원뿔형 볼 밀 원통형의 양단을 원뿔 모양으로 한 것으로서, 선별 공장에서 각종 광석의 처리뿐만 아니라 선별 공장 이 외에도 석회석, 점토, 시멘트 및 활석 등의 분쇄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 |
376 | 볼분급기 | 레이크 분급기의 아래 넘쳐 흐르는 쪽에 지름 2-6m의 얕은 볼을 얹어 놓은 것이다. 광액은 이 볼의 가운데에서 급광하면 광니는 볼의 주변에서 넘쳐 흘러 배출된다. 볼의 밑에 침적된 굵은 입자는 매분 2-7회전 하는 레이크에 의하여 긁어 모아 가운데 있는 구멍으로 밑에 있는 침전통에 떨어 뜨린다. 떨어진 광사는 밑의 분급기에서 다시 분급되어 레이크로 긁어 배출된다. | bowl classifier |
377 | 봄베열량계 | 폭약의 폭발열을 측정할 때에는 열량 측정 장치를 사용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봄베 열량계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열량계는 물 속에 잠겨 있으며, 열량의 측정은 폭발 전 물통 속의 온도와 폭발 후 물통 속의 온도의 차이를 알아 내어 다음 식에 의하여 계산하여 한다. 여기서, Q : 폭발열(㎈) θ : 온도차 W : 물통 속의 물의 양 E : 밀폐용기, 물통, 교반기속의 전체 물의 양(㎏) X : 시료 폭약의 양(㎏) | |
378 | 부광비 | 정광 품위와 원광 품위와의 비로서, 원광 품위가 몇 배로 향상되었는지를 나타낸다. | enrichmoent gred |
379 | 부광체 | 광상 중에서 연속하여 품위가 높은 또는 규모가 큰 부분. | 富鑛體,Ore shoot |
380 | 부선기 | 부선법에 의해 광액 중에서 유용 광물을 띄우는 기계를 부선기라고 한다. 부선법의 발달에 따라 많은 종류의 부선기가 제작 또는 개량되어 발전해 오고 있으며, 오늘날 사용되고 있는 부선기들은 광액 속에 공기를 도입하여 기포를 발생시키게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 flotation machine |
381 | 부선제 | 부유 선별법에서는 목적 광물과 맥석 광립과의 부유도의 차를 크게 하여, 정광과 맥석과의 선별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하기 위하여 광액에 여러 가지 시약을 첨가한다. 이와 같은 여러 가지 목적으로 첨가하는 시역을 통틀어 부선제라고 한다. 이들 부선제를 사용 목적에 따라 크게 나누면 포집제, 기포제 및 조절제의 세 종류가 있고, 조절제를 다시 세분하면 억제제, 활성제, pH조절제, 분산제, 해독제 등으로 나뉜다. | flotation reagent |
382 | 부선폐석처리 | 부선 광미는 다량의 수분을 지니고 있어 침전지 혹은 댐에 그대로 버려지는 일은 드물고 적절히 농축해서 유송하는 것이 보통이다. 폐석량을 정광량의 수 배로부터 수십 배에 달하기 때문에 여기에 사용되는 농축기는 정광용보다 훨씬 커야 한다. 폐석용 농축기와 처리 능력은 폐석의 성질과 입도 및 농도 등에 좌우되고, 또 스피것(spigot)의 농도는 유송에 적합한 정도로 해야하기 때문에 정광용보다 처리 능력을 추정하기가 어렵다. 부선 폐석은 보통 0.3㎜이하이기 때문에 이 광액의 유송에는 동력 소비 관계상 다이어프램 펌프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 유송된 폐석은 침전지, 댐, 퇴적장 및 갱내 충전장 등으로 방류해서 처리한다. | |
383 | 부스터 | 폭발 촉진제. | booster |
384 | 부유도 | 광물 입자들이 잘 뜨고 못 뜨는 정도를 부유도(floatability) 라고 한다. | floatability |
385 | 부유선광 | 부유 선광은 광물 표면의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광물 중에는 기름에는 잘 젖으나 물에는 잘 젖지 않는 소수성인 광물과 반대인 친수성인 광물이 있다. 친수성은 수면에 뜨기가 어렵고 소수성은 물위로 잘 떠올라 온다. 이와같이 물에 뜨려고 하는 성질을 이용할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부선제로서 광물 표면의 성질을 바꿔 잘 뜨도록 한다. 즉 분쇄한 작은 광립을 물에 푼 펄프에다 적당한 부선제를 넣고, 적당한 장치에 의해서 많은 기포를 발생시켜 그 기포의 표면에 필요한 광물의 입자를 붙게 하면, 펄프의 표면으로 떠서 광물과 맥석이 분리된다. | |
386 | 부유선광기 | 부유 선별법에 의하여 광액 중의 유용 광물을 띄우는 기계를 말한다. | |
387 | 부유선별 | 유용 광물의 선별 작업으로 일찍부터 발달한 인공적 수선이나 물로 씻는 세광, 비중 선별 및 비교적 근래에 시작된 자력 선별, 정전 선별 등은 모두 광물의 물리적 성질을 이용한 방법들이다. 이러한 방법들은 기술적인 면과 응용에 있어 상당한 제한을 받고 있다. 여기에서 부유 선별이라 함은 이러한 제한을 타개하게 된 비교적 최근에 발달한 방법으로서, 주로 광물의 계면 화학적 성질의 차이를 이용한 것이다. | |
388 | 부유선별법 | 광물 표면의 성질을 이용하여 단체 분리된 광석을 유용 광물과 맥석으로 분리하여 회수하는 선별 방법이다. 광석을 미립으로 만들어 물을 적당히 섞어 광액으로 만든 다음, 적절한 종류의 시약을 넣고 잘 혼합하여 부유 선별기 속에 기계적으로 공기를 불어넣어 기포를 발생하게 하면 어떤 종류의 광물은 기포의 표면에 붙어 떠오른다. 이 때, 부유된 거품 주위에 부착된 유용 광물을 모아 정광을 얻는데, 이 방법을 부유 선별이라 한다. | 浮遊選別法 |
389 | 부유현상 | 일반적으로 기포가 광립에 비해 대단히 크므로, 광립은 기포에 붙은 채 위로 떠올라간다. 이러한 현상을 부유 현상이라 한다. | |
390 | 부의중심 | 지표에서 측정될 정도의 전기 화학적 현상이 발생하는 곳은 주로 황화 광물이 존재하는 곳이며, 광체의 상부에 전위값이 가장 낮은 부(―)전위를 가지는 부분이 생기는데 이를 부의 중심이라고 한다. | negative center |
391 | 부정합 | 하나의 지층이 다른 지층이나 화성암체 또는 변암체위에 퇴적되어 겹쳐 있고, 그 사이에 침식작용의 시기 등이 커다란 시간적 간격이 있었다고 인정되었을 때의 상위 지층과 하위 암체와의 관계를 말한다. 또한 이 용어는 상위암체가 용암일 때도 사용된다. 형상, 종류에 따라 평형부정합, 경사부정합 등으로 분류되고 있다. | 不整合, Unconformity |
392 | 부정합-1 | 지각 변동이 없는 환경에서 퇴적물이 계속 쌓여서 퇴적암이 되면 평행한 층리가 무수히 생길 것이다. 이와 같은 지층들 사이의 관계를 정합이라 한다. 상·하 암층 사이에 상당한 기간의 퇴적 중단을 의미하는 면이 존재할 때 이들 상·하 암층 사이의 관계를 말함. | 不整合, unconformity |
393 | 부챗살심빼기 | 최소 저항선과 자유면을 유효하게 이용하고, 같은 위치에서 착암기를 이동하지 않고 천공하는 방법인데, 부챗살 모양으로 천공한다. 천공 길이와 폭약 소비량 등이 적고, 굴진면의 나비가 넓은 곳에서는 매우 유리하다. | fan cut |
394 | 부흡착 | 용액의 농도가 계면 농도보다 진하게 되었을 때를 말함. | negative adsorption |
395 | 분광 | 분상의 것으로서 대체적으로 15㎜이하를 말함. | fine ore |
396 | 분급 | 광립이 유체 중에서 침강할 때의 속도는 비중이 같을 때 광립의 크기에 따라 차이가 생긴다. 이 침강 속도의 차이를 이용하여 입자의 크기를 분리하는 것을 말함. | classification |
397 | 분리입자 | 단체분리가 완전히 된 입자. | free particle |
398 | 분립 | 광석이나 암석을 분쇄하여 분립체를 입자의 크기별로 나누는 것을 말함. | 分粒, sizing |
399 | 분쇄 | 조쇄와 중쇄를 거쳐 나온 산물을 더욱 잘게 부수기 위해 분쇄 단계로 공급한다. 분쇄는 단체 분리에 필요한 크기로 부수는 것이 목적인데, 대개는 48메시(0.295㎜)이하로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200메시(0.074㎜)이하로 미분쇄할 때가 있다. | 粉碎 |
400 | 분쇄기 | 분쇄기는 칠리언 밀, 헌팅턴 밀, 도광기 등도 있으나 보통 회전 원통형 분쇄기가 가장 많이 쓰인다. 회전 원통형 분쇄기로서는 볼 밀, 로드 밀 및 페블 밀 등이 있다. | 粉碎機 |
401 | 분쇄비 | 분쇄에서 부수기 전에 최대 입자의 지름과 부서진 후의 최대 입자의 지름과의 비를 말함. 여기서, R : 분쇄비 F : 급광 중의 최대 입자의 지름 P : 산물 중의 최대 입자의 지름 | 粉碎比, reduction ratio |
402 | 분진작업 | dust work. 일반적으로 고체를 분쇄, 연마, 절삭하는 작업공정이나 토석, 암석, 광물을 하역하는 등의 작업시에 공기 중에 분진이 부유하게 된다. 이와 같이 부유하는 분진에 폭로되어 건강 장해를 일으킬 우려가 있는 작업을 분진작업이라고 한다. 분진에 의한 건강장해에서 특히 위중한 장해인 진폐의 건강관리를 위하 여 진폐의 예방과 진폐근로자의보호등에 관한 법률이 1984년에 제정되었다. 분진작업에서의 설비의 기준, 설비의 성능, 작업환경측정, 보호구 착용 등에 대하여는 산업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규정되어 있다. | 粉塵作業 |
403 | 분진처리장치 | 먼지를 포집하는데는 몇가지 방법이 있다. 1) 침적에 의한 포집 장치 배기구에서 빠져 나온 공기를 지그재그형 연도 장치로 침적시키서나, 가는 연도에서 갑자기 넓은 집진실에 넣어서 침전시키는 방법이 있으나, 이들 방법은 미세한 입자들을 침적시키지 못하는 결점이 있다. 2) 원심력에 의한 집진 장치 사이클론을 이용하여 먼지를 주벽으로 가라앉혀 아래로 제거하고, 깨끗한 공기를 위로 방출시키는 장치이다. 원심력은 속도의 제곱에 정비례하고 반지름에 반비례하므로, 지름이 작은 원통을 여러 개 세워 이상적으로 먼지를 포집하는 다중 콘이라는 것이 있다. 3)여과에 의한 집진 장치 이 장치는 에어필터, 더스트 필터, 드라이 필터, 백 룸, 백 하우스 등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린다. 큰 방의 상부에 공기는 통과하되 먼지는 통과하지 않는 천으로 만든 자루를 수십 개 내지 수백 개 병렬로 매달아 놓는다. 각 자루의 하단은 열려 있고, 상단은 막힌 채로 요동틀에 달려 있다.먼지를 가진 공기는 입구롤 들어와서 하단으로부터 천을 통과하여 출구로 나가는 동안에 먼지가 여과된다. 먼지는 자루의 안벽에 쌓이므로 가끔 흔들어 떨어뜨려 밑에서 모아 제거한다. 4) 인공 낙수에 의한 집진 장치 자연계에서 안개와 비가 먼지를 흡수하여 가지고 내려올 때 정화시키는 원리와 같은 것으로서, 스프레이 타워라고 불리는 장치가 바로 이것인데, 먼지를 함유한 공기의 흐름과 물방울이 서로 잘 접촉하도록 하면 된다. 간단한 구조의 장치로서는 긴 원통에 물을 반쯤 담아서 뉘어 놓고, 이것을 돌려 주면서 한쪽 끝으로부터 먼지를 가진 공기를 도입해 주면서, 원통 내의 천장에서 물방울일 떨어뜨려 먼지를 포집하게 된다. 이 때, 안벽에는 많은 돌기를 만들어 주는 것이 물방울들을 많이 만들게 하는 데 효과적이다. 5)정전기에 의한 집진 장치 정전기에 의한 집진 장치는 일반적으로 코트렐 집진 장치로 알려져 있다. 이 집진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고압의 전극들 사이에 부유되어 있는 미소 입자들은 유도 정전기를 띠게 되고, 반대가 되는 전극에 끌려가서 방전하여 집진하게 된다. 이 때, 두 극 사이에 걸어 주는 전압은 10,000-100,000〔V〕의 고압이기 때문에 특히 절연체의 선정에 주의하여야 한다. 때때로 전기 스위치를 끄로 망치로 충격을 가하여 집진된 먼지를 떨어뜨려 제거한다. 간혹 먼지에는 유기물이 농축되어 있을 때가 있으므로 이것을 모아서 재처리하기도 한다. | 粉塵處理裝置 |
404 | 분출암 | 마그마가 화도나 틈을 통해 지표로 유출되어 급냉 고결된 화성암. 화산암은 지표에 유출되어 고결된 것 외에 지하 수 100m 이하의 낮은 곳에 관입한 화성암체도 포함한다. 그러나 보통 분출암은 화산암과 동의어로 사용된다. | 噴出巖, pulverite |
405 | 분해압 | 진공 용기 중에서 탄산염을 가열하면 어느 온도에서 열분해가 시작되어 CO2가 생기고 일정 온도를 유지하면 CO2가스가 어느 일정한 압력을 나타나게 된다. 이 CO2의 압력을 그 온도에 있어서의 탄산염의 분해압이라고 한다. | 해리압 |
406 | 불규칙광상 | 괴상, 중상, 광염상, 사광 등의 광상을 말한다. 다만, 괴상, 주상, 광염상중에서도 형태가 규칙적인 경우에는 규칙 광상으로 간주할 수 있다. | 不規則鑛床 |
407 | 불규칙광상의탐사 | 불규칙한 광체의 경우에도 지구 물리 또는 지구 화학 탐사법의 발달에 힘입어 대체적인 규모를 알 수 있기 때문에, 시추에 의해서 흔히 확인 작업을 하게 된다. 일반적인 경우에 광체를 육면체로 생각하여 시추나 갱도 탐사 등으로 매장 광량을 계산하는데, 6면 중에서 3-4면이 개발되어 직접 확인되는 규칙적인 광체일 때 이를 확정 광량이라고 하며, 2-3면이 확인되면 추정광량, 그리고 1-2면만 노출되면 예상 광량이라고 말한다. | 不規則鑛床의 探査 |
408 | 불꽃제 | 숯과 황화칼륨 등과 금속가루의 혼합물로서, 찬란한 불꽃을 만들기 위해서는 산화제를 충분히 혼합해야 하다. | |
409 | 불석 | 퇴적암중의 규산질 화산 유리질이 매몰변성작용, 열수변질작용, 풍화작용에 의하여 생성된다. 국내의 불석은 제3기층 퇴적암 중 응회암질 상기작용과 속성작용에 의하여 형성된 것으로 경북지방에 한정되어 부존 한다. 용도로는 토양 개량제용, 가축사료용, 농약용, 비료용, 건조제, 폐수처리 등에 사용된다. | 弗石,Zeolite |
410 | 붕락법 | 이 채굴법은 광체나 상하반이 연약하고 급경사로 매장되어 있을 때 적용되는 채광법으로서, 광석을 채굴하게 되면 상반이 자연히 붕락하게 채굴적을 충전하게 되므로 상부 지표가 침하하게 된다. 따라서 이 채광법을 적용할 때에는 지표의 침하나 함락이 있어도 지표에 하등의 영향을 받지 않는 조건이라야 하며, 만일 지표에 건물이나 시설물이 있으면 이 채광법은 적용할 수 없다. 이 채광법에는 톱 슬라이싱법, 블록 케이빙법, 서브레벨 케이빙법 등이 있다. | caving method |
411 | 붕산염광물 | 붕사, 게른석, 회붕석 ※ 붕사 백색의 단사정계 광물. 유리나 수지광택을 보이며, 염호에 침전물로 산출된다. | 硼酸鹽鑛物 |
412 | 브랫퍼드브레이크 | 주로 석탄에 사용되는 기계로서 굵은 폐석을 제거 하기 위하여 쇄광기와 체를 결합한 것과 같은 것이다. 구멍이 뚫린 강철판으로 된 원통이 회절 하도록 되어있고, 그 속에 탄을 긁어 올리는 날개가 달려 있어서 공급된 탄을 날개로 긁어 올려서 낙하시키면, 떨어지는 탄이 부서져서 철판 구멍으로 빠져 나가고, 단단하여 부서지지 않는 폐석은 급광구의 반대 쪽으로 배출된다. | |
413 | 브랫퍼어드쇄탄기 | 파쇄와 선탄을 겸한 것이며, 원통 회전체 속에 석탄과 암석 덩어리들을 넣어면 석탄은 잘 부스러지고 암석은 잘 부스러지지 않기 때문에, 석탄과 암석이 분리되어 나오도록 된 것이다. | |
414 | 블레이크형조오크러셔 | 광석은 가동 조오와 고정 조오 사이에서 파쇄된다. 플라이휘일이 회전하면서 피트먼이 상하 운동을 하고 토글이 당겨지거나 늦추어지면서 아래쪽을 전진, 후퇴시켜 광석을 부순다. | |
415 | 블록도시법 | 카올린의 원광을 코니컬, 페블 밀에서 마광하여 레이크 분급기에서 광사와 오우버플로우로 나누고, 광사는 요동 테이블에 걸어 광미와 정광으로 다시 나누어져서 광미는 폐기된다. 그리고, 정광은 트로멜 체에서 망상물은 운모로 하고, 망하물은 폐기한다. 한편, 분급기의 오우버플로우는 트로멜에서 망상물은 폐기하고 망하물은 분급기로 보내어 진동체에 공급, 망상물은 디크너 필터를 통과하여 정제 카올린으로 한다. | |
416 | 블록케이빙법 | 광석 중에 승갱도로 여러 개의 구획을 만들어 놓고 상부에서 부터 발파로 붕괴시켜 채굴하는 방법이다. 채굴된 광석은 경사진 홈통을 따라 자동적으로 하부로 내려와 하부 갱도의 광차에 실리도록 되어 있다. 이 채굴법은 출광 능력이 크고 채굴비가 염가이나, 채취율이 낮고 보안상 위험이 따른다는 단점이 있다. | |
417 | 비금속광물 | 비금속 자원은 주요 요업 원료, 화학 공업 원료 및 경금속 원료 등으로 쓰이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들을 원료로 하는 공업에서는 원료 소비량이 많으므로 원료 자원의 확보, 그 채굴 방법 및 선별법 등이 큰 문제가 된다. 최근에는 특히 규석, 도석, 활석, 석고 및 장석 등은 점차 품질의 저하와 자원의 고갈로 인하여 저품위밖에 없으므로, 원료의 정제에 최신의 선광 기술을 적용시켜 품질의 향상과 품질의 균일화, 그리고 원료 공급의 안정화를 기하고 있다. 그러나 비금속 광물의 선별은 금속 광물의 선별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점이 특이하다. (가) 비교적 소량의 불순물을 제거할 때가 많다. (나) 선별 방법으로 단순히 분립 또는 분급만으로 목적을 달성할 때가 있다. (다) 금속 광물일 때에는 실수율을 주용시하는 것에 반해 이는 산물의 품위가 문제가 된다. (라)비금속 광물들은 단위 무게당 가격이 비교적 싸므로 선별비가 저렴하여야 한다. (마)동일한 광석이라도 이용면에 따라 제품의 품질 요건도 크게 달라질 때가 많다. 이와 같이 비금속 원료 광물의 선별에 관하여는 기술적, 경제적, 또는 원료의 산출상태에 따라 분쇄, 체질, 분급, 자선, 부선, 침강, 여과 및 탈수 등의 각 공정이 특색이 있다. 특히, 고순도의 산물을 요구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부유 선별 방법으로 처리되어야 한다. | 非金屬鑛物 |
418 | 비금속광석 | "금속광석"조 참조 | 非金屬鑛石 |
419 | 비금속광택 | 광택이 금속광택에 비해 아주 약한 광택을 말함. | 非金屬光澤 |
420 | 비금속자원 | 금속 성분의 추출을 목적으로 하지 않고 어떤 화학적 또는 물리적 성질을 이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채굴되는 광물을 비금속 광물이라 하며, 이들이 경제성을 가지는 원료 광물로서 부존될 때 이를 비금속 자원으로 통칭한다. | 非金屬資源 |
421 | 비닐도화선 | 수분이 많은 곳이나 물 속에서 발파할 경우에 사용하는 도화선 으로서, 내수성을 높이기 위하여 비닐 등으로 피복한 것이다. | |
422 | 비색분석 | 색깔의 종류와 농도의 정도를 이용하여 분석하는 모습을 보인 것임. | |
423 | 비소 | 황비철석(arsenopyrite: FeAsS), 웅황(As2S3) 등의 광물에서 얻어지며, 살충제, 제초제로 이용되고, 그 밖에 유리 공업에도 이용된다. | arsenic : As |
424 | 비쇄설성퇴적암 | 퇴적물이 기존 암석에서 유래되어 기계적으로 퇴적되었다는 증거가 없는 퇴적암을 수식하는 용어. | 非碎屑性堆積巖 |
425 | 비스무트 | 천연 금속 원소 Bi. 능면체 결정을 보이는 광물. 흔히 무겁고 잘 부서지며 은백색 또는 회백색을 띤다. 나무가지 모양이나 엽상 또는 입상으로 산출되기도 한다. | bismith |
426 | 비임설 | 지하 공동 위의 암반이 시간이 경과하면 결국 공동 바닥에 내려앉게 되지만, 막장면 부근에는 암반의 한쪽 끝이 지지된 지렛대와 같은 작용을 하면서 막장면을 압축한다는 학설. | |
427 | 비자성광물 | 자성의 세기가 아주 약한 광물. 석류석, 석영, 금홍석, 황철석, 섬아연석, 돌로마이트 등이 있다. | 非磁性鑛物 |
428 | 비저항법 | 암석이나 광석은 그 구성 광물의 종류와 함량비, 그리고 상태에 따라 전기의 전도도에 차이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지각의 도전성에 의하여 나타나는 전기 비저항값을 측정함으로써 도전성을 가지는 광물로된 광상이나 지하수 등의 존재와 규모 등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결국 비저항이라함은 어떤 물질이 가로 1m, 세로 1m, 높이 1m의 단위 체적인 1㎥의 전기저항(Ω·m) 이다. | 比抵抗法 |
429 | 비정질 | 결정의 성질을 갖고 있지 않은 것에 대한 수식어. 내부의 원자 배열이 불규칙하여 특징적인 외형을 만들지 못한다. 비결정질은 동의어. | 非晶質, amorphous |
430 | 비중 | 어느 온도에서 어느 부피를 점하는 물질의 질량과 그것과 같은 부피의 어느 표준물질의 질량과의 비를 가리킨다. 보통 표준물질로서는 4℃의 물을 사용한다. 같은 장소에서 측정하면 양자의 무게 비를 취해도 됨으로 비중이라는 명칭이 부여되었다. 즉 4℃의 물의 밀도는 0.999973g/㎤임으로 비중의 0.99-9973배가 cgs단위로 표시한 밀도와 같다. | 比重, specific gravity |
431 | 비중선광 | 광물 고유의 비중의 차를 이용하여 선별하는 방법이다. 비중선광은 유체중에서 광립이 가라앉는 속도의 차를 이용하며 건식과 습식이 있다. 건식은 농촌에서 곡식을 타작하여 풍구 (바람 개비)를 이용하여 알곡과 불순물을 분리하는 방법을 생각하면 된다. 습식은 집에서 어머님이 이 남박으로 쌀을 돌과 분리하는 작업을 생각하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며 비중이 가벼운 나무가 물위에 뜨는 이치를 알면 된다. | 比重選鑛 |
432 | 비중선별 | 금속 광물에 있어서도 맥석보다 비중이 대체로 크기 때문에 비중 선별법을 많이 이용한다. 자연계에서 광상이 풍화되면 광물들은 빗물에 의하여 낮은 곳으로 흘려내려간다. 이 때, 무거운 알갱이는 가벼운 알갱이보다 씻겨 내려가는 속도가 늦어 그 가까이나 또는 낮은 곳에 침적하게 된다. 비중선별에서 물을 쓸 경우 습식 선별이라 하고, 공기를 이용할 때를 건식 선별이라 한다. 부유 선별이 발달하지 않았을 때에는 주로 이 방법에만 의존하였으나, 오늘날은 부유 선별의 발달로 이 비중 선별의 중요성이 다소 줄어들기는 하였지만 아직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 gravity concentration |
433 | 비철금속 | 철 및 철강 합금 자원을 제외한 금속의 종류는 매우 많다. 이 들중 대부분의 금속은 특수강을 만드는 합금으로 이용되는 것이며, 비철 금속은 각각 그들이 가지는 고유한 물리적 성질과 화학적 성질에 의해서 특정 용도에 따라 단일 성분 또는 합금으로 이용되고 있다. | 非鐵金屬 |
434 | 비트 | 보링에 사용하는 송곳 같은 것으로 칼끝에는 다이아몬드, 아주 단단한 팁, 경질 합금 등을 사용한다. | Drill bit, Rock bit |
435 | 비트게이지 | 비트의 지름 | |
436 | 비티아즈해연 | 대륙 사면과 해양 대지의 경계부분에는 깊이 6000m이상되는 깊고 좁게 골모양으로 발달한 곳이 있는데 이것을 해구라 하며 해구중에서 깊은곳을 해연이라 하며 세계에서 가장 깊은 해연은 메리애나 해구중에 깊이 11,034의 비티아즈 해연이다. | |
437 | 비한금속 | 비금속, 합금의 주금속. | base metal |
438 | 비황화광물 | 석탄, 방해석, 중석, 석영, 장석 등 | |
439 | 빈광대 | 광상의 일부지만 광석 광물이 전연 또는 거의 농집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말한다. | 貧鑛帶, Barren zone |
440 | 사갱 | 경사로 이루어진 갱도를 말함. 하부 개발을 위한 개갱 방법은 사갱과 수갱에 의한 방법이 있으며, 노두에서 급경사로 지하 깊숙이 매장되어 있는 경우, 처음에는 사갱에 의하여 개갱을 하고 그 뒤 일정 심도에 이르면 수갱으로 굴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경사가 17-22°정도인 사갱에서는 광차나 벨트 컨베이어에 의하여 광석, 사람, 재료 등을 운반하고, 경사가 급경사인 사갱에서는 스킵에 의하여 운반한다. | 斜坑, Inclined shaft |
441 | 사공식 | 장공 발파에는 계단 위쪽에서 앞쪽으로 평행하게 천공하는 착정식 발파와 앞쪽에서 위쪽에 평행하게 천공하는 사공식 발파가 있다. | 蛇孔式 |
442 | 사광상 | 풍화된 암석의 부스러기가 그 자리에 잔류하지 않고 침식, 운반 되어 가다가 어느 한 곳에 모인 것이 사광상이다. 유용 광물 중에서 쉽게 부스러지지 않고 비중이 크며, 화학적으로 안정한 성질을 가지는 것이 흐르는 물에 운반되는 동안에 비중이 가벼운 모래나 자갈과 분리되어 농집된다. 농집되는 장소는 하천바닥이나 주변 호수 및 해안 등지이며, 충청남도 지방의 사금, 말레이시아의 주석, 인도의 사철, 아프리카 해안의 다이아몬드 사광상이 이에 해당한다. | 沙鑛床, placer |
443 | 사문암 | 거의 대부분이 사문석군 광물들로 구성된 암석. 사문석군 광물들은 감람석이나 휘석과 같은 철-마그네슘(Fe-Mg)규산염 광물들로부터 유래된 것들이다. 부성분 광물은 녹니석, 활석, 자철석이다. | 蛇紋巖·石 serpentinite |
444 | 사방정계 | 3개의 결정축들이 서로 직교하면서 길이는 서로 다른 결정계. | orthorhombic system |
445 | 사암 | 쇄설성퇴적암의 일종으로 사립(砂粒)이 모여 굳어진 암석. 사립의 지름은 1/16∼2mm이며, 일반적으로 석영 ·장석 ·운모 ·각섬석 등의 광물 및 암석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입자는 풍화되고 운반되는 과정에서 마멸 ·도태되어, 여러 가지 형태나 입경(粒徑)을 가지게 된다. 그 입도(粒度)에 따라 극조립(極粗粒:1∼2mm), 조립(1/2∼1mm), 중립(中粒:1/4∼1/2mm), 세립(細粒:1/8∼1/4mm), 극세립(1/16∼1/8mm)으로 나누어진다. 일반적으로 각 사립 사이에는 탄산석회 ·규산 ·산화철 등의 교결(膠結)물질이 채워져 있다. 또한 화산쇄설물과 섞여 응회질(凝灰質)로 되는 것도 있다. 입자의 종류 및 교결물질의 차이에 따라 여러 가지 외관 및 비중을 나타낸다. 모든 지질시대의 퇴적암 중에 지층으로 존재하며, 사층리(斜層理)나 균립성층(均粒成層)을 나타낸다. 다른 쇄설암이나 응회암 등과 호층(互層)을 이루어, 퇴적 때의 특이한 변형을 남기기도 한다. 사암의 산상(産狀) 및 성질은 화석상(化石相)과 함께 퇴적환경 해석이나 고지리 복원 등에 중요한 실마리가 된다. 퇴적한 장소에 따라 해성(海成)사암 ·하성(河成)사암 ·사막사암 등으로 나누기도 한다. 사암의 구성성분 및 조직은 공급지의 지질, 운반매질, 광물 및 조직의 성숙도, 조구운동, 퇴적방식, 기후 ·풍화작용, 속성작용 등에 의해 나뉜다. 보통, 사암은 기질량(基質量)과 광물 조성에 의하여 분류된다. 사암의 광물 조성을 규정하는 것은, 사립을 공급한 지역의 지질(모암의 성질)과 조구(造構)운동에 있다고 보아 기질량과는 관계없이 주성분인 석영 ·장석 ·암석편의 비율로 분류하고 명명한다. 준평원(準平原) 시대에는 정규암(正硅岩), 지향사시대에는 철고토질(鐵苦土質) 광물이나 암석편이 많은 유사사암(graywacke), 후조산기(後造山期)에는 석영과 장석이 많은 장석질사암(arkose) 등의 사암이 형성되는 등 대응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퇴적물의 연구가 진전됨에 따라 이 분류 방법은 수정되었다. 한편, 기질량은 운반매질의 점성(粘性) ·밀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중요시하기도 한다. 기질량, 즉 점토질물이 많아서 도태가 나쁜 것과, 점토질물이 적어서 도태가 좋은 것으로 구별하고, 다시 석영 ·장석 ·암석편이 많고 적음에 따라 석영질 ·장석질 ·석질로 분류한다. 점토질물이 많은 것은 왜커 또는 유사사암이라 한다. 점토질물이 적은 것은 사암(arenite)이라 하는 경우와 장석질사암 ·아(亞)그레이왜커 ·프로토규암 등을 함유한 경우가 있다. | 砂岩, sandstone |
446 | 사이클론분급기 | 1939년 드리센(Driessen, M.G.)에 의하여 개발되어 오늘날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의 대표적인 것이 사이클론 분급기이다. 이 분급기는 스토크스(stokes)침강 속도식에 의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입자 속도가 입자 지름의 제곱에 비례한다는 것을 이용해서 분급을 한다. | cyclone classifier |
447 | 사혈법 | 암석의 하부에 구멍을 파고 여기에 폭약을 장전한 다음, 전색을 철저히 해야 한다. 농경 및 수목의 뿌리를 제거하는 데에도 많이 이용된다. 장약량 계산식은 천공법과 동일하며, 발파 계소의 값 c는 0.03-0.07이 적용된다. | |
448 | 산성광산폐수 | 광산에서 발생하는 산성 광산폐수로서 Fe, Al 등 많은 중금속을 함유한 광산이 폐수를 말한다. | Acid mine drainage |
449 | 산성암 | SiO2양이 66%이상인 암석으로 색은 백색 혹은 담색이다. | 酸性岩, Acid rock |
450 | 산소결핍 | 산소의 소비 또는 산소를 함유하지 않은 기체의 혼입 등으로 통상의 산소함유량 보다 산소의 양이 현저하게 저하하는 것을 말한다. | 酸素缺乏, Oxygn deficiency |
451 | 산소공급제 | 질산염, 염소산염, 과염소산염 등과 같은 무기 화합물은 열 또는 충격에 의하여 물질 자체가 분해 반응을 일으키고, 많은 양의 유리 산소를 방출한다. 이와 같은 무기 화합물은 폭약을 만들 때 혼합되며, 폭발할 때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가연성 물질의 연소를 돕는다. | |
452 | 산소평형값 | 일반적으로 화약 1g이 반응하기 위하여 최종 화합물을 생성시키는데 필요한 산소의 과부족량을 표시하는데, g단위로 나타낸다. | oxygen blance,OB |
453 | 산소호흡기 | 광업소내 사고 발생시 환자들에게 산소를 공급하기 위하여 배치하여야 함. | 酸素呼吸機 |
454 | 산업구호대훈련 | 화재, 가스, 유해화학물질 등에 의한 재난 발생시 신속한 재난의 수습과 구호활동을 위한 적절한 교육·훈련의 실시로 인적, 물적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대한광업진흥공사에서는 1968년부터 광산구호대 훈련으로 습득한 기술을 전 산업에 보고하고자 소방, 가스, 석유, 화학, 선박 사업장의 작업자 및 안전관리자, 산소·공기호흡기 사용자 및 가스폭발·화재 발생시 구호작업종사자 등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훈련을 말한다. | 産業救護隊訓練 |
455 | 산업폐기물 | 법률 제3904호 (1986년 12월31일)로 제정된 폐기물 관리법에는 산업 폐기물을 "사업 활동에 수반하여 발생하고 사업 활동에 필요하지 아니하게 된 물질"로 규정하고 있다. | 産業廢棄物 |
456 | 산업폐기물처리법 | 산업폐기물 중에는 자사 내에서 재이용 혹은 처리할 수 없는 것이 있다. 이런 경우에는 시, 군의 허가를 받은 처리업자가 행하고 있다. 처리업자는 산업 폐기물 종류마다. 수집, 처분, 그리고 보관에 관한 각각의 허가를 취득해야 한다. 산업 폐기물은 배출자 처리가 원칙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자가 처리된 것은 23%에 불과하다. 공공에 의한 처리가 17%, 나머지 60%를 처리업자가 담당하고 있다. | 産業廢棄物處理法 |
457 | 산출률 | 선별평가의 방법으로서, 산출률이란, 정광량이 원광량의 몇 퍼센트가 되는지 말하고, 선별비의 액수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 yield |
458 | 산호 | 바다에 사는 고착성 무척추동물로서 강장동물문에 속한다. 따뜻한 열대성 천해에 많이 서식하며 탄산칼슘의 각을 분비한다. 캄브리아기 이후 현재 까지 살고 있다. | 珊瑚, coral |
459 | 산화광물 | 산소와 다른 원소가 화합한 광물로서 대체로 단순한 화학식을 가진다. 자철석(Fe3O4), 적철석(Fe2O3)등이 여기에 속하며, 석영(SiO2)은 규산염 광물과 산화광물 양쪽에 다 포함된다. | 酸化鑛物 |
460 | 산화대 | 광상 노두에서 황화광물, 특히 황철광이 산화작용을 받아 분해 생성물로서의 함수 철광물 때문에 적갈색, 황갈색 등이 생기는 부분을 말한다. | 酸化帶,Gossan iron hat |
461 | 산화반응 | 연소(燃燒). | |
462 | 산화배소 | 광석을 공기 중에서 태워 금속 사화물 또는 산소를 함유한 금속 화합물로 바꾸는 조작을 말함. | oxidation roasting |
463 | 산화제 | 그 물질 자체는 폭발성이 없거나 폭발성이 있다 하더라도 미약하며, 열에 의하여 용이하게 분해되어 산소를 방출하는 물질로서, 때로는 산소 공급체라고도 한다. | 酸化劑 |
464 | 살 | 사금 채취용의 홈통. | riffle |
465 | 살장 | 쐐기, 쏠장, 성목은 동의의. 관목과 천반사이를 메워주는 것. | |
466 | 살장법 | 개갱 작업에 있어서는 먼저 갱구를 만들 곳의 표토, 무너지기 쉬운 암석을 파헤치든지 또는 살장법으로 잘라 낸다. | pilling |
467 | 삼각심빼기 | 세로 방향의 천공수가 서로 다른 것이 특징이며, 폭파 효율이 좋고 부채살 커트보다 천공 길이가 짧으며, 각도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보다 굳은 암석에 이용된다. | triangle cut |
468 | 삼사정계 | 육정계의 하나. 3개의 결정축 길이가 서로 다르고 서로 직교하지 않는다. | 三斜晶系, triclinic system |
469 | 상반 | 경사하는 광체나 단층에서 위에 있는 암체. | 上盤, hanging wall |
470 | 생물학탐사 | 광상을 발견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이 중 생물학탐사는 식물이나 미생물 또는 곤충 등의 생태가 탐사에 이용되는 정도이다. | 生物學探査 |
471 | 생성열 | 화학적 반응에 의하여 어느 분자가 생성될 때 발생하는 열량이다. | 生成熱 |
472 | 생크 | 착암기의 척(chuck)안에 끼우도록 되어 있으며, 피스톤의 타격을 받아 정을 회전시키는 일을 한다. 생크에 있어서의 특히 중요한 점은 그 길이와 지름이다. 길이가 너무 길면 피스톤이 때린 힘에 의한 손실이 많아지고, 너무 짧으면 파손되기 쉽다. 비트나 생크를 규격과 같은 크기로 만들기 위해서는 샤아프너를 사용한다. | |
473 | 샤아프A-3 | 항공, 지상겸용 자력계 | |
474 | 샤아프너 | 압축공기로 타격력을 주는 것. | sharpner |
475 | 샤아프트 | 정의 종류로서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다. 핸드 해머용으로는 22㎜, 스토퍼에는 25-29㎜의 가운데 구멍이 뚫린 육각의 강철 막대를, 드리프터에는 25-32㎜dml 원형 또는 육각의 구멍이 있는 강철 막대를 사용한다. | |
476 | 서브레벨 | 중단 갱도 작업장 | |
477 | 서브레벨케이빙법 | 블록 케이빙법의 승갱도가 너무 길어져서 작업이 곤란하고 채취율이 나쁠 때, 상하 운반 갱도 사이에 중단 갱도를 만들어 광맥 중의 승갱도 길이를 줄이도록 한 채굴법으로서, 광석의 채굴 방법은 블록 케이빙법과 같다. | sublevel caving method |
478 | 석·골재산업자금융자 | 대한광업진흥공사법 제10조 제1항 제2호의 규정에 의하여 석재법 또는 골재 채취업을 경영하는 자에게 자금을 융자 지원하는 것으로서 시설자금과 운영자금이 있다. 시설자금이라 함은 석·골재의 탐사, 채취, 운반, 가공과 보안, 후생 및 기술개발에 필요한 기장비 등 석재업·골재채취업과 관련되는 시설의 구입, 제작 등에 필요한 자금을 말하며, 운영자금이라 함은 채취비(선별, 세척, 파쇄 포함), 원석구입비, 가공비, 경비, 일반관리비와 판매비를 말한다. | 石·骨材産業資金融資 |
479 | 석·골재업체사업성심사업무 | 심사대상 업체에 대한 적정생산규모의 생산원가를 산정 하여 사업기간내에 기대되는 수익과 투자소요액을 비교하여 사업성유무를 판단하는 것을 말한다. | 石·骨材業體事業性審査業務 |
480 | 석고 | 백색 또는 무색, 때에 따라서는 회색, 적색, 황색, 갈색, 청색을 띄기도 하는 단사정계의 광물. 긴주상, 입상, 괴상, 섬유상의 여러 가지 결정을 보인다. 광학성은 온도에 따라 변하며, 가열하면 탈수하여 경석고가 된다. 가장 흔히 산출되는 황산염 광물이다. | 石膏, gypsum |
481 | 석리 | 암석의 일반적 특징이나 물리적 양상을 가리키는 용어로서 구성 광물 입자들 간의 상호 관계와 기하학적 양상들이 이에 포함된다. 즉 퇴적암에서는 구성 입자들의 크기, 형태 및 배열을 그리고 화성암에서는 구성 광물의 결정도, 입도, 얼개를 가리킨다. 조직(組織)은 동의의. | 石理, texture |
482 | 석면 | 각섬석군의 광물로서 섬유상의 온석면과 같이 쓰임. 온석면은 사문석질 석면이라고도 하며, 면사와 같이 실을 뽑아 직물을 만들 수 있다. 내화재료로 사용된다. | 石綿, asbestos |
483 | 석영조면암 | 세립질 화성암으로서 주로 알칼리 장석으로 구성되었고 노옴 석영이 5-20%포함된다. 석영 섬장암의 화산암에 해당된다. | 石英粗面巖, quartz trachyte |
484 | 석유탐사 | 시추는 오래 전부터 석유의 탐사와 채유에 많이 이용되어 왔다. 지질조사, 지구 물리 탐사, 지구 화학 탐사 등에 의해서 석유의 부존이 추정되는 곳에 시추를 하여 그 부존 상태와 부존량까지도 확인하고, 탐사한 다음에는 석유나 천연 가스의 채취 통로로 쓰이기도 한다. | 石油探査 |
485 | 석재 | 1) 소요의 모양으로 만들 암석을 만든다(KS F 1504) 2)원석을 채취 또는 가공하여 석건재, 석공예 및 토목용에 사용하기 위한 암석재를 말한다(대한광업진흥공사 석재산업자금 융자 및 관리규정) 3)건축재, 석공예, 토목용 그 밖에 석제품으로 개발 사용할 가치가 있는 산림 안의 암석을 말한다.(산림법 제103조2항) | 石材 |
486 | 석탄 | 지질시대의 육생식물이나 수생식물이 수중에 퇴적하여 매몰된 후 가열과 가압작용을 받아 변질하여 생성된 흑갈색의 가연성 암석. 광택이 있는 것과 광택이 없는 것이 있는데 전자를 휘탄(輝炭), 후자를 암탄(暗炭)이라고 한다. 처음 발견하여 이용한 것은 3000년 전으로 알려져 있으나, BC 315년 그리스의 과학자 테오프라스토스(Theophrastos)의 암석학 저서 중에 “암석 중에는 연소되는 것이 있어 금속을 녹이는 데 사용할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는 것이 최초의 기록으로 남아 있다. 화학적 성질은 공업분석에 의해 수분 ·회분 ·휘발분 ·고정탄소 등을 백분율로 나타내고 원소분석에 의해서 C, H, N, O의 함유량으로 나타낸다. 그러나 석탄의 정의에 대해 탄소분의 함량기준(含量基準)과 성분이나 조직상으로 명확한 학설이 없었으나, 1957년 미국에서 개최된 국제석탄학회에서 그 학문상의 정의를 정립하게 되었다. 이때 석탄 성분 내에 중량으로 50% 이상의 탄소분이 함유되어 있어야 하고, 용적으로는 70% 이상의 탄소분이 함유되어 있어야 석탄으로 규정하도록 결정하였다. 이 밖에 조성 ·탄화도 및 품위(品位)에 있어서는 석탄에 따라 각기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정의를 내렸다. 석탄은 탄화도(炭化度)에 따라 탄소분이 60%인 이탄(泥炭), 70%인 아탄(亞炭) 및 갈탄, 80∼90%인 역청탄, 95%인 무연탄으로 나뉜다. 석탄의 거래에 있어서 중요시되는 것은 탄질 ·발열량 ·점결성(粘結性) 등이며 발열량은 좋은 탄질인 경우 6,500∼7,000kcal/kg이고 저질탄은 보통 4,500kcal/kg 이하이다. 한국의 경우, 발전용탄은 탄질이 3,500kcal/kg 이상이고 가정용 연탄의 탄질은 4,500kcal/kg이다. | 石炭, Coal |
487 | 석탄가격안정지원금 | 정부가 석탄의 최고판매 가격을 고시가로 관리하고, 생산원가와 판매가의 차액을 보전하기 위하여 석탄생산에 따른 생산안전 지원금, 산재보험료, 탄광근로자 자녀 학자금 등 석탄 생산원가의 일부를 석탄광업자에게 지원하는 금액을 말한다. | 石炭價格安定支援金 |
488 | 석탄가공업 | 석탄가공제품을 제조하는 사업(주로 연탄 제조업)을 말한다. | 石炭加工業 |
489 | 석탄가루시험 | 시료는 휘발 성분 35%이상, 회분 12%이하, 수분 3% 이하인 석탄가루를 잘게 부수어 사용한다. 시료의 크기는 테일러 표준체 150메시로 쳐서 붕괴한 것과 200메시를 통과한 것으로 하여, 전체 시료 중 200메시를 통과한 것이 65-75%가 되도록 한다. 시료의 양은 1500g으로 하고, 이것을 4등분하여 갱도 안의 선반 4개에 놓고 선풍기로 공기 중에 섞은 다음, 시료 폭약을 폭발시킨다. 시험 조건으로는 폭발실 안의 습도를80%이하로 하고, 그 밖의 시험 조건은 가스 시험 조건과 같다. 시험은 5회를 계속해서 실시하여, 그 중 1회 이상 인화된 것은 불합격품으로 한다. | 石炭家累試驗 |
490 | 석탄계 | 석탄기에 퇴적된 지층. 영국이 협탄층에서 유래. | 石炭系, Carboniferous |
491 | 석탄광업 | 석탄의 탐사 및 채굴과 이에 부수되는 선탄 등의 사업을 말한다. | 石炭鑛業 |
492 | 석탄기 | 고생대를 6기(紀)로 나누었을 때 다섯번째 기로서 데본기와 페름기 사이의 시대. 1950년대 이후에 측정된 것에 의하면 약 3억 4500만 년 전부터 2억 8000만 년 전까지 약 8000만 년간 계속된 긴 시대이다. 석탄기라는 이름은 1822년 영국의 지질학자 W.D.코니베어가 붙인 것으로 영국의 지층 중 석탄층을 많이 포함한 지층이므로 이렇게 명명하였다. 영국에는 석탄기의 지층에만 석탄층이 있으나 다른 나라에는 중생대(中生代) 또는 신생대(新生代)의 지층에 석탄층이 많다. 그러나 이들 지층을 다 석탄기 지층이라고 해서는 안 된다. 한반도에는 석탄기에 쌓인 석탄층이 아주 빈약하여 가행(稼行)이 불가능하며 페름기의 지층에서 가행되는 무연탄층이 들어 있어 영국과는 가행이 가능한 석탄층의 생성시대가 다르다. | 石炭紀, Carboniferous Period |
493 | 석탄기의지층 | 석탄기에 쌓인 지층을 석탄계(石炭系)라 한다. 영국의 석탄계는 아래에서 위로 석회암층, 사암층 및 협탄층(夾炭層)의 순서로 되어 있으며 석탄기는 이 협탄층에 기원을 둔 것이다. 미국의 석탄계는 다시 두 계로 나누어지는데, 아래 것은 미시시피아계, 위의 것은 펜실베이니아계이다. 이들은 석회암층을 주로 한 해성층(海成層)으로 되어 있으나 미국 동쪽의 애팔래치아 산맥지대의 펜실베이니아계는 협탄층으로 되어 있으며 주로 육성층(陸成層)이다. 한국 ·중국 ·일본 ·히말라야산맥에도 석탄계가 있으나 석탄층은 거의 없고 해성층으로 된 곳이 많다. | 石炭紀의地層 |
494 | 석탄매장량 | 지하에 매장되어 있는 석탄의 양. 이론적으로는 석탄의 부피×비중이다. 석탄매장량을 계산하는 기준에 의하면 이론 매장량, 이론 가채 매장량, 이론 불가채 매장량, 안전 가채 매장량, 실수 가채 매장량의 5종이 있다. 이론 가채 매장량은 석탄 존재의 확실도에서 확정, 추정, 예상의 3가지로 구분한다. | 石炭埋藏量, coal reserves |
495 | 석탄분지 | 함탄층이 퇴적되고 후에 탄전으로 변한 퇴적분지. | 石炭盆地, coal basin |
496 | 석탄생산감축지원금 | 정부에서 석탄생산 감축을 통한 석탄 수급을 조절하고, 과잉생산에 따른 정부재정부담을 경감하기 위하여, 석탄광업자가 일정규모 이상 생산 감축시 감축에 따른 고정부담 일부를 석탄광업자에게 지원하는 금액을 말한다. | 石炭生産減縮支援金 |
497 | 석탄의 성분과 분자구조 | 석탄은 주로 탄소로 구성되어 있고, 수소와 산소가 들어 있다. 이 밖에 질소 ·황 ·무기물 등이 들어 있다. 황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면 연소할 때 불쾌한 이산화황 냄새가 난다. 무기물은 근원식물 자체에서 나온 것이 소량 있으나, 대부분 퇴적될 때나 퇴적 후에 지하수에 의하여 반입된 것이 많다. 석탄의 공업분석에서는 수분 ·회분 ·고정탄소 ·휘발분 및 황의 백분율 함량과 발열량을 칼로리 단위로 측정하게 되어 있다. 양질의 석탄은 수분이 적고 고정탄소와 휘발분이 많고 발열량이 6,000∼8,000kcal/kg이며, 갈탄인 경우 휘발분과 고정탄소의 양이 거의 같은 반면 무연탄은 휘발분이 거의 없는 대신 고정탄소의 함유율이 높다. 석탄 분자의 구조는 피츄멘과 후민질 분자구조 연구를 통하여 발전되었다. 따라서, 석탄 분자는 종합 방향고리를 단위체로 한 일종의 고분자로서 탄화도의 진행에 따라 축합도(縮合度)가 증가하여 무연탄에서 흑연이 된다. 동일 탄종이라도 산지에 따라 분자구조가 달라지며, 근래에 와서는 X선 ·적외선 ·자외선 ·분광법 ·전기적 방법 ·자기적 방법 ·열분석 및 레소로지 등이 석탄의 각 성분 연구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 단위체는 탄소사슬 등으로 연결되어 있어 저분자체(低分子體)를 감싸는 구조를 하고 있다. | |
498 | 석탄의산상 | 석탄은 그 성인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층상으로 부존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층을 탄층이라 한다. 채굴이 가능한 탄층의 폭은 30 cm 이상의 것으로 보고 있다. 탄층에 따라 수십 cm에서 수백 m에 이르기도 하고, 수 m의 탄층이 수십겹 중첩하여 매장되어 있기도 하다. 이와 같은 경우 탄층 사이에 사암이나 셰일이 협재(狹在)한다. 퇴적 당시에는 수평이었던 탄층이 지각변동에 의하여 급경사를 이루며, 단층현상으로 탄층이 끊어진다. 탄층은 일반적으로 층과 평행하게 발달된 층리라는 면이 있고, 이와 직각으로 탄리(炭理)가 발달되어 있다. 미국이나 서구의 탄층은 일반적으로 수평 또는 완경사로 매장되어 있으나 한국의 탄층은 급경사로 매장되어 있고 탄폭의 변화가 심하며, 탄층의 상하반(上下盤)의 강도가 취약하여 채굴의 기계화를 실시하기에는 조건이 나쁘다. 선진국에서는 채탄막장에 철재 지보(支保)를 실시하고 석탄층을 절삭하는 콜커터나 콜프래너 같은 기계로 채굴하고, 이 채굴된 석탄을 체인 컨베이어로 운반하는 완전히 기계화된 연속채탄법(continuous mining)을 채택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 대부분 재래식 채탄법인 위경사 승붕락법(僞傾斜昇崩落法)을 적용하고 있어 작업능률이 낮고 재해율이 높다. 미국의 일부 탄광에서는 지표에서 얕게 매장된 석탄을 노천 채굴법에 의하여 채굴하고 있으나, 세계의 대부분의 탄광은 사갱이나 수갱을 개설하여 채굴하고 있다. | |
499 | 석탄의성인 | 석탄은 태고의 식물이 지중에 매몰되어 변질한 것이지만 그 매몰되는 과정에 대해서는 두 가지 학설이 있다. 즉, 식물이 홍수나 다른 원인으로 일정 장소로 옮겨져 매몰되었다는 불퇴적설(不堆積說)과 식물이 생성된 장소에서 퇴적 ·매몰되었다는 원지퇴적설(原地堆積說)이 그것이다. 두 학설 모두 넓은 면적에 두꺼운 석탄층을 형성하는 데는 많은 시간이 요구되었으며 그 장소도 지반이 서서히 침강하는 퇴적분지(堆積盆地) 같은 데서 형성된 것으로 보고 있다. 그 후, 이 지반의 침강이 빠른 속도로 진행되면서 그 위에 토사(土砂)가 덮이고 거기에 식물이 다시 번창하는 과정을 여러 번 거치면서 탄층을 형성하여 깊은 곳에 매장된 것으로 보고 있다. 석탄을 형성한 식물로는 수생식물보다 주로 육생식물이라 보고 있으며, 생성연대는 세계의 전탄전(全炭田)의 약 1/3이 고생대(5억∼2억 년 전)로서, 유럽과 북아메리카 및 아시아 대륙의 석탄이 대부분 이에 속한다. 이 밖의 석탄은 중생대(2억 년∼5000만 년 전)와 신생대(5000만 년 전 이내)에 생성된 것으로 보고 있으며 가장 석탄이 많이 생성된 시기는 석탄기(고생대 말엽)로 알려져 있다. 지사학(地史學)에서 한국 석탄을 보면 선캄브리아기에 생성된 옥천계(沃川系) 석탄은 주로 탄질셰일로 형성되어 있고, 광범위하게 우라늄을 함유하고 있으나 탄질이 낮아 연료로서의 가치는 없다. 한국 무연탄의 주종을 이루는 삼척 ·정선 ·호남 ·강릉 탄전은 고생대의 석탄기와 페름기에 걸쳐 형성되었으며, 이 밖에 중생대의 쥐라기에 생성된 충남탄전과 백악기 낙동통의 경상계(慶尙系)에 속하는 약간의 석탄 및 신생대 제3기에 속하는 영일지구의 갈탄 등이 부존되어 있다. 이 중 평안계의 모든 탄전과 쥐라기의 충남탄전은 연료로서나 산업용으로 채광가치가 있으나 나머지는 그 가치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석탄이 생성되는 과정, 즉 식물질이 변질되어 석탄이 되는 과정을 말한다. 식물이 말라 죽은 후 공기와 접촉하면 공기와 습기 및 세균에 의하여 목질부(木質部)가 완전히 분해되고 변화하기 어려운 소량의 수지질(樹脂質)만 남게 된다. 그러나 식물질이 완전히 물에 잠겨 공기와의 접촉이 차단되면 이와 같은 부식이 진행되지 않아 긴 세월이 지나면 이탄이 된다. 이와 같은 이탄이 지하 깊숙이 묻혀 지압(地壓)과 지열(地熱)을 받으면 가압 ·건류 작용을 일으켜 석탄화된다. 지하에서 이와 같은 변질작용이 일어나는 조건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으나, 일반적으로 압력 수백 또는 수천 기압하에서 온도가 수십에서 200 ℃ 까지가 석탄화작용의 좋은 조건이라고 한다. | 石炭의成因 |
500 | 석탄의역사 | 석탄이 인류에게 알려진 것은 매우 오래 되었고, BC 315년의 그리스 문헌에 석탄을 대장간의 연료로 사용한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중국에도 4세기(삼국시대)에는 석탄이라는 글자가 나타났고, 12세기(宋代)에는 석탄을 채굴해서 가정용 연료로 이용하였으며, 이에 세금이 부과되었다. 영국에서는 9세기에, 독일에서는 10세기에 석탄이 발견되었다고 전한다. 유럽에서는 영국의 헨리 3세가 13세기에 채탄 면허를 부여한 일이 기록에 남아 있으나 석탄의 이용이 비약적으로 증대한 것은 산업혁명이 일어난 후부터이다. 18세기에 접어들면서 1735년경 영국에서, 약간 뒤늦게 독일에서도 그 때까지 제철에 사용한 목탄 대신에 코크스가 제조되게 되었다. 1769년에는 와트의 증기기관이 발명되어 동력원으로서의 석탄의 수요가 증대하기 시작했다. 1792년 영국의 W.머독이 석탄가스 제조를 개시하고 1807년에는 런던에서 처음으로 가스등이 점등되었다. 이 사이에 석탄의 생산량도 급격히 증가하고 1835년에는 전세계에서 3600만 t에 불과했던 채탄량이 1855년에는 8900만 t, 85년에는 4억 2200만 t으로 증대했다. 한편 1856년에는 석탄가스에서 타르 및 암모니아를 회수하는 방법이 발명되고, 다시 1858년에는 영국의 바킨이 콜타르를 원료로 해서 합성염료를 만드는 데 성공하여, 그 후 지금까지 콜타르를 이용한 화학공업이 크게 발달하게 되었다. 1906년 독일의 F.하버가 암모니아의 공업적 합성을 발명하였으며, 그 원료 가스를 석탄에서 제조하였다. 1913년에는 독일의 베르기우스에 의해 석탄의 수소첨가액화법에 의한 인조 석유를 발명하였다. 이 해의 세계의 채탄량은 12억 6000만 t에 달했다. 석탄은 세계 에너지원의 3/4을 차지했다. 또 1923년에는 독일에서 석탄을 가스화하여 얻은 일산화탄소와 수소에서 메탄올을 합성하는 방법이 발명되고, 1926년에는 같은 일산화탄소와 수소를 원료로 하여 석유를 합성하는 피셔 트로프슈법이 발명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후 원료 가스를 목적으로 한 석탄의 완전가스로(爐)가 세계 각국에서 연구 ·개발되었으나 60년대에 접어들면서 합성화학공업의 원료로서 석유와 천연가스로 대체되었고, 에너지원으로서도 석유의 진출에 따라 그 중요성은 줄어들었다. | |
501 | 석탄지질학 | 석탄이나 협탄층 또는 탄전지대의 지질을 연구하는 분야의 총칭. 최근에는 지질학이 발전함에 따라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탄전에 관련된 층서학, 퇴적학, 고생물학, 구조지질학, 암석학의 연구가 넓은 의미의 석탄지질학에 포함된다. 탄층이 형성된 환경을 해석하고 탄층을 대비하고 잠복되어 있는 탄전을 탐색하는 것이 주요 연구과제이다. 잠복된 탄전을 탐사하기 위해서는 물리탐사가 탄전 내에서 행해지기도 한다. | 石炭地質學, coal geology |
502 | 석탄층 | 석탄으로 구성된 층. 탄층 coal seam은 동의의. | 石炭層, coal bed |
503 | 석탄탐사 | 시추를 적용하기에 적합한 대상은 층서가 잘 발달된 퇴적 기원의 함탄층과 같은 암석층이다. 석탄의 매장량은 두께와 경사, 그리고 깊이와 연장된 길이를 알면 계산할 수 있기 때문에, 시추로서 매장량을 계산하고 개발 계획을 세운다. 탄층에 시추를 하여 시추공으로 가스화된 석탄을 채취하는 방식을 채택하기도 한다. | 石炭探査 |
504 | 석탄화작용 | 지질시대에 무성했던 식물류를 석탄류로 변성시키는 작용. 광의의 석탄화작용인 이탄화작용, 협의의 석탄화작용인 석묵화작용을 포함한다. 이 작용에 의해서 여러 가지 석탄류가 생기는 것은 그 성질과 세기가 경우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 석탄화 작용의 결과 석탄류는 황등색(黃橙色) → 갈색 → 흑갈색 → 흑색으로 변하며, 석묵에 이르러 금속광택을 지닌 연흑색(鉛黑色)이 된다. 이 변화는 광학적으로는 굴절률·흡수율·반사율의 증대로서 나타난다. 석탄화 작용은 비교적 저온과 극고압(極高壓) 하에서 매우 서서히 진행되는 점에서 탄화작용과 내용이 다르다. | 石炭化作用, coalification |
505 | 석회석 | 시멘트 제조의 주원료인 석회석은 세계적으로 연간 10억톤 이상이 소모되며, 제철 용제, 석회 비료용, 카바이트 제조용 등에도 많은 양이 소비되고 있다. 석회석에 마그네슘 성분이 포함된 돌로마이트(dolomite : Ca, M g, CO3)는 석회석과 같이 산출되는데, 내화재 또는 용제로 쓰인다. 석회석은 세계적으로 막대한 양이 부존되어 있으며, 우리나라도 약 6천억톤의 매장량을 가지고 있다. 우리 나라는 시멘트 제조용으로 매년 약 2800만 톤을 생산하고 있으며, 제철 용제로 이용되는 고품위의 석회석 자원은 부족한 실정이므로 일부는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 石灰石, limestone, Ca-CO3 |
506 | 석회암 | 탄산칼슘을 주성분으로 하는 퇴적암의 총칭. 석회석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세립(細粒) ·괴상의 무구조의 암석이다. 백색 또는 회색인데, 불순한 것은 암회색이나 흑색 등을 띤다. 초상(礁狀)이라 하는 산호초 같은 괴상 또는 돔상의 암체를 이루는 경우와 지층 사이에 끼워져 층상(層狀)을 이루는 경우가 있다. 육지로부터 공급되는 쇄설물(碎屑物)이 적고, 비교적 pH가 높은 곳에서, 탄산석회질의 껍데기를 분비하는 생물에 의하여 유기적으로 침전 고정되거나, 바닷물에서 직접적으로 무기적 화학작용에 의하여 침전하여 생성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그 작용의 과정이나 대량 침전이 왜 이루어졌는지에 대해서는 확실히 알려져 있지 않다. 이 밖에 석회질 쇄설물 및 화석의 파편으로 된 것도 있으며, 입도(粒度)로 보아 석회질 루다이트(지름 2mm 이상), 석회질 아레나이트(1~2/16mm), 석회질 루타이트(1/16mm 이하)로 분류된다. 지질시대 전반을 통하여 보면, 석회암은 오르도비스기(紀)에서 실루리아기까지, 석탄기에서 페름기 전기까지, 쥐라기에서 백악기에 걸쳐 잘 발달되어 있다. 화석은 유공충 ·석회조(石灰藻) ·바다나리 ·산호 ·쌍패류(雙貝類) 등 탄산칼슘의 껍데기를 가진 것이 많아서 지질시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퇴적 당시의 고환경이나 생물계의 모습을 암시하므로 지사학적 ·고생물학적으로 중요하다. 석회암의 이용면은 넓으며, 시멘트 ·제철 ·카바이드 ·비료 ·석재 등에 대량으로 사용된다. | 石灰岩,limestone |
507 | 선광계통도 | 조광을 받아서 정광 산물이 나올 때 까지의 과정을 말함. 선광 계통은 조쇄, 중쇄, 분쇄, 체질, 분급, 선별, 농축, 여과, 건조, 칭량 및 포장으로 되어 있다. | 選鑛系統圖 |
508 | 선광비 | 1톤의 정광 산물을 얻기 위하여 필요한 조광의 톤수로서 표시하며, 선광비가 큰 것은 광석의 농축 정도가 큰 것을 의미한다. 선광비는 1보다 큰 숫자로서 분석 결과만 가지고도 계산이 된다. 선광비를 RC라 하면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된다. 위에서 F는 조광의 무게, C는 정광의 무게, f는 조광의 품위, c는 정광의 품위, t는 광미의 품위이다. | 選鑛比 |
509 | 선광장 | 파분쇄 및 선광(선탄 제외)작업을 하는 공장이다. | 選鑛場, Concentrator,mill |
510 | 선구조 | 암석이나 암체에서 볼 수 있는 1방향성의 구조, 기둥 모양광물의 평행한 열, 편리면과 층리면과의 교선, 병주하는 습곡축, 거울면에 붙은 줄 등을 말한다. | 線構造, Lineation |
511 | 선별 | 광물이 가지고 있는 물리적 성질 중 광물마다 비중이 다르다는 것, 특히 일반적으로 유용 금속 광물은 비중이 크고, 무용 광물 즉 맥석 광물의 비중은 작다는 차이를 이용하여, 물이나 공기 중에서 유용 광물과 무용 광물을 분리하는 일. | 選別 |
512 | 선별비 | 1톤 또는 1㎏의 정광을 얻는데 필요한 원광의 톤수 또는 ㎏수로 나타낸다. 원광량을 F, 정광량을 C, 광미량을 T라 하면, 선별비 K는 다음과 같다. | ratio concentration |
513 | 선탄 | 석탄을 채굴할 때 석탄층 중에 섞여 있는 암석, 즉 파아팅(parting)또는 상하반에서 암석이 섞여 들어오기 때문에 석탄의 질이 떨어지는데, 이 현상은 채탄 시설의 기계화로 더욱 심해지고 있다. 또, 한정된 자원을 효과적으로 개발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저질탄도 개발해야 하므로, 석탄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선탄 작업이 필요하다. 이 밖에도 탄의 알갱이를 고르게 한다든지, 요구하는 품질의 석탄을 얻기 위하여 여러 가지 탄을 서로 배합하여 수요자의 요구에맞도록 석탄 판매에 관한 준비 등도 선탄 과정에서 하게 된다. 탄층은 사암, 혈암 등 층 사이에 끼여 있고, 두께는 1m 내외의 좁은 층도 있으나, 우리 나라의 탄층은 심한 지질 변동으로 고르지 못하며, 두께가 일정하지 않고 탄층 사이에 파아팅이라 하여 셰일 등의 층이 끼인 것도 있다. | 選炭,Coal preparation |
514 | 선탄법 | 선탄법은 광석 선별법과 원리가 같으며, 다만 비중이 석탄에 있어서는 가볍고, 금속 광석의 경우 유용 광물이 무거우므로 그 차이를 이용하는 것이다. 석탄은 비중이 작아 부피가 크기 때문에 선탄 장치는 규모가 큰 것이 많고, 값도 광석에 비해 싸므로 처리 작업도 신속하게 해야 하는 등의 차이가 있다. 선탄법에는 광석 선별에서 보는 방법과 비슷한 비중 선별법, 중액 선별법, 부유 선별법 등이 있다. | 選炭法 |
515 | 선탄장 | 파분쇄 및 선탄 작업을 하는 공장을 말한다. | 選炭場, Washery, coal preparation plant |
516 | 선탄테이블 | 물을 쓰지 않고 건식으로 분탄을 테이블에 공급하면 테이블 밑바닥에서 바람이 불어 나와 석탄 알갱이와 암석 알갱이를 분리해 준다. | |
517 | 성인 | 어떤 사물이 이루어진 원인. | 成因 |
518 | 성층광상 | 광석광물이 층을 이루며 모여있는 광상. 성층광맥이라고도 한다. | 成層鑛床, tratosphere |
519 | 세광 | 파낸 광석에 붙은 흙과 잡물을 물로 씻어 내는 일. | 洗鑛 |
520 | 세립질화성암 | "화산암"참조 조암 광물 거의 전부가 극히 세립질이거나 유리질이며, 약간의 큰 알갱이가 섞여 있기도 하다. 또 암석 속에 작은 구멍들이 있는 것도 있는데, 이것은 마그마 속에 들어 있던 가스가 밖으로 나오지 못하고 굳어지면서 그 자리가 구멍으로 남게 된 것으로서, 제주도나 한탄강 유역의 현무암에서 흔히 볼 수 있다. | 火山巖 또는 분출암 |
521 | 세쇄 | 6㎜이하로 잘게 부수는 과정 | |
522 | 셀레늄 | 주기율표 제6B족에 속하는 산소족원소의 하나. 원소기호 : Se 원자번호 : 34 원자량 : 78.96 녹는점 : 144℃(결정) 끓는점 : 684.8℃ 비중 : 4.4(결정) 셀렌이라고도 한다. 1817년 J.J.베르셀리우스가 연실황산 제조공장의 연실니(鉛室泥) 속에 있는 적색물질에서 발견하여, 달을 뜻하는 그리스어 selene을 따서 명명하였다. 즉, 이에 앞서 발견된 텔루르(지구를 뜻하는 라틴어 tellus에 유래한다)에 수반하여 산출되는 데서 지구와 달을 대응시킨 것이라고 하며, 또 연소할 때 달빛과 비슷한 푸른색을 띤 빛을 발하는 데서 유래하였다고도 한다. 【존재】 지상에 널리 분포하는데 그 양은 극히 적다. 황화물에 수반하여 금속의 셀렌화물로서 산출되며, 또 적색을 띤 천연산 황에는 비교적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다. 유리상태로 산출되는 경우도 있다. 클라크수 제70위이다. 【성질】 많은 동소체가 있는데, 주요한 것으로는 회색의 금속셀렌, 적색의 결정셀렌, 흑색의 유리상셀렌의 3종이 있다. 모두 물에 녹지 않으며, 또 융해하여 액체가 되면 적갈색이 되고, 기체가 되면 암갈색이 된다. 금속셀렌은 다른 동소체를 200∼300℃로 가열하면 생기는 육방정계의 결정인데, 이황화탄소에 약간 녹는다. 빛을 조사(照射)하면 조도(照度)에 따라 전기전도도가 증가하는데, 특히 적색광이 유효하다. 결정셀렌은 셀렌화합물을 아황산가스로 환원시키면 생기는 단사정계의 결정으로서, 비중 4.42, 녹는점 144℃이다. 준안정상태에 있어 금속셀렌으로 변하기 쉬우며, 이황화탄소에 녹아 적색이 된다. 유리상셀렌은 융해셀렌을 급랭하면 생기며, 단단하고 잘 부서진다. 【제조법】 공업적인 주요 원료는 구리의 전기분해 제련시에 생기는 양극니(陽極泥) 및 황산 제조시에 생기는 연진(煙塵)인데, 이것들을 소다회(탄산나트륨무수물)·황산 등으로 배소하여 함유되어 있는 셀렌을 이산화셀렌의 형태로 승화 등에 의하여 분리시킨다. 분리된 이산화셀렌을 물에 녹인 다음 아황산가스를 불어넣어 환원시켜 셀렌을 분리한다. 이산화셀렌의 상태에서 승화·정제를 몇 번 되풀이하면, 순도 99.9% 정도의 것을 얻을 수 있다. 순도를 더 높일 때는 아셀렌산용액으로 만든 다음 이온교환수지 등을 사용하여 정제한다. 【용도】 반도체의 재료로서 중요하며, 전 생산량의 약 40%가 셀렌정류기에, 약 20%가 적색유리에 사용되는 외에, 광전지·약품·고무 경화제·안료·증감제·합금·부유선광에서의 기포제 등으로 사용된다. | selenium : Se |
523 | 셔블 | 갱외 굴착기에 쓰이는 것으로서 긴 부움으로지지 되어 있는 핸들과, 핸들 앞에 달려 있는 디퍼(dipper)로 되어 있다. | |
524 | 셔틀카아 | 갱내 트럭이며, 여러 가지가 있다. 개외의 트럭과 다른 점은 갱내에서 쓰이기 때문에 높이가 낮은 점이다. 동력은 전동, 축전지 또는 케이블 리일(cable reel)에 의하여, 상자의 밑에는 어느 것이나 복선 체인 스크레이퍼가 달려 있고, 적재한 석탄은 이 스크레이퍼로써 45초 정도의 짧은 시간으로 광차 또는 벨트 컨베이어에 싣게 되어 있다. 이 카아의 속도는 80(m/min)정도이며, 소요 동력은 15-30(hp), 1회의 운반량은 4t정도이다. 이것은 탄층 경사가 적고 장벽이 단단하며 넓은 나비를 가진 장소가 아니면 사용할 수 없으므로, 주방식 채탄에서 사용된다. 그리고, 이 카아는 고무 타이어와 그 밖에 철제 바퀴로 철도 위를 달리는 갱도 운반용의 것도 있다. | shuttee car |
525 | 셰이커컨베이어 | 공기압축기의 종류로서 압축공기를 원동기로 사용하는 것. | |
526 | 셰이킹스크리인 | 이것은 체를 흔들어서 체질하는 요동체로서 선광, 선탄 분야에서 많이 사용한다. 체질할 때 체의 왕복 운동을 위해 속도의 차이를 주며, 또 광석의 전진 이동을 돕기 위해 약간의 경사를 체면에 주기도 한다. 요동 운동은 캠이나 편심기로써 주는 것이 많다. | |
527 | 셰이킹컨베이어 | 트로프를 운반 노선에 설치한 지주에 매달아 앞뒤로 흔들어서 전진할 때와 후퇴할 때의 속도를 달리함으로써 트로프 위의 운반물을 이동시키게 되어 있으며, 주로 하향 운반에 사용된다. | |
528 | 소선 | 가는 로우프 | 小線 |
529 | 소수갱도 | 갱도의 경사가 낮은 갱도 | |
530 | 소오다석 | 천연산 광물. 백색, 황색 또는 회색의 단사정계 광물. 유리광택 | natron, na3Co310H2O |
531 | 소오다회 | 소오다회(Na2CO3)는 유리 제조 및 화학 공업 제품에 많이 소비되며, 제지 및 비누 제조 등에도 이용된다. 우리나라에서는 석회석을 원료로 하여 합성 소오다회를 만들어 이용하나 외국에서는 소오다석, 트로나를 채굴해서 이용한다. 다라서 소오다회는 자연산의 광물명이 아닌 무기 화학 약품명이다. | soda ash |
532 | 소택지 | 유기물층에 생존하는 박테리아의 생물학적 작용에 의해서 산성광산 폐수의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조를 말한다. | 沼澤地, Wetland |
533 | 소할발파 | 옥석과 크게 분할된 암석에 대해 화약류를 사용해서 파쇄시키는 것을 말함. | secondary blasting |
534 | 소형공포 | 드라이빗의 발사속도의 종류로서 무연화약 0.2∼0.3g이다. | |
535 | 속연도화선 | 제조 방법은 완연 도화선과 비슷하지만, 넓은 면적의 심약이 공기와 접촉하므로 점화되면 빠른 속도로 연소된다. 연소 속도는 심약인 흑색 화약의 성질과 제조 방법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으로 100-300m/s이다. 현재는 전기 도화선과 전기 뇌관의 발달로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다. | |
536 | 손실일수 | 재해로 인한 피해자의 치상 정도에 따라 의사의 진단에 의거 판정된 신체 장애 등급에 해당하는 손실일수로서 3일 이상의 휴업을 요하는 노동 불능자의 작업 일수를 말한다. 통계상 사망은 7,500일, 중상은 28일 이상, 경상은 3일 이상 28일 미만이다. | 損失日數 |
537 | 쇄광 | 조광을 단체분리 하여 기계적으로 선별하기 쉬운 크기로 부수는 것이다. 쇄광을 분쇄되는 크기에 따라 조쇄, 중쇄, 분쇄의 세가지 단계로 나눈다. | 碎鑛 |
538 | 쇄설광상 | 암석이나 광상의 일부가 풍화작용으로 분해되어 그 속에 포함되어 있던 유용 광물이 그 곳에 또는 다른 곳으로 운반되어 2차적으로 광상을 만들 때를 말한다. | 碎屑鑛床 |
539 | 쇄설성퇴적암 | 기존암석의 풍화 생성물. 역암, 사암, 셰일을 들 수 있다. | |
540 | 쇼오트워얼커터 | 너비가 넓은 곳의 채탄이나 주방식 채탄에 맞는 기계. | short wall cutter |
541 | 쇼트 | "쇼트시추" 참조. | shot |
542 | 쇼트시추 | 굳은 암석을 연직 또는 연직에 가까운 방향으로 시추하고자 할 때에는 연한 강철로 만든 크라운과 지름이 2-3㎜인 산탄 모양의 굳으면서도 부서지기 쉬운 특수 조강으로 만든 쇼트라고 불리는 알갱이로 천공하는 시추 방법이다. 크라운과 암석 구멍 밑바닥 사이에 펌프로 쇼트를 물과 함께 보내고, 크라운의 압착 회전에 의하여 부서지는 쇼트를 물과 함께 보내고, 크라운의 압착 회전에 의하여 부서지는 쇼트에 의해서 구멍 밑바닥의 암석을 둥근 모양으로 깎아 들어가는 시추 방법이다. 쇼트는 구멍 밑바닥에서 닳아 없어지므로 계속해서 새로운 것 을 넣어 주어야 한다. | |
543 | 수갱 | 수직갱, 수직으로 이루어진 갱도. 수직갱도라고도 한다. 수갱(竪坑)이라고도 한다. 수직갱은 여러 분야에서 나름대로의 목적에 따라 만들어지나, 지하에 존재하는 광상(鑛床)을 개발하기 위한 광산의 수직갱이 대표적인 것이다. 광산에 있어서 수직갱은 광상에 도달하기 위한 길이 되고, 광석·자재 등의 운반로가 되며, 공기·동력의 공급로 또는 배수로가 되기도 한다. 수직갱의 깊이는 수십~3,000m인데, 일반적으로 구리를 함유한 황화철 광상의 광산수직갱이 깊다. 설비와 규모도 대량의 광석을 케이지로 감아올리도록 된 대형의 것부터 사다리만을 설비한 소규모의 것도 있다. 대규모의 수직갱을 지표에서 개착하는 경우에는 아래로 파내려가는 보통굴착법을 사용하고, 갱내에서 소규모의 수직갱을 개착하거나 기존의 수직갱의 추착(追鑿)을 할 때는 아래에서 위로 파올라가는 방법을 쓸 때도 있다. 수직갱 개착을 위한 주요 작업은 착공발파(鑿孔發破)에 의한 굴착, 버력의 반출·주벽(周壁)의 지보(支保) 등이 있다. | 垂直坑道,vertical shaft |
544 | 수갱굴착 | 일반적인 갱도 굴착과는 완전히 다른 수갱 굴착에 있어서는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게 된다. 광석의 채굴 구역과 지표 시설의 관계 및 암반의 조건을 충분히 고려하여 수갱의 위치를 결정하고, 운반량과 통기량을 면밀히 계산하여 단면적과 심도를 설계해야 한다. 특히, 수갱굴착은 수직으로 굴착해 내려가야 하므로 굴착과 축벽을 위한 여러 가지 장비가 준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권양탑(head frame)과 굴착용 권양기가 설치되어야 하고, 경석을 실어 나르는 키블(kibble)과 축벽 작업을 위한 발판인 작업대(스카포울드, scaffold)등을 사전에 제작해 놓아야 한다. 수갱 굴착 방법은 보통 굴착법과 특수 굴착법이 있으며, 보통 불착법은 암반이 견고하고 출수가 없을 때 시공하는 방법이므로, 수직으로 굴착한다는 것 이외에는 수평 갱도의 굴착과 큰 차이가 없다. | 竪坑掘鑿 |
545 | 수갱설비 | 갱도의 심도가 깊어짐에 따라 사갱 운반으로는 운반거리가 길어져 인원, 자재, 석탄 등의 권양에 요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므로 운반 속도를 높여 운반 능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요구되는 수갱용 권양기와 관련된 설비를 말한다. | 竪坑設備 |
546 | 수갱운반장치 | 수갱 운반법은 수직으로 운반해야 하는 만큼 다른 운반법에 비하여 차이가 많다. 특히, 사갱에 비하여 같은 심도에서 운반할 때에는 거리가 가깝고 속도가 빨라 운반 효율이 크다. 수갱 운반법에는 케이지에 의한 운반법과 스킵에 의한 운반법의 두 가지가 있으며, 케이지 운반법은 엘리베이터와 같이 생긴 케이지에 광차를 실어 운반하는 장치로서, 갱내에서 광석이 실린 광차를 케이지에 싣고 올라와서 갱구에서 실린 광차는 밀어내고 공차를 실어 갱내로 들어가게 하는 장치이다. | 竪坑運搬裝置 |
547 | 수권 | 지구에서 물이 있는 부분. 암권의 고체부분과 구별된다. 보다 포괄적으로는 공기중의 수증기, 바다, 하천, 지하수를 포함한다. 물이 지구 표면의 해양·호소·하천·얼음·빙하·눈 등의 형태로 분포되어 있는 범위. 넓이는 지구 표면의 약 2/3를 차지한다. 해양이 그 대부분을 차지하며, 지구상의 물의 총량은 13∼14억 km3에 이르는데, 이 중에서 해수가 98%를 넘고, 음료용이나 농업·공업용수로 이용하는 것은 2%에 불과하다. 지구상의 물은 기권(氣圈) 중에는 수증기의 형태로, 암석권에는 지하수나 암석 중의 공극수(空隙水)로 존재하며, 기권·수권·암석권의 3권에 걸쳐 순환하는데, 그 과정에서 여러 가지 존재 형태를 취한다. | 水圈, hydrosphere |
548 | 수력분급기 | 기계의 밑에서 압력수를 넣어 이 상승 수류의 속도를 크게 또는 작게 함으로써 작은 알갱이를 넘쳐 흐르게 하여 물과 같이 흘러 나오게 하고, 굵은 알갱이는 밑으로 가라앉혀 나누는 것이다. | 水力分級機 |
549 | 수력운반법 | 수력 채탄을 하는 탄광의 갱 안에서 고압의 슬러리 펌프(slurry pump)로 물과 석탄의 혼합수를 파이프를 통하여 갱 밖까지 운반하도록 장치되어 있으며, 이 운반법은 비용이 싸게 드나 탈수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 水力運搬法 |
550 | 수력채탄법 | 고압 펌프로써 높은 압력수를 막장에 설치된 모니터(moniter)까지 파이프로 연결하여, 이 모니터로 탄벽을 향하여 압력수를 분사하면 석탄이 붕괴되어 경사진 갱도에 깔린 홈통으로 물과 함께 흘러내려오게 되므로, 이 물에 섞인 석탄을 갱내에 설치된 특수 펌프로 갱 밖까지 파이프를 통하여 운반한 다음, 탈수하여 물을 다시 갱내로 순환시키게 되어 있다. | 水力採炭法 |
551 | 수산화광물 | 한가지 또는 그 이상의 금속이 수산기와 결합한 광물로서, 점토 광물이나 지표에서 풍화로 인해 생성된 금속 광물들이 많으며, 그 보기로는 보오크사이트 종류인 깁자이트와 그 밖에 수망간석, 침철석등이 여기에 속한다. | 水酸化鑛物 |
552 | 수선 | "수선법" 참조 | hand picking |
553 | 수선법 | 가장 간단한 선별 방법으로서, 주로 광물과 맥석과의 색, 광택 및 무게 등의 차이를 이용하여 손으로 선별하는 방법을 수선이라 한다. 실제로는 유용 광물과 맥석이 치밀하게 교착되지 않는 괴광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선별기에 들어가서 전의 광석 중의 쇠부스러기 및 나무 조각 등을 골라 내는 데에도 이 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 |
554 | 수선폐석처리 | 수선 폐석은 입도(25-200mm)도 크고 마찰 각도도 커서 유동하는 법이 없기 때문에 붕괴를 하지 않을 정도의 경사로 퇴적한다. 따라서, 퇴적물이 폭풍우 등의 예측할 수 없는 출수에 의해서 광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위치 선정에 있어서 충분한 연구가 필요하다. | |
555 | 수압철주 | 수압을 이용해서 20t 이상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철주. 광산에서 사용하는 막장지보로서, 피스톤에 해당하는 부분을 내주(內柱)라 하고, 실린더에 해당하는 부분을 외주(外柱)라 하며, 원칙적으로 외주를 아래로 하고 내주를 위로 하여 세운다. 물에 5% 정도의 기름을 가하여 에멀션화한 것을 외부에 설치한 전동(電動)펌프나 내주에 자장(自藏)되어 있는 수동펌프에 의해서 실린더 내에 압입하여 피스톤, 즉 내주를 밀어올림으로써 천반(天盤)을 떠받친다. 종래의 마찰철주(내주와 외주의 미끄럼을 마찰력을 이용하여 막는 방식의 철주)에 대신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자주지보(自走支保)의 철주도 이것에 해당한다. | 水壓鐵柱,hydraulic prop |
556 | 수중용전기뇌관 | 보통 전기 뇌관은 관체와 각선을 결합하기 위하여 황을 사용하여, 이 때의 내수성은 물 속 1m에서 약 1시간 정도이다. 그러나 이 전기 내관은 관체와 각선을 결합하는 데 황 대신 고무, 납 등을 사용하여 내수성을 높인 것으로, 물 속 10m에서 2시간 이상의 내수성을 가지고 있다. | |
557 | 수직단층 | 단층면의 경사가 수직인 단층. | 垂直斷層, vertical fault |
558 | 순산실수률 | 원광과 정광의 무게와 품위로써 계산한 것 | |
559 | 순폭 | 1개의 약포가 폭발할 때 발생하는 에너지에 의하여 그 옆에 있는 다른 약포가 폭발하는 현상. | |
560 | 순폭도 | "순폭시험" 참조 | |
561 | 순폭시험 | 순폭 시험에는 밀폐 순폭 시험 등 여러 방법이 있지만, 보통 모래 위에서 시험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모래 위에서 화약의 순폭도를 시험하는 방법은 A와 B 두 개의 약포를 일정한 거리를 둔 채 일직선상에 놓고, 뇌관이 있는 A약포를 폭발시켜 B약포가 폭발하는 최대 거리로부터 순폭도를 구할 수 있다. 최대 순폭 거리는 A약포의 폭발력에 의하여 B약포가 완전히 폭발할 수 있는 최대 거리이다. 순폭도는 최대 순폭 거리와 약포의 지름으로부터 다음 식에 의하여 구할 수 있다. 여기서, n : 순폭도 , s : 최대 순폭 거리 , d : 약포 지름 | |
562 | 쉐름베거 | 비저항 탐사에서 사용하는 전극 배열법. | |
563 | 슈바르츠 | 1313년 흑색화약을 발명. | |
564 | 슈우식 | 카페(막장에 있는 보 또는 관절 모양을 한 금속보)를 연결하는 방식. | |
565 | 슈우트 | 막장에서 채굴된 광석을 경사를 이용해서 자연낙하로 광차에 적입하기 위해 만들어진 통로를 말한다. | Chute, Shute |
566 | 스무드윌블라스팅법 | 스웨덴에서 개발된 기술이며, 주로 지하 공동 굴착시 과파쇄를 막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발파법의 원리는 중심부에서 피라미드 심빼기 발파를 먼저하고, 그 중심부에서 주위로 확대해 가면서 점화시킨다. | |
567 | 스윙죠오플레이트 | 조오크러셔 구조중 움직일수 있는 것을 말함. | |
568 | 스카른 | 광역변성 작용 또는 접촉교대 작용에 의해 탄산염, 암체 중 또는 그 근체에 생긴 칼슘, 마그네슘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규산염 광물의 집합체를 말한다. | Skarn |
569 | 스카포울드 | 축벽 작업을 위한 발판인 작업대. | scaffold |
570 | 스퀘어세트 | 지주의 한 종류로서 지주 채굴법에 사용된다. 주로 상반을 지지하는데 사용. | square set |
571 | 스킵운반법 | 수갱운반법의 한 종류. 갱 안에서 광차에 실린 광석을 스킵에 실을 수 있는 장치를 만들어 스킵에 싣고 갱 밖으로 올라와서 다시 스킵에 담긴 광석을 쏟아 내고 빈 스킵이 다시 갱 안으로 들어가서 광석만 실어 올리도록 한 장치이다. | |
572 | 스토퍼 | 해머드릴의 사용 방법 중 하나. 주로 금속 광산에서 상향 계단 채굴과 레이즈(raise)굴착에 사용되고 있다. 기계를 위쪽으로 대고 일을 하기 때문에 비트 끝이 암석 면에서 떨어지기 쉬우므로 기계 뒤에 플랜저(plunger)와 실린더를 붙여 압축 공기로 끊임없이 비트를 암석면에 대고 밀어 준다. 스토퍼를 선택할 때에 주의할 것은 비트를 바꾸어 끼우는 데 걸리는 시간, 기계를 이동하는 데 필요한 시간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는 점이다. 스토퍼의 능률에는 비트를 바꾸어 끼우는 데 걸리는 시간이 크게 영향을 끼친다. 스토퍼는 대체로 조건이 나쁜 곳에서 사용되므로, 다루기 쉽고 어려움이 기계 선택의 큰 조건이 된다. | |
573 | 스트랜드 | 실타래를 꼰 자승(제곱). 권양기 와이어 로우프를 꼰 상태를 말함. | strand |
574 | 스트레이트다이너마이트 | 질산나트륨에 NG를 흡수시키고, 나뭇가루, 황 등의 가연성 물질을 배합하여 제조한 것. | |
575 | 스트렝스 | 다이너마이트의 폭력은 탄동 진자 시험, 탄동 구포 시험 및 납기둥 시험 등의 결과로 나타내지만, 미국에서는 폭약의 폭력을 %로 표시하는 스트렝스로 나타내고 있다. 스트렝스의 표시 방법에는 기준폭약의 폭력을 기준으로 시료 폭약의 폭력을 %로 나타낸 것과 기준 폭약의 NG함유량을 기준으로 시료 폭약의 NG함유량을 %로 나타낸 것 등이 있다. | sttrengh |
576 | 스파이어럴분급기 | 나선형 긁개로 광사를 긁어 올리는 기계이다. 반원통형 탱크에 나선형체가 들어 있는 분급기이다. 이 탱크는 지면과 경사지게 되었고, 그 안에 있는 나선형체를 서서히 돌려서 바닥에 가라앉은 모래를 긁어 올린다. 이 스파이어럴축을 중심으로 동심원 중심부 쪽이 비어 있기 때문에 물이 잘 빠지며, 스파이어럴 리본이 불연속이므로 분급 효과가 크다. | spiral classifier |
577 | 스프라켓 휘일 | 체인을 운전하는 부품. | sproket wheel |
578 | 스프레이타워 | 인공 낙수에 의한 집진 장치. 자연계에서 안개와 비가 먼지를 흡수하여 가지고 내려올 때 정화시키는 원리. | spray tower |
579 | 스피넬페라이트 | 폐수 중에 제1철염(FeSO·7H2O)과 알칼리 용액을 첨가한 후 적당한 온도에서 공기 산화를 행하면 폐수 중의 중금속 이온이 스피넬 페라이트로 된다. | spinel ferrite |
580 | 스핀들 | 블레이크형 조오 크러셔의 부품으로서 스핀들이 편심기에서 선회하면서 헤드가 파쇄 작용을 한다. | spindle |
581 | 슬랙 | 폭발할 때 파괴된 라이너 중에서 잘게 부서지지 않은 덩어리를 말하며, 이것은 금속 미립자 무리인 제트의 뒤를 따라 방출된다. | slag |
582 | 슬러리 | 석회, 석고 따위와 같은 불용해물에 물을 탄 혼합물. | slurry |
583 | 슬러리펌프 | 수력 운반법에 이용되는 고압 펌프. | slurry pump |
584 | 슬러리폭약 | 산소 공급제인 질산암모늄에 물을 혼합하여 만든 폭약으로서, ANFO폭약의 단점인 흡습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개발된 함수 폭약이다. 폭발 감도를 높이기 위해 예감제로 TNT나 무연 화약 등이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알루미늄가루 등을 사용하는데, 이 폭약을 폭발시키기 위해서는 전폭약을 사용해야 한다. 슬러리 폭약은 폭약 안에 물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폭약에 비하여 충격, 마찰과 화염 등에 안전할 뿐만 아니라, 폭발 후 유독 가스의 발생이 적어 갱내 발파 작업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 slurry 爆藥 |
585 | 슬러지시추 | 암석의 조직을 자연 그대로 볼 수 있도록 암석을 깎아서 분말로 만들면서 구멍을 뚫는 시추방법. | sludge boring |
586 | 슬리컨사이드 | 단층운동에 의해 단층면 양측의 암석면에 생긴 마찰면. 단층거울면, 단층마찰면, polished surface는 동의의. | slickenside |
587 | 습곡 | 수평으로 퇴적된 지층이 횡압력(橫壓力)을 받아 물결 모양으로 변형, 굴곡상태를 이루는 지질구조. 물결과 물결 사이의 거리가 아주 작은 것에서부터 수 km에 달하는 큰 규모의 것도 있으며, 습곡이 위로 향하여 등처럼 솟은 부분을 배사(背斜:anticline), 반대의 것을 향사(向斜:syncline)라고 한다. 배사와 향사는 평행하거나 병행(竝行)하는 경우가 많다. 배사 또는 향사의 양쪽 사면(斜面)에 해당하는 부분을 만곡부(彎曲部:limb) 또는 날개(wing)라 하고, 양 날개를 이등분한 면을 축면(軸面), 축면과 지층면과의 교각선(交角線)을 습곡축(褶曲軸)이라 한다. 습곡은 그 형태로 보아 양 날개의 경사가 같고 축면이 수직인 정(正)습곡, 축면이 한쪽으로 기울어진 경사습곡, 축면이 거의 수평으로 기울어진 횡와(橫臥)습곡 등으로 구분된다. 습곡이 형성되는 메커니즘은 지층의 변형 양식으로 보아 대체로 3가지이다. ① 곡동(曲動:曲隆 ·曲降)에 의한 습곡:한 장[枚]의 층의 바깥 가장자리에는 인장변형력[引張應力]이, 안쪽 가장자리에는 압축변형력[壓縮應力]이 작용하여 형성된 것으로, 이 경우 지층의 두께가 거의 일정하며 장소에 따른 차이가 없다. ② 층밀리기[剪斷]에 의한 습곡:지층이 평행적인 무수한 얇은 조각으로 쪼개어져서 그 조각들이 활동(滑動)하여 전체적으로 습곡의 형태를 이루게 되는 경우로서, 이런 습곡은 외형상의 층후(層厚)가 장소에 따라 상당히 다르므로 곡동습곡과 구별할 수 있다. ③ 유동(流動)에 의한 습곡:지층이 미응고(未凝固) 상태일 때 암석체(岩石體)가 액체처럼 유동하여 형성된 것으로, 이 경우 습곡은 일반적으로 복잡한 형태가 되고 습곡층 상하의 지층에는 습곡구조가 나타나지 않는 층내습곡(層內褶曲)의 형태를 이룬다. | 褶曲, fold |
588 | 습식선별 | 비중선별에서 물을 사용할 경우를 말함. | |
589 | 습식제련법 | 광물과 광석의 선별 방법 중 수은이 금 및 은과 쉽게 합금을 만드는 성질을 이용한 것. | |
590 | 습윤도 | 광물의 부유도를 물에 잘젖느냐 안젖느냐로 구분할 때 쓰이는 방법. | wettability |
591 | 승갱굴착공사 | 대구경 승갱굴착기를 사용하여 통기 전용 수갱, 운반겸용 보조 수갱 및 기타 용도의 경사 갱도를 굴착하는 공사를 말하며, 대한광업진흥공사에서 1981년부터 정부대행으로 시행하고 있다. | 昇坑掘鑿工事 |
592 | 시렘호오벨 | 막장의 경사가 25°이상일 때에는 커터가 미끄러질 염려가 있으므로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독일에서는 비교적 가벼운 시렘 호오벨을 사용한다. | |
593 | 시료 | 다량의 광석 또는 석탄에서 분석 자료로서 그 대표적인 일부분을 채취하는 것을 시료 채취라 하며, 채취된 것을 시료라고 한다. 시료를 채취해서 분석하는 일은, 그 결과에 따라 목적 광물의 품위를 가늠하고, 또 공장의 조업 상태를 개선해야 하는지 어떤지를 판정하기 위해서도 광석 처리 공장에서나 석탄 공장에서는 대단히 중요한 일이다. | sample |
594 | 시료채취 | 시료 참조. | sampling |
595 | 시료채취법 | 여러 가지 시료채취법들이 있으나, 독립해서 단독으로 쓰는 것 보다는 그것들을 서로 조합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채취의 목적과 그 대상물에 대한 예비 지식으로부터 여러 가지 채취법을 적당히 조합하여, 희망하는 정도나 가장 경제적으로 추정되는 시료채취법을 경정하여 실시해야 한다. 계통적 채취법, 지그재그 채취법, 2단계 채취법, 층별 채취법, 취락 채취법 등이 있다. | |
596 | 시링키지채광법 | 1개의 광획이 채굴될 때까지 채굴한 광석을 채굴장에다 저장해 두면서 채굴하는 무지지 채굴법으로서, 광석이 파쇄될 때 30-50% 정도의 부피가 늘어나므로, 이 부피 증가분만큼 운반해 내고, 이 광석을 발판으로 하여 다시 천공 발파의 방법으로 광석을 발판으로 하여 다시 천공 발파의 방법으로 광석을 채굴하게 된다. 이 채광법을 적용할 수 있는 광체의 조건은 광맥이 급경사일수록 좋고, 상하반의 강도가 강하며, 광석을 오랫동안 채광한 채 방치해 두어도 응결되지 않아야 한다. 이 채광법의 장점은 개갱 및 채광 준비가 용이하고, 지보가 불 필요하며, 채굴비가 싸다는 점 등을 들 수가 있으나, 폐석 혼입이 심하고, 광석을 갱내에 저장하게 되므로 자본 회수가 늦을 뿐 아니라, 채광 중 채광법의 변경이 곤란한 점 등의 단점이 있다. | shrinkage |
597 | 시멘테이션 | 이온화 경향의 차이를 이용해서 귀한 금속 이온을 금속으로 치환하는 방법. 치환 침전은 동의의 | cementation |
598 | 시설성능검사 | 광산보안법시행령 제34조(성능검사 등) 제1항 규정에 의한 완성검사를 받은 후 2년(권양기는 1년)을 경과할 때마다 받아야 하는 검사를 말한다. 산업자원부장관이 대한광업진흥공사 사장에게 위탁한 업무로서 1982년부터 대한광업진흥공사에서 수행하고 있다. 대상시설은 ①주요선풍기 및 예비선풍기 ②사람을 운반하거나 150킬로와트 이상의 동력을 사용하는 권양장치 ③150킬로와트 이상의 동력을 사용하는 공기압축기 ④75킬로와트 이상의 동력을 사용하는 파쇄시설(이동식파쇄시설 제외) ⑤차량계 광산기계 및 광산용 자동차 등이다. | 施設性能檢査 |
599 | 시설완성검사 | 광업시설의 설치가 완료되거나 당해시설에 관하여 산업자원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사항의 변경이 완료된 때에 받아야하는 검사로 산업자원부장관이 대한광업진흥공사 사장에게 위탁한 업무로서 1982년부터 대한광업진흥공사에서 수행하고 있다. 대상시설은 광산보안법시행령 제33조의 2항 규정에 의한 시설이다. | 施設完成檢査 |
600 | 시아니사이드 | 규산질, 금, 은, 광석의 제련법으로서 Au,Ag의 회수만을 목적으로 한 시안화법이 널리 실시되고 있다. 시안화법 중 시안화제의 소모를 가져오는 유해물을 시아니사이드라고 함. | cyanicide |
601 | 시안화법 | 금속을 대상으로 하는 침출 반응에서는 Au, Ag를 묽은 NaCN용액에서 침출하는 반응. | cyanidation |
602 | 시정탐광 | 광상의 깊은 곳을 조사할 때에는 작은 수갱을 굴착하여 탐광하는 것을 말함. | |
603 | 시정탐사 | 표토가 두꺼울 때에는 우물과 같이 수직으로 표토를 뚫고 내려가는 탐사. | |
604 | 시추 | 지구 물리 탐사나 지구 화학 탐사에 의해서 간접적으로 알아 낸 것을 직접 확인하는 탐사 방법. 지층의 구조나 성상을 알기 위하여 지각(地殼) 속에 지름이 작은 구멍을 뚫는 일. 또는 지질탐사를 위하여 지하로 원통형의 구멍을 깊게 뚫는 작업. 석유, 가스, 지하수, 광상 개발을 위하여 자주 실시된다. 지각 내부의 여러 지식을 얻기 위하여, 또는 석유 ·천연가스, 온천 ·지하수 등을 채취하기 위하여 이루어진다. 사용 목적에 따라 규모도 여러 가지가 있는데 길이는 수 m~수천 m, 지름은 수 mm~수십 cm에 이르는 것이 있다. 오늘날은 수직갱도로 사용할 목적으로 지름 수 m에 이르는 대규모의 시추도 실시된다. 굴착 방법에 따라 분류하면, 비트에 충격을 주어 암석을 파쇄하여 천공하는 충격식과, 철관(파이프) 끝에 다이아몬드 ·초경합금을 끼워넣은 비트를 암석면에 대하여 누르면서 회전시켜 구멍을 뚫는 회전식이 있다. 세계적으로 가장 깊은 시추구멍은 미국의 유전지대에서 천공된 8,000 m에 달하는 것이다. 이러한 대규모의 것에서 사용하는 철관의 길이가 길어지므로 어떤 일정한 길이의 철관을 차례로 연결시켜 길이를 연장시킨다. 그러나 비트의 교환이나 ‘케이싱 파이프’라고 하는 철관을 굴착한 구멍 속에 삽입할 때, 여러 가지 조사를 위하여 철관(로드라고도 한다)을 들어올릴 필요가 많아진다. 이를 위하여 커다란 권양탑이 설치되어야 하고, 그 주위에는 동력 설비 또는 굴착된 물질을 제거하고 공벽의 붕괴를 방지할 목적에 사용되는 굴착 이수(泥水) 설비 등이 배치되어야 한다. 유전지대에서 볼 수 있는 권양탑의 풍경은 시추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지하의 광상(鑛床)을 상대로 하는 광산에서도 시추는 중요한 작업이다. 광산에서는 배수구멍이나 통기용 구멍으로, 광석이나 폐석을 통과시키는 통로로서, 또는 전선용 케이블을 통과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지질 ·광상의 탐사나 선진시추라고 하여 갱도를 굴진하기에 앞서서 예비적인 조사를 위하여 시추를 행하는 것이 보통이다. 광산용 시추는 석유착정용 시추와 같이 대규모는 아니지만, 발달된 것이 많이 개발되어 갱외나 갱내에서 어떤 방향, 어떤 각도 또한 어떤 깊이로도 자유롭게 구멍을 천공할 수가 있다. 회전식 시추에서는 암석을 ‘코어’라고 하는 가는 봉상(棒狀)의 암심(岩心)으로 뽑아낼 수 있기 때문에, 암질 ·품위 ·광상의 성상 등의 탑사에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충격식에서는 천공 중에 구멍 속에서 나오는 암분(岩粉)을 조사하여 암질 ·품위를 판단할 수 있다. 이 ‘코어’를 채취하는 시추를 암심시추(코어보링)라 하고, 암분을 채취하는 시추를 분니시추(슬러지보링)라고 한다. 시추는 구멍 속에 여러 가지 조사용 측정기구 ·실험용 장치 등을 삽입시킬 수 있기 때문에 지각 내부의 구조나 상황을 조사하기 위한 구멍으로도 사용된다. 그 밖에는 발전소의 댐공사나 건물의 기초조사 등의 용도로도 사용된다 | 試錐, boring |
605 | 시추기 | 시추하는데 필요한 장비나 기계. 케이싱 파이프, 샌드펌프, 각종 비트, 코어 배럴 등이 있다. | 試錐機 |
606 | 시추탐광 | 광상 혹은 지질 구조 등을 확인하기 위해 시추기를 사용하여 행하는 탐광을 말한다. | 試錐探鑛 |
607 | 신틸레이션계수기 | 방사능 측정 계수기. | scintillation counter |
608 | 신호뇌관 | 신호연관 참조. 신호 뇌관과 연관은 폭발할 때 불꽃이나 폭음을 발생하므로, 기차나 선박의 위험을 알리는 데 사용하는 신호용 화공품이다. | 信號雷管 |
609 | 신호연관 | "신호뇌관" 참조. 과염소산암모늄과 질산스트론튬을 주성분으로 하고 그 밖에 녹말, 파라핀 등을 배합하여 만든다. 이 뇌관은 지름 30-50㎜, 길이 200-400㎜ 정도의 두꺼운 종이로 만든 관 속에 폭발성 물질을 채운 다음, 방수 포장을 한 것이다. | |
610 | 실수율 | 선별 작업의 효과를 나타낼 때 많이 사용하는 용어. 원광 중에 포함되어 있던 유용 성분의 얼마가 정광 산물 중에 회수되었는지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을 실수율이라 한다. | recovery |
611 | 심도증가율 | 연간 생산량에 대해서 채굴 심도가 얼마나 증가하는가를 미터(m)로 표시한다. | 深度增加率, Shaft mining |
612 | 심부 | 탄층의 경사를 따라 그 장소 보다도 하위 부분을 말한다. | 深部 |
613 | 심빼기 | 발파 작업에 있어서, 최초의 자유면을 형성하기 위한 심빼기는 매우 중요하다. 그 이유는 심빼기에 의해서 자유면이 증가되어 효율적인 발파 작업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심빼기가 확실하게 되지 않으면, 그 후의 주벽공도 발파 효과를 발휘할 수 없다. | |
614 | 심빼기발파 | 갱도 굴진과 그 밖의 발파에 있어서 최초의 발파에 의한 심빼기 발파는 가장 중요하며, 심빼기 발파가 확실히 되지 않으면 그 후의 주벽공(sider)도 발파 효과를 발휘할 수 없다. 일단 심빼기 발파가 구성되면 저항선을 고려한 주벽공에 의해서 소요의 크기까지 확대해서 파쇄할 수 있다. | |
615 | 싱글로울크러셔 | 석탄의 파쇄에 널리 쓰이는 기계. 석회석 등은 습기가 차면 점성이 있어 파분쇄기의 쇄광면에 붙어서 배광이 잘 안 되는데, 이러한 경우 많이 사용한다. 마멸이 심한 기어는 바꿔 끼울 수 있 으며, 이 기계는 미분화율이 적은 것이 특징이다. | |
616 | 싱글튜브 | 코어 실수율이 좋거나 장공발파용 시추 또는 코어가 필요 없을 때 사용한다. | |
617 | 싱커 | 핸드 해머 드릴 또는 플러거(plugger)라고도 부르며 처음에는 아래 쪽을 천공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이지만, 탄광에서는 수평 방향의 천공에도 사용하고 있다. 핸드 드릴은 보통 것은 가벼워서 뒤에 있는 핸들을 잡고 운전하게 되어 있으나, 큰 것은 레그(leg)나 점보(jumbo)에 붙여서 운전하게 되어 있다. | |
618 | 쐐기심빼기 | 암반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주면서 천공하여 그 끝이 한 점에 집중되도록 하는 방법. 여기에는 V형 심빼기, 피라미드 심빼기, 삼각 심빼기가 있다. | wedge cut |
619 | 아말감법 | 금, 은을 식별하는 방법. | |
620 | 아메리칸진공여과기 | 부채꼴로 된 여러 개의 여과판(sector)을 조립하여 1개의 원형 여과판(disc)을 만든다. 이 각각의 여과판들은 표면에 많은 홈들이 패여 있고, 여과포로 된 주머니로 싸여 있다. 이것은 원통형 여과기와 같이 감압과 가압을 교대로 받도록 회전축을 통하여 연결된 파이프가 장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여러 개의 여과판으로 된 원형 여과판은 여과의 한 단위가 되며, 한 축에 직렬로 여러 장 설치하여 광액 속에서 회전시키고, 원통형 여과기와 똑같은 방법으로 여과 작업을 한다. | 디스크여과기 |
621 | 아세틸렌 | 탄화수소(炭化水素)의 한가지. 무색의 유독성 기체로 카바이드에 물을 섞어 만듦. 등화용(燈火用)·용접용·화학 공업 원료로 쓰임. | acetylene |
622 | 아세틸렌 등 | 휴대용으로 많이 사용되며, 전기 안전등에 비하면 조도와 광도도 나쁘고 사용상 불편하나, 값이 싸기 때문에 금속광산이나 석탄광 이외의 비금속 광산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지만, 석탄광에서는 갱내의 폭발성 가스 때문에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 acetylene 燈 |
623 | 아아크워얼커터 | 코울 커터의 한 종류로서 연층 굴진용으로 사용되며, 아아크 모양(弓形)으로 잘라 들어가는 기계. | arc wall cutter |
624 | 아역청탄 | 순탄 칼로리 7,300∼8,100의 석탄으로 약점결성 또는 비점결성의 것을 말한다. | 亞瀝靑炭,Subbituminous coal |
625 | 아연 | 공기중에 접촉하면 피막을 형성하여 부식을 방지하며 100∼150℃로 가열할 경우 전성 연성이 풍부해짐으로 가공이 용이한 금속으로서 도금용 다이케스팅, 합금용 등 여러 방면에서 도금용 다이케스팅, 합금용 등 여러 방면에서 이용되고 있다. 아연은 철, 알루미늄, 동에 이어 4번째로 중요한 금속으로 기간산업의 중요한 금속으로 기간산업의 중요한 기초소재로 이용되고 있어 소비량은 국가의 경제력에 반영한다. | 亞鉛, Zinc |
626 | 아지테어부선기 | 빗과 같은 구조의 회전체가 있어, 광액과 공기 및 시약을 혼화시켜 준다. 공기는 별도로 블로우어에 의하여 공급되며, 수면에 떠오른 기포에 유용 광물이 붙어 함께 떠오른다. | |
627 | 아지화납 | 뇌홍보다 기폭력이 큰 기폭제로 아지화나트륨(NaN3) 수용액과 아세트산납 수용액을 반응시킬 때 생성되는 침전물이며, 열, 충격, 마찰 등에 쉽게 폭발한다. 순수한 아지화납의 결정은 무색으로, 결정이 커지는 성질이 있다. 따라서, 결정이 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약 2%의 아교나덱스트린 등과 같은 점결제를 배합한다. 점결제가 첨가된 아지화납은 노란색을 띤 흰색이고, 햇빛을 쬐면 갈색으로 변한다. 아지화납의 발화점은 330℃ 정도이고, 발화와 동시에 폭발하며, 물속에서도 폭발한다. 그리고 물이나 알코올에 녹지 않지만, 수산화나트륨 용액에 용해된다. 폭발 속도는 비중 3.8일 때 4500m /s, 4.0일대 5100m/s이다. 아지화납은 뇌관의 기폭약으로 많이 쓰이며, 이것으로 뇌관을 만들 때에는 알루미늄 관체를 사용해야 한다. | lead azide, Pb(N3)2 |
628 | 아탄 | 갈탄 중에서 특히 목질 조직이 많이 남아 있는 석탄화도가 낮은 탄질물을 말한다. 학술적으로는 갈색갈탄(褐色褐炭)이라고 한다. 목질조직이 어느 정도 보존되어 있어서 나뭇결이 눈에 보이는 목질아탄(木質亞炭)과 수지립(樹脂粒) ·각피(角皮) ·화분포자류(花粉胞子類) ·부후균류(腐朽菌類), 그 밖에 미세한 석탄질과 광물질로 된 치밀한 탄질아탄(炭質亞炭)의 두 종류가 있다. 다량의 수분이 건조할 때에 수축하여 목질아탄은 널빤지 모양으로 벗겨지고, 탄질아탄은 불규칙한 균열이 생겨서 급속히 분화(粉化)한다. 3,000∼4,000kcal/kg의 발열량이 낮은 비점결탄(非粘結炭)으로, 일부 지방에서 연료로 사용된다. | 亞炭, Lignite |
629 | 아프터쿠울러 | 냉각장치의 하나로서 압축기 배출구에 중간 냉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 결국 공기의 냉각을 꾀하기 위한 장치이다. | |
630 | 안전등 | 갱내 작업원의 작업시 착용하는 필수용품이며 연축전지를 전원으로 사용하는 모자용 등을 말한다. | 安全燈 |
631 | 안정도 | 화약류가 스스로 분해되는데 대하여 저항하는 정도. 자연 분해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촉진되어, 니트로셀룰로오스나 니트로글리세린 등의 화약류가 분해할 때 45-125℃사이에서는 온도가 50℃씩 증가할 때마다 분해율이 1.5-2.2배 빨라진다. | 安定度 |
632 | 안정도시험 | 일정한 양의 화약류를 일정 온도로 가열 했을 때 나타나는 변화 상태를 조사하는 시험으로, 시험 방법에는 유리산 시험, 가열 시험, 내열 시험 등이 있다. | 安定度試驗 |
633 | 안티몬 | 금속 안티몬은 납 또는 다른 금속과의 합금 재료로서 인쇄용 활자, 땜납, 통신 장비의 부품 재료, 또는 축전지의 전지판 등으로 사용되며, 화학 공업용으로는 산화물로 만들어 이용하는데 주로 고무, 플라스틱의 경화제, 유리 착색제, 탄약 등에 쓰인다. 안티몬 광물로는 자연 안티몬(Sb)으로 산출되기도 하지만 원료 광물은 휘안석이며, 다른 황화 광물을 처리할 때에 부산물로 생산되기도 한다. | antimony : Sb |
634 | 알루미늄 | 알루미늄은 산소, 규소 다음으로 지각 속에 많이 들어 있는 원소이다. 그러나, 화합물로 부존되는 알루미늄의 제련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대량으로 생산되지 못하다가 최근에 수요가 늘어난 금속이다. 알루미늄을 함유한 광석 광물은 매우 많지만 원료로 이용되는 것은 보오크사이트이다. | aluminium : Al |
635 | 알칼리공급조 SAPS | 산성광산폐수에 알칼리를 공급하여 중화시키고 산화된 철이온을 생물학적 작용에 의해서 금속성분을 제거시키는 정화조를 말한다. | Successive Alinity Producing System |
636 | 알파(α)선 | 전기를 가지지 않은 입자. | |
637 | 암권과내권 | 코어 1270㎞ 코어 외층부 2200㎞ 맨틀 2900㎞ 부분으로 전체 6370㎞이다. | |
638 | 암맥 | 주위의 암석 구조를 잘라 판모양으로 발달되어 있는 관입암체를 말한다. 지층면이나 암체에 연직 또는 연직에 가까운 모양으로 관입해 있는 판상(板狀)의 화성암체. 두께는 수 cm에서 수십 m, 길이는 수백 m에서 수십 km에 이르기까지 그 크기가 다양하다. 맥암(dike rock)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침식저항상태에 따라 기존암석보다 두드러지고, 골을 형성하기도 한다. 또한 기존암석과 색 ·풍화점도 ·구조가 달라 구별이 쉽다. | 巖脈. Dike, Dyke |
639 | 암모나이트 | 연체 동물문, 두족강, 암모나이트목에 속하는 두족류 화석에 대한 일반 명칭. 모두 해서동물로서 5개의 아목과 1,700여개의 속이 알려졌으며, 데본기에서 백악기까지 서식하였고, 중생대 특히 쥐라기, 백악기에 크게 번성하여 중요한 표준화석이 많다. 연체부는 불분명하지만 석회질은 각은 현생 앵무조개와 비슷하다. 각의 기본 구조는 태각에서 출발한 원추형 각이 대체로 평면 나선형으로 말린 형태이며 내부는 격벽에 의해 여러 기방으로 나누어져 있고, 각구 가까이에 최종적으로 주방이 있다. 주방에서 태각까지는 격벽을 관통하는 연실세관이 있는 점은 앵무조개와 같으나 그 위치가 일반적으로 권각 외측에 접해 있다. 격벽과 각의 내면이 접하는 교선의 봉합선이라고 하는데, 초기의 것은 간단하고 부드러운 곡선을 이루지만 후기로 갈수록 점차 복잡한 형태로 변한다. | ammonite |
640 | 암모니아다이너마이트 | 질산나트륨 대신 질산암모늄을 흡수시킨 것으로, 스트레이트 다이너마이트보다 폭발력이 약하다. | |
641 | 암상 | 층리면에 평행 또는 거의 평행으로 발달되어 있는 판 모양의 관입암체를 말한다. 지층의 층리면(層理面)에 거의 평행으로 관입한 판상(板狀)의 화성암체. 지층면과의 관계를 고려하지 않으나 실(sill)과 같이 수평에 가깝지 않은 어느정도 기울어진 판상의 관입암체를 가리키는 경우도 있다. 즉, 판상의 관입체가 지층과 직각을 이루지 않는 것을 말한다. | 巖床. Sheet |
642 | 암석계수 | 암석계수(g)는 암석의 발파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내는 계수로서, 니트로글리세린 60%에 해당하는 다이너마이트(e=1)를 깊이 1m되는 곳(최소 저항선 W=1m)에 장약하여 완전히 전색한 상태(d=1)에서 표준 발파를 할 때 필요한 장약량을 L㎏이라 하면 L=g가 된다. 따라서, 장약량 L로 암석의 발파에 대한 저항성의 계수 g의 값을 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g는 암석 약 1㎥를 발파할 때 필요로 하는 폭약량이라는 뜻을 가진다. | |
643 | 암석의비산 | 발파시 암석이 불규칙하게 튀어 나가는 것을 비산이라 하며, 작은 돌의 비산은 분산(scattering)이라 한다. 작은 돌의 분산은, 몇 개의 큰 덩어리로 된 암석에 균열이 생길 때 발파공과 균열 부위를 통하여 빠른 속도로 유출되는 가스에 의해 주로 파쇄되는 국부적 현상으로 발생한다. 주변 구조물에 영향을 주거나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비산은 화약량의 증가에 따라 많아진다. | |
644 | 암석의순환 | 암석이 형성되고 변질되고 파괴되고 재형성되는 사건의 순서. 이는 마그마작용, 침식, 운반, 퇴적, 고화 및 변성작용의 과정을 포함한다. 마그마가 정출작용으로 화성암이 되고 이는 풍화작용을 받아 퇴적물이 되어 퇴적 고화되면 퇴적암을 형성하며, 지하 심부로 이동하여 고온 고압상태에 존재하게 되면 화성암이 되고 변성작용을 받으면 변성암이 된다. | 巖石의 循環, cycle of rocks |
645 | 암석의윤회 | 암석의 순환 참조. | 巖石의輪回, rock cycle |
646 | 암석학 | 색, 광물조성, 입도와 같은 특성에 근거하여 노두나 표본에서 암석을 기술하는 것. 원래는 암석학(petrology)과 동의어로도 사용되었다. | 巖石學, lithology |
647 | 암주 | 화성관입암체(火成貫入岩體) 형태의 하나. 지구상의 암석은 크게 화성암과 변성암(變成岩), 퇴적암(堆積岩)으로 나누는데, 화성암은 다시 화산암(火山岩)과 심성암(深成岩)으로 나눌 수 있다. 심성암이란 마그마가 지하에서 오랜 세월에 걸쳐 굳은 것으로 구성광물의 조직이 조립질(粗粒質)인 것을 말한다. 한편 화성암을 관입암(貫入岩)과 분출암(噴出岩)으로 나누기도 하는데 이때 관입은 마그마가 지하에서 이동하다가 어느 부분에 이르러 냉각·고결하는 것으로 대체로 심성암이 여기에 해당되며, 분출암은 즉 화산암이다. 암주란 화성암 가운데서 바로 이 관입암의 형태와 규모, 주위 암석과의 상호관계 등에 따라 구분할 때의 한 형태이다. 관입암은 기존의 암층과 조화를 이루어 나란히 접촉하면서 암상(岩床)이나 병반(餠盤), 분상암체(盆狀岩體) 등의 형태를 이루기도 하지만, 암주나 저반(底盤)처럼 규모가 큰 형태일 경우에는 그와 같이 기존의 암층과 조화를 이루기가 어렵다. 흔히 R.A.데일리가 1914년 평면상의 노출면적이 100km² 이상 되는 거대한 심성암체를 저반, 그보다 작은 것을 암주라고 하여 구분한 것에 따르지만, 암주는 지하로 갈수록 표면적이 넓어져 저반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따로 구분하지 않기도 한다. 암주나 저반의 아랫부분은 지하 깊숙이 자리잡고 있으므로 아직 제대로 규명되지 않고 있다. 저반이란 용어는 1888년 조산대(造山帶)의 중핵부에 형성된 화강암질의 관입암체를 설명하면서 E.쥐스가 처음 사용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청주-원주-강릉에 걸쳐 넓게 분포하는 쥐라기의 화강암체가 대보조산운동(大寶造山運動)과 관련된 대규모의 저반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표에 노출된 면적이 200㎢ 이하인 화성 암체를 말한다. boss라고도 한다. | 岩株, stock/boss |
648 | 압력도움설 | 지하에 갱도가 개설되면 갱도를 향하여 억압되어 있던 지압이 개방되면서 밀고 들어오려는 반압이 생기게 되며, 갱도 상부 쪽 암반은 이 현상으로 인하여 파괴 되면서 모암에서 분리되는 면압권이 생긴다. 이와 같은 면압권은 상부로 갈수록 면적이 작아져서 일종의 도움 현상을 이루게 된다는 학설을 압력 도움설이라 한다. | pressure dome |
649 | 압력여과기 | 광액에 압력을 가하여 여액을 분리시키는 여과기. | filter press |
650 | 압축공기기관차 | 폭발성 가스에 대해서는 가장 안전한 기관차이나, 운반 효율이 낮아 거의 사용하지는 않고 있다. | 壓縮空氣機關車 |
651 | 압축기 | 압축 공기를 인공적으로 만드는 기계. | 壓縮機 |
652 | 액체폭약 | 액체 폭약에는 슬러리 폭약과 에멀션 폭약이 있다. 1) 슬러리(slurry) 폭약 산소 공급제인 질산암모늄에 물을 혼합하여 만든 폭약으로서, ANFO 폭약의 단점인 흡습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개발된 함수 폭약이다. 슬러리 폭약은 폭약 안에 물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폭약에 비하여 충격, 마찰과 화염 등에 안전할 뿐만 아니라, 폭발 후 유독 가스의 발생이 적어 갱내 발파 작업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2) 에멀션(emulsion) 폭약 혼합된 두 액체가 완전히 혼합되지 않고, 한 액체의 입자가 다른 액체 내에 분산되어 있는 콜로이드 상태의 액체이다. 에멀션 폭약의 성능은 폭약 내에 분산되어 있는 유리 기포(glass bubble)의 크기와 두께에 영향을 받으며, 유리 기포의 크기가 작을수록 폭발 속도는 증가한다. | 함수폭약 |
653 | 약면화약 | 강면 화약의 반대로서 N=12%이하를 말함. "강면화약" 조 참조. | |
654 | 양도체광물 | 자연 금속들이나 또는 금속 함유 광물들, 이를 테면 황철석, 자황철석, 황동석, 방연석, 휘은석, 각섬석, 대부분의 황화물, 대부분의 구리, 철, 은, 망간 광물이며, 불량 도체 광물로서는 석영, 규암, 방해석, 석회석, 점판암, 사암, 석류석, 섬아연석, 중정석, 석고, 화강암, 형석, 모나자이트, 대부분의 규산염 광물들이다. | |
655 | 어룡탄광 | 강원 태백시 화전동(禾田洞)에 있는 탄광. 연간 약 12만 t의 석탄을 생산한다.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수력채탄(水力採炭)을 시도, 수력채굴 ·수력수송 및 탈수장치의 실험을 실시하고 있으나 모니터(monitor)의 수압부족과 탈수시 분탄(粉炭) 유실량이 많은 점 등 아직 해결해야 할 문제가 많다. 광구 일대의 지질은 광구의 북쪽으로부터 평안계(平安系)의 홍점통(紅店統) ·사동통(寺洞統)과 고방산통(高坊山統)에 대비되는 함백산층(咸白山層) 및 녹암통(綠岩統)에 해당되는 동고층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앙부에 있는 본갱(本坑)과 용갱 등에서 채탄이 시작되었고, 상부는 거의 채진(採盡)되었으며 주로 용운갱에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 용운갱 부근의 탄폭은 동부가 평균 6 m 정도이고 서부는 2∼4 m 정도인 부광층(富鑛層)이며 부광대에는 너비 약 30 m, 길이 200 m나 되는 좋은 층을 가지고 있다. 매장량은 약 1,000만 t이고 이 중 가채광량(可採鑛量)은 약 713만 t이다. | 魚龍炭鑛 |
656 | 억제제 | 부유성 광물의 부유성을 제거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실제 부유 선광에서 어떤 특징의 광물만을 부유 시키고 그 밖의 광물은 뜨지 못하게 할 때 없어서는 안될 시약이다. | dipressor |
657 | 언로우더 | 압축되는 공기 압력이 일정량 이상 높아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압축 작용을 일시 중지시키는 장치이다. | unloader |
658 | 에너지이용합리화사업 | 에너지 절약형 경제로의 전환을 위한 총체적 절약기반 구축과 에너지 소비증가율을 경제 성장률 보다 낮은 수준으로 유지 및 환경규제에 대비한 CO2감소 역량 배양 등으로 에너지 절약을 통해 경제 위기 극복을 위하여 국가절약 과제로 추진하고자 하는 것을 말한다. | 에너지利用合理化事業 |
659 | 에너지자원 | 석탄, 석유, 가스, 핵연료, 대체 에너지. 대체에너지로 활용할 수 있는 자연의 힘으로서는 태양열, 풍력, 조력, 지열 등이 있는데, 이의 대부분은 이미 실용화 되고 있다. 일본, 이탈리아, 뉴질랜드, 미국 등은 현재 지열을 이용해서 수십만 킬로와트의 발전을 하고 있으며, 이용 지역은 대부분 화산지대 또는 온천 지대로서, 지구의 평균 온도 상승률에 비해 훨씬 높은 지역이다. | energy 資源 |
660 | 에멀션(emulsion)폭약 | 액체폭약(함수폭약) 조 참조. | |
661 | 엠파이어시추 | 원동기나 기계 공업이 발달되기 전까지 많이 이용되었던 방법으로서 사금이나 중사 광산에서 많이 사용되어 엠파이어 시추라고 불렸다. 소나 말의 힘으로 발판을 돌려 케이싱 파이프를 회전시킴으로써 파이프가 흙 속에 파고 들어가게 한 방법으로서 이 시추에서는 파고 들어가는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하여 파이프 속으로 일종의 정과 같은 로드(rod)를 발판 위의 사람들이 물을 넣어 주면서 아래위로 움직여 구멍을 뚫고, 로드 끝의 샌드 펌프(sand pump)로 암석가루를 퍼내며 분석 시료로 한다. | |
662 | 여과 | 묽은 광액으로부터 수분을 제거하여 50-65% 정도의 고체를 포함하는 광액을 만드는 작업을 농축이라 하며, 이 농축 작업으로부터 더 한층 탈수하여 90%전후의 고체를 포함하는 케이크를 만드는 작업을 말함. | 濾過, filtration |
663 | 여과기 | 여과는 여과재(filtation medium)라고 하는 미세한 다수의 모세관으로 구성된 칸막이를 통하여 광액을 통과시킴으로써 고체 입자들을 여과재 위에 분리, 축적시키는 작업이며, 여과재 위에 축적된 고체를 케이크라 하고, 여과를 할 수 있도록 제작된 기계를 여과기라 한다. | 濾過器 |
664 | 여재 | 여과에 필요한 다공질의 격벽. 여과는 여재를 통과할 때 작용하는 힘을 주는 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리된다. | |
665 | 역기폭 | 전폭약의 장전 위치에 따라 발파공에서 가장 바깥쪽에 두는 방법인 정기폭과 안쪽 끝에 두는 방법인 역기폭으로 나뉜다. 도화선의 길이가 길어지며 폭약을 다져 넣는 데 주의해야 하지만 기폭점이 안쪽에 있으므로 발파 위력이 내부에 더욱 크게 작용하여 잔류공을 남기는 일이 없다. | |
666 | 역단층 | 단층의 일종으로 일반적으로는 연직단면성에 경사진 단층면의 상측에 있는 지층(상반)이 하측에 있는 지층(하반)보다 위로 올라간 것을 말하며, 압축성의 힘에 의하여 양측의 지층이 서로 접근 중복하는 모양같이 생긴 단층을 말할 경우도 있다. 경사진 단층면의 상반(上盤)이 하반(下盤)에 비해서 밀려 올라간 단층. 압축단층이라고도 한다. 암체가 좌우로부터 강한 압축 변형력을 받고, 상하로는 전장(展張) 변형력이 작용하여 파단(破斷)하고 변위(變位)하여 생긴다. 일반적으로 역단층의 단층면의 경사는 작으며, 특히 단층면의 경사가 수평에 가까운 것을 오버스러스트단층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역단층은 지층의 습곡구조에 수반되는 경우가 많으며, 대규모의 지각운동에 의해서 생긴다. | 逆斷層, reverse fault |
667 | 역산실수율 | 정광과 광미의 무게와 품위에서 원광의 무게와 품위를 산출하여 계산한 것을 말함. | |
668 | 역청사 | 모래, 물과 함께 유기물 기원의 역청질 물질이 섞여 있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역청질 물질이 약11% 함유되었으며, 이 중에 원유는 50-60% 들어 있다. 역청사는 배네수엘라, 캐나다, 소련 등에 많은 매장량이 알려져 있다. | tar sand, oil sand |
669 | 역청탄 | 아역청탄(subbituminous coal)과 무연탄의 중간에 해당하는 석탄. 14%이상의 휘발성 물질을 포함하여 11,500BTU/1b이상의 열량을 가진 석탄. 암갈색 내지 흑색을 띠며 연기를 내면서 연소된다. 특히 순탄칼로리 8,100이상의 석탄으로서 점결성을 가져야 한다. | 瀝靑炭, bituminous coal |
670 | 연 | 연은 사용 비철금속 중에서 가장 비중이 무거운 금속이나 쉽게 가공할 수 있으며, 묽은 산에는 잘 용해되나 진한 염산과 황산 등에는 잘 용해되지 않는 특성이 있다. 연은 축전지, 화학 공업용관, 연피복 케이블, 감모합금, 땝납, 활자용 합금, 무기, 약품 제조를 비롯하여 방사능 차단제 등 주요 광물로서 다양한 분야에 이용되고 있으며, 주요 용도는 축전지용으로 자유세계 총소비량의 60%이상, 국내 소비량의 70%이상을 점유하고 있다. | 鉛, Lead |
671 | 연소속도 | 화약류 연소시의 화염 전파 속도를 말함. | |
672 | 연소열 | 가연성 물질 1㎏ 또는 1몰(mol)이 표준 상태에서 완전히 산화할 때 발생하는 열량. | |
673 | 연소한계농도 | 가연성 가스와 공기의 혼합 기체가 점화에 의하여 연소되는 가연성 가스의 농도이다. | |
674 | 연속운반기 | 광산에서 사용되는 연속 운반기는 컨베이어(conveyor)가 있으며, 이것은 갱 안에서 광석이나 석탄 운반에 많이 쓰이는 운반기계이다. | |
675 | 연속천공절단법 | 압축 강도가 800㎏/㎠이상인 견고한 암석 절단법. | |
676 | 연수정 | 연한 흑색 내지 흑색의 석영. 진한 색의 것은 흑수정이라고도 한다. 방사선의 영향으로 착색된 것이다. 페그마타이트에서 자주 볼 수 있다. 특히 방사성 광물에 접한 부분은 진한 색을 띤다. | 煙水晶, smoky quartz |
677 | 연층갱도 | 굴진갱도. 대체로 갱도는 광상 속 또는 암반 속에 만들어 주는 두 경우가 있는데, 탄층에서는 연층 갱도로 | |
678 | 연탄가격안정지원금 | 정부가 서민연료의 안정적 공급을 위하여 연탄의 최고 판매가격을 동결하고, 연탄제조업자와 연탄수송업자에게 생산원가와 판매가격의 차액을 보전해주기 위하여 연탄제조비, 연탄수송비, 해상조작비 및 해상수송비 등 연탄생산원가의 일부를 지원하는 금액을 말한다. | 煉炭價格安定支援金 |
679 | 열극충전광상 | 모암 중열극(갈라진 틈)을 채워 생긴 광상을 말한다. | 裂隙充塡鑛床, Fissure vein, Fissure filing deposit |
680 | 열상건조 | 열상을 이용하는 간단한 가열 건조로서, 불이나 뜨거운 가스 위에 철판이나 시멘트 온돌을 놓고 그 위에서 광석을 말린다. 다른 작업에서 남은 폐열을 이용할 수 있으면 경제적이다. | |
681 | 열쇄선별법 | 여러 가지 광물의 결정들이 복잡하고 치밀하게 들어 있는 광석덩이를 급열한 다음 급랭시키면 각 광물은 열전도도와 팽창 계수가 서로 다르므로 결정들의 경계면에 무리가 생긴다. 또, 그 사이에 수분이 들어 있는 경우 매우 팽창되어 파괴력을 나타낼 수도 있으므로, 이와 같이 결정체들이 그 경계면에서 부스러지기 쉽게 된다. | |
682 | 열수광상 | 400℃ 가까운 수용액이 지각의 틈을 따라 들어오면서 기존 암석과 반응하여 여러 가지 광석 광물을 침전시킨 것. | 熱水鑛床, hydrothemal deposit |
683 | 열수시대 | 마그마 고결의 4단계중 마지막 단계. | |
684 | 염기성암 | 산화규소의 함량이 약 50 % 전후인 화성암. SiO2 양이 45∼52%이며 색은 암색이다. 화성암의 화학조성을 그것에 함유된 금속원소 산화물의 무게백분율로 나타내면, 일반적으로 산화규소의 백분율이 가장 높아 40∼70 %에 이른다. 산화규소의 함량이 높은 것부터 차례로 산성암 ·중성암 ·염기성암 ·초염기성암으로 구분된다. 화산암으로서는 현무암, 심성암으로서는 반려암이 염기성암이다. 산화규소의 백분율에 의해서 염기성암을 정의하면, 그 조성은 어느 정도 한정된다. 염기성암에서는 일반적으로 산화알루미늄 Al2O3이나 알칼리(Na2O와 K2O)가 적고, 철(FeO와 Fe2O3)이나 산화마그네슘 MgO가 많다. 여기서 염기성이라고 하는 것은 화학에서 산이나 염기라고 하는 경우의 염기성과는 전혀 관계가 없다. | 鹽基性岩,Basic rock |
685 | 염소산염 | 일반식 MIClO3(MI는 1가의 금속)이다. 나트륨염 ·칼륨염 ·리튬염 ·바륨염 등이 알려져 있다. 염소산염의 특색은 강한 산화력인데, 이 점을 이용하는 용도가 있다. 염소산염 중 가장 중요한 것으로 칼륨 및 나트륨이 있다. 나트륨염 NaClO3은 흡습성이 있어 용액 형태로 이용되는 경우가 많은데, 과염소산염의 제조, 염료의 제조, 제초제 등에 사용된다. 제초제로는 수용액을 살포함으로써 삼림지나 원야(原野)의 조릿대의 구제와 과수원 ·뽕나무밭 등의 제초에 사용된다. 칼륨염 ·칼슘염도 같은 용도에 쓰인다. 염소산칼륨 KClO3 및 염소산나트륨 NaClO3는 염화칼륨 KCl 또는 염화나트륨 NaCl의 수용액을 전기분해하여 제조한다. | 鹽素酸鹽, chlorate |
686 | 염소산염폭약 | 염소산염을 주성분으로 하고, 가연성 물질로 인(P), 황(S) 등의 황화물을 배합한 폭약이다. 염소산칼륨(KClO3)은 염소산염의 대표적인 것으로, 산소 원자 3개를 가지고 있으며 폭발 감도가 대단히 높기 때문에 취급과 사용에 주의해야 한다. 폭발 반응시의 산소 방출량은 질산염보다 작으나 반응 속도가 빨라 산소의 방출이 쉽다. | |
687 | 염소산칼륨 | 광택이 있는 무색의 단사정계결정. 화학식 KClO3. 녹는점 368℃, 비중 2.326(39℃)이다. 가열하면 400℃에서 분해하여 과염소산칼륨과 염화칼륨이 된다. 4KClO3 → 3KClO4+KCl 더 가열하면 산소를 방출하고 전부 염화칼륨이 된다. 이 반응은 산화망간 MnO2와 같은 금속산화물을 가하면 촉진되어 70℃에서 산소를 발생하기 시작하므로, 실험실 등에서 산소를 얻기 위해 이용된다. 단, 유기물 ·황 ·탄소 등이 혼입되면 폭발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흡습성은 없다. 물에 녹고, 알코올에도 소량 녹는다. 중성 및 알칼리성용액에서는 산화작용이 없으나, 산성용액에서는 강한 산화제가 된다. 염화칼륨수용액을 뜨거울 때 전기분해하여 만든다. 산화제로서 성냥 ·연화 ·폭약 등의 원료가 되고, 표백제 ·염료 ·의약품 등의 제조에도 사용된다. 장기간 보존한 것은 아염소산칼륨을 함유하여, 건조 상태에서는 유기물 ·인 ·황 등 가연성 물질과 접촉하기만 해도 폭발한다. 마찰 ·충격 등에 예민하여, 폭발사고를 잘 일으키며, 진한 황산 ·진한 질산과 접촉해도 잘 폭발한다. 혼합폭약으로 쓰이기도 하며, 극약이다. 빛이 차단되는 밀폐된 용기에 보관한다. | 鹽素酸, potassium chlorate |
688 | 염화배소 | 광석을 염소가스 또는 염화물과 같이 가열해서 광석 중의 목적 금속을 수용성 또는 휘발성의 염화물로 바꾸는 조작을 말한다. 대표적인 예로서는 황산 제조시 배소한 황철석의 잔재에 소금을 가해서 배소하면 동분이 염화제2동(수용성)으로 침출되어 구리를 회수하는 방법이다. | |
689 | 엽랍석 | 납석(pyrophyllite : H2Al2Si4O12)이라고도 함. 사방정계(斜方晶系)에 속하는 광물. 굳기 : 1∼2 비중 : 2.8∼2.9 파이로필라이트이라고도 한다. 화학성분은 Al2Si4O10(OH)2이다. 엽편상(葉片狀) 결정을 나타내고, 대개는 입상 또는 치밀질 괴상(塊狀)을 이루는데, 때로 방사상(放射狀)으로 집합하는 경우도 있다. 엽편상의 것에는 밑면에 완전한 쪼개짐이 있고, 요곡성(撓曲性)이 있다. 굳기 1∼2, 비중 2.8∼2.9이다. 지감(脂感)을 가진다. 결정질의 것은 은백색으로 진주광택이 있으며, 괴상의 것은 백색, 때로 회색 ·회황색 ·황갈색 ·녹색 등을 띠고 광택은 둔하다. 산성화성암 속에 맥상(脈狀) 또는 괴상을 이루며, 석영광맥과 함께 산출된다. 치밀질인 것은 납석(agalmatolite) 또는 석필석(石筆石)이라고도 한다. 내화재료(耐火材料)로 중요하며, 아름다운 것은 공예품으로, 특히 인재(印材)로 이용된다. 고온에 견디는 성질, 즉 내화도가 높기 때문에 납석 소비의 대부분은 내화 벽돌 제조나 요업 재료로 이용된다. 납석은 연질 광물로서, 쉽게 분쇄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살충제의 분산 충전제로도 이용된다. 엽랍석은 전라 남도와 경상 남도 지방에 많이 부존되어 있는데, 총 매장량은 약 5천만톤으로 추정된다. | 葉蠟石, pyrophyllite |
690 | 영구자석형자력선별기 | 자력선별기의 종류로서 근래 영구 자석으로 만든 자력 선별기가 만들어져 자철광과 같은 강자성 광물을 맥석과 구별하여 선별한다. | |
691 | 예상광량 | 일반적인 경우에 광체를 육면체로 생각하여 시추나 갱도 탐사 등으로 매장 광량을 계산하는데, 6면 중에서 3-4면이 개발되어 직접 확인되는 규칙적인 광체일 때 이를 확정 광량이라고 하며, 2-3면이 확인되면 추정 광량, 그리고 1-2면만 노출되면 예상 광량이라고 말한다. 광량에 대한 한국 공업 규격은 일반광석, 석탄, 석회석 등에 대한 규격이 각각 다르게 규정되어있다. | 豫想鑛量, Possible ore reserves |
692 | 옐로우케이크 | 원광석을 처리하여 U3O8형태로 만든 것을 말함. | yellow cake |
693 | 오오거 드릴 | 오오거 드릴에는 전기 오오거 드릴과 공기 오오거 드릴 두종류가 있다. 1) 전기 오오거 드릴(electri- cauger drill) 전동기 회전력으로 운전되는 오오거드릴이며, 특히 탄광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무게는 12-24㎏이고, 송곳의 회전 수는 300-400rpm이다. 이 기계를 사용할 수 있는 곳은 석탄을 비롯하여 셰일, 점판암, 석고 등 연한 암석이다. 이와 같은 연한 암석에 전력의 소비량은 불고 0.6㎾정도이나, 뚫는 속도는 매분 10㎝정도가 되어 해머식 착암기 보다 빠르다. 탄광에서 사용할 때 주의할 점은 방전과 발화를 막아야 한다는 점이다. 2) 공기 오오거 드릴(air auger drill) 압축 공기 기관으로 운전하는 기계이며, 가연성 가스가 많이 나오는 탄광에서 사용된다. 출력 2-3마력, 공기 압력 4-5㎏/㎠이고, 통송곳의 회전 수는 부하가 걸려 있지 않으 때에는 1600-1700rpm, 부하가 걸려 있을 때일지라도 800-900rpm으로 전기 오오거 드릴의 2배 이상이 된다. | auger drill |
694 | 오오거시추 | 수 미터 정도의 점토나 모래층에서 구멍을 뚫어 하부이 시료를 채취하기 위한 것이다. 이 원리는 철재 파이프나 나사(bolt)를 흙 속에 밀어 넣는 것을 생각하면 간단하다. 즉, 흙 속으로 들어가는 끝 부분은 잘 파고 들어갈 수 있게 날을 만들고, 이 날이 파고 들어갈 때 파이프 속이나 나사의 산 사이에 흙이 들어갔다가 파이프나 나사를 끌어올릴 때 함께 꺼내어져서 시료로 쓰인다. | |
695 | 오일셰일 | 유질 셰일이라고도 하며, 셰일 입자 사이의 공극 속에 석유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서, 종래에는 추출이 어렵거나 추출 기술이 개발되었어도 폐석 처리가 어려운 문제였고, 생산량에 비해 생산비가 너무 비싸 경제성이 없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추출방법이 개선되어 생산비가 낮아지고, 또 석유값의 급등과 생산 기술 향상으로 경제성이 있게 됨으로써 매장량이 많은 미국에서는 본격적인 생산이 시작되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오일 셰일의 세계 총 매장량은 석유에 버금가는 것으로 약 3조배럴이며, 이 중 미국이 약 2/3를 차지하고 있고, 다음이 브라질로서 약 8000억 배럴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전라 남도 해남군의 남해안에 약간의 유징이 있는 오일 셰일이 있으나 경제성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 |
696 | 올리버여과기 | 하나의 반원형 탱크 속에서 목재로 만든 원통이 돌아가게 만든 것인데. 이 원통형의 부분은 나무로 짜서 공기가 새지 않도록 하였고, 그 나무판 표면에는 가는 나무 격자를 붙였으며, 그 위에 여과재로서 여포(주로 캔버스)를 두루 감았다. 또 약 15㎜간격으로 적당한 굵기의 철사를 감는다. 이 원통이 광액이 들어 있는 반원형의 탱크에서 회전하면서 광액을 여과, 탈수시키고, 또 압기에 의하여 캔버스에 붙은 케이크를 제거기(스크레이퍼)로 제거해 준다. | |
697 | 완연도화선 | 3본의 심약에 흑색 화약가루를 묻혀 심지실을 만들고, 그 둘레를 삼실, 무명실, 종이 테이프 등으로 감은 다음, 아스팔트와 같은 방수제로 방수 처리하여 긴 끈 모양으로 만든 것이다. | slow burning fuse |
698 | 완전산화배소 | 광석 또는 정광 중의 금속을 산화물로 해서 될 수 있는 대로 S을 제거하는 목적으로 행하는 배소를 말한다. | |
699 | 왕복식펌프 | 피스톤이 실린더 내에서 왕복하면서 밸브 작용에 의하여 물을 밀어 올리도록 되어 있으나, 터어빈 펌프는 임펠러로 물을 고속으로 회전시킬 때, 이 빠른 속도에 의하여 회전 방향으로 가속된 운동 에너지가 압력 에너지로 바뀌도록 구성된 펌프이다. | |
700 | 외부장약법 | 폭약을 암체의 표면에 접착하고, 그 위에 점토 등을 피복하여 폭파시키는 것을 외부 장약법이라 한다. 피복시키는 복토의 두께는 15㎝정도로 하며, 장약량은 다음 식에 의하여 구한다. L=CD2 여기서, L: 장약량(g) , D: 암괴의 최초 지름(㎝) , C: 발파 계수(0.08-0.20) | |
701 | 요동체 | 체의 면을 흔들어서 체질을 하는 체로서, 주로 석탄의 체질에 많이 사용한다. 수평일 때에는 망상 산물을 이동시키는 힘이 없으므로, 왕복 운동을 할 때 속도의 차이를 주거나 또는 약간의 경사를 체의 면에 주는 것도 있다. 체의 면을 흔들어 주는 데는 캠이나 편심기가 주로 이용된다. | shaking screen |
702 | 요동테이블 | 지그가 비교적 굵은 입자의 비중 선별 기계로 쓰이는 데 반하여, 요동테이블은 그보다 잔 입자에 대한 비중 선별 기계이다. 요동테이블에서 처리할 수 있는 입자의 크기는 4㎜에서 200메시까지의 범위이지만, 보통 0.5-1.5㎜정도가 가장 효과적이다. 석탄은 최대 10㎜까지도 처리할 수 있다. | |
703 | 요오드화칼륨녹말시험지 | 화약류의 내열시험에 사용됨. | |
704 | 용해도 | 어느 주어진 온도와 압력 하에서 용질의 용매에 대한 포화용액에서 용질의 평형상태의 농도. 용질이 용매에 용해할 때, 일정 온도에서는 그 양에 한도가 있다. 이 한도를 용질의 용매에 대한 용해도라 하며, 보통 용매 100g 속에 용해하는 용질의 g 수로 나타낸다. 예를 들면, 물 100g에 대하여 염화나트륨은 20 ℃에서 35.8g까지 녹는다. 이 경우 염화나트륨의 물에 대한 용해도는 20℃에서 35.8이라고 한다. 이에 대하여, 용매 100g 대신에 용액 100g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위의 염화나트륨의 예에서는가 된다. 용질이 고체 또는 액체인 경우 용해도는 온도에 따라 변하는데, 대개의 경우 온도가 상승하면 용해도는 증가한다. 용질이 기체인 경우에는, 용해도는 온도 및 그 기체의 분압(分壓)에 의해서 변화한다. 즉, 일정량의 액체에 대한 기체의 용해도는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감소하고, 기체의 분압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그리고 용해도 이상으로 용질이 녹아 있는 불안정한 상태를 과포화용액이라고 한다. 【용해도곡선】 압력이 일정할 때, 용해도는 온도에 따라 변화한다. 이 관계를 보통 가로축에 온도, 세로축에 용해도를 잡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을 용해도 곡선이라고 한다. 【용해도곱】 포화용액에서 염(난용성염인 경우가 많다)을 구성하는 양이온과 음이온과의 농도의 곱을 말한다. 이온평형에 대하여 질량작용의 법칙이 적용된다면, 일정한 온도에서는 포화용액의 농도 및 이온화상수는 일정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으므로, 용해도곱도 일정온도에서는 일정한 값을 보인다. 침전적정(沈澱滴定)에서 특히 중요한 값이다. 예를 들면, 염화은의 포화수용액에서는, AgCl Ag++Cl- 과 같은 평형이 성립되어 있다. 따라서, 이 때의 평형상수 K는, 으로 표시되는데, 포화용액이므로 [AgCl]은 온도가 일정하고, 일정한 값을 가지며, [Ag+][Cl-]=K[AgCl]=S 가 된다. 이 S가 용해도곱이다. 단, 각 이온의 농도는 mol/ℓ로 나타낸다. | 溶解度, solubility |
705 | 우란탐광 | 방사능 탐방광법 | |
706 | 우선부유선별법 | 회수하려는 유용 광물이 2종류 이상일 때, 우선 한 종류만을 부선 분리하고, 그 광미에서 다시 다른 종류를 차례로 부선하여 회수하는 방법이다. | |
707 | 운모 | 화강암내 발달하는 단층 또는 열극을 따라 열수용액이 침투하여 주변의 장석류를 변질시켜 2차적으로 형성된 광상과 페그마타이트맥의 주 구성광물로서 산출되는 것이 보통이다. 운모는 얇게 쪼개지며, 질기고, 휠 수 있는 성질, 화학적인 내성이 있고 탄성이 있는 판으로서, 큰 결정들은 정확하게 절단, 천공, 각인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판운모라고도 칭한다. 용도로는 화장품, 용접봉, 도자기, 고무, 광학필터, 난로창, 축전기내의 콘덴서, 진공튜브내의 절연물질, 전기기구내의 부도체 등에 사용된다. | 雲母, Mica |
708 | 운반 | 선광 작업은 연속적인 작업이어야 하므로, 운반 기계 장치는 연속이어야 한다. 선광장의 운반은 보통 중력에 자연히 흘러내려가도록 하는 것이 좋다. | 선광작업장의 운반 |
709 | 운반신고 | 화약류를 운반할 때는 화약류의 종류 및 수량을 제외한 다른 것은 방송지를 관할하는 경찰서장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 運搬申告 |
710 | 운반재해 | 갱내의 광차나 컨베이어 등의 운반기기에 치이거나 끼이어 다치며, 특히 광차에 의한 사고가 많다. | 運搬災害 |
711 | 워터제트 | 높은 압력과 속도로 물을 분사시켜, 이로 인한 충격 에너지에 의하여 파쇄하는 공법이다. 소음과 분진의 발생은 거의 없으나, 장비가 비싸고 철골 및 철근의 절단이 어려우며 물의 배수 처리를 해야 하는 등 문제점이 많아 국내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 water jet |
712 | 원거리효과 | 폭발 효과는 폭력이 미치는 거리에 따라, 폭발 위치 주위에 발생하는 근접 효과와 비교적 먼 거리에 발생하는 원거리 효과로 나눈다. | |
713 | 원광 | 광산에서 채광되어 나온 광석을 말함. | 原鑛 |
714 | 원뿔형볼밀 | 원통형의 양단을 원뿔 모양으로 한 것으로서, 선별 공장에서 각종 광석의 처리뿐만 아니라 선별 공장 이 외에도 석회석, 점토, 시멘트 및 활석 등의 분쇄에 널리 이용된다. 하딘지 볼 밀(harding ball mill)은 동의어. | conical ball mill |
715 | 원뿔형중액분리기 | 중액 선별 중 고체 분산액을 의중액이라 한다. 의중액이 위아래로 비중의 차이가 생기는 것을 어느정도 방지하는 분리기가 원뿔형 중액 분리기 이다. 중앙의 수직축 둘레에 날개가 붙은 교반장치를 가진 기계이다. 광석이 중액면에서 어느 정도의 깊이까지 들어가 충분히 잠기도록 하여야 하며, 가라앉은 무거운 광석은 경사면에 따라 에어리프트 아래 원뿔의 꼭지점까지 내려가서 중액의 상승수류에 의하여 운반되어 배출구로 나간다. 사용 후 회수한 중액과 새로 보급하는 중액은 작은 통에 공급되어 각각 길이가 다른 파이프를 통하여 중액 속으로 고루 들어간다. | 選別機 |
716 | 원심분급기 | 1939년 드리센(Driessen, M.G.)에 의하여 개발되어 오늘날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것의 대표적인 것이 사이클론 분급기(cyclone classifier)이다. 이 분급기는 입자 침강 속도가 입자 지름의 제곱에 비례 한다는 것을 이용해서 분급을 한다고 생각해도 좋다. 사이클론에는 건식과 습식이 있는데, 건식 사이클론은 유체로서 공기를 사용하며, 습식 사이클론은 물을 사용하고 있다. | |
717 | 원심압축기 | 터어빈 펌프와 같은 원리로 임펠러를 회전시켜 그 원심력으로 공기를 압축한다. 이 압축기는 압력 효율이 낮고, 1단의 임펠러로써 1.2배의 압축밖에 안된다. 따라서, 갱 내용 압축을 하려면 10-11단의 임펠러를 필요로 하므로, 우리 나라 광산에서는 사용하지 않고 있으나 도이칠란트의 광산에서는 이것을 사용하고 있다. | |
718 | 원심여과 | 여과재로 만든 원통 속에 광액을 넣은 다음 고속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원심력에 의하여 여액을 분리시키는 여과 방법이다. 그러나 화학 공장과 같은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현장에서 잘 쓰이지 않고 있다. | |
719 | 원심형선풍기 | 선풍기의 종류에는 원심형 선풍기와 프로펠러형 선풍기가 있으나 주로 원심형 선풍기가 많이 이용된다. 원심형 선풍기는 다음과 같은 법칙을 가지고 있다. (1)통기량은 선풍기의 회전수에 비례한다. (2)선풍기에 생기는 부압은 회전수의 제곱에 비례한다. (3)선풍기의 동력은 회전수의 세제곱에 비례한다. | |
720 | 원탄품위 | 가행 탄층의 전체 품위 혹은 선탄 설비에 투입되는 석탄의 품위를 말한다. | 原炭品位, Grade of raw coal |
721 | 원통형건조기 | 원통을 약간 경사지게 하고 천천히 돌리면서 위로부터 광석을 부어 넣고, 아래로부터 가열된 뜨거운 열풍을 불어 올려서 말린다. 보통 단일 원통 속에서 광석의 성질상 기체와 직접 접촉을 꺼리는 경우, 이중 동체로 된 간열형을 쓸 수 있다. 이 때에는 원통 중앙에 놓이 별개의 관을 통해서 가열 가스가 들어와 다시 방향을 바꾸어 역류하게 한다. | |
722 | 원통형자력선별기 | 반원형의 자석이 원통의 회전과는 관계 없이 고정되어 있으며, 전자석의 극은 하나하나가 교대로 극성이 다르도록 코일을 연결해 놓고 있다. 자석을 둘러싼 회전 원통은 놋쇠나 그 밖의 비자성체로 만들어져 있다. 급광이 원통의 표면을 따라 이동할 때, 극성이 차례로 바뀜에 따라 자성 광물 속에 섞여 있던 비자성인 맥석을 밖으로 밀어 내어 중력으로 떨어지게 한다. | drum type magnetic separator |
723 | 원형여과판 | "아메리칸 진공 여과기" 참조. | |
724 | 웨곤드릴 | 고속도 굴진이나 갱도 굴착용 드릴. | wagon drill |
725 | 웨너법 | 비저항 탐사에서 사용하는 전극 배열법. | wenner |
726 | 웨더릴-로안드자력선별기 | 약자성 광물의 잔 입자를 선별하는 데 효과적인 기계이다. 급광용 벨트 컨베이어를 사이에 두고, 위아래에 강력한 말굽 전자석을 서로 극성이 다른 것끼리 마주 보도록 설치하였다. | Wetherill-Rowand |
727 | 유공충 | 석회질 각을 분비하는 원생 동물. 수많은 아주 작은 구멍과 여러개 방을 갖고 있으며 대부분 바다에 살지만 담수에 사는 것도 알려졌다. 형태와 생식 방법을 고려하여 5개의 아목(亞目) 96개의 과(科)로 분류한다. 부유성인 것과 저서성인 것이 있으며, 부유성인 것은 해수의 분포와 이동에 따라, 저서성인 것은 수심과 저질(低質)의 상태에 따라 좌우되므로 지층의 퇴적환경 해석과 세계적인 지층 대비에 매우 유효하다. 캄브리아기부터 현재까지 살고 있다. | 有孔蟲, foraminifer |
728 | 유기광상 | 기존에 있는 화성암, 변성암 등에 지표에서 물리적인 힘에 의해서 유용광물이 한곳에 많이 모여서 만들어진 광상이다. 여기에는 석탄, 석유, 인광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 |
729 | 유기적퇴적광상 | 생물의 사체가 쌓여서 농집된 광상을 말하며, 석회석, 석탄, 규조토 등이 여기에 속한다. 석유도 생물체 자체의 퇴적은 아니지만 그 성분이 생물의 분해 생성물이므로, 그 물질의 근원으로 보면 넓은 의미의 유기적 퇴적 광상에 속한다. 석유는 미생물의 분해 생성물로서 액체로 존재하기 때문에 지하에 이것을 담을 수 있는 적당한 장소가 필요하다. 그 장소로서 습곡의 배사 구조가 좋은 보기라 하겠다. 석탄은 식물이 땅속에 묻혀 분해되면서 탄소만 남은 것으로서, 처음에는 토탄이 되었다가 보다 큰 압력을 받으면서 산소와 수소 성분이 적어지고, 상대적으로 탄소 성분이 증가하면서 갈탄, 역청탄, 무연탄 등의 순으로 변해 가는데, 우리 나라의 석탄은 대부분 무연탄이다. | |
730 | 유도분극법 | 달리 I·P법 이라고도 하며 자연 전위법이 광체 자체에 의해 형성 되는 자연 발생의 저전위를 측정하는 데 반해 유도 분극법은 지하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지하에 강제로 분극 현상을 일으킴으로써 황철광, 황동광, 휘수연광, 흑연, 자철광과 같은 전기 도체 광물을 함유하는 암석의 케페시텐스(capacitance)역할과 비슷한 특성을 찾은 데 있다. | |
731 | 유리기포 | "액체폭약조의 에멀션 폭약" 참조 | glass bubble |
732 | 유리산시험 | 화약의 안정도 시험의 하나. 청색 리트머스 시험지를 시험관에 넣고 시험 종이의 색깔의 변화 상태를 관찰한다. 무연 화약이나 면화약 시료는 6시간 이내, 그 밖의 화약은 4시간 이내에 시험 종이 전부가 청색으로 변하면 불합격품이다. 그러나 니트로글리세린이나 니트로셀룰로오스를 함유하지 않은 초안 폭약은 유리산 시험 결과만으로는 불합격품인지를 알 수 없기 때문에 가열 시험도 실시하여야 한다. | |
733 | 유상포집제 | 일반적으로 이온화하는 시약만이 포집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고 있으나 이온화하지 않는 기름류가 포집제로 쓰이기도 한다. 등유 및 경유 등은 흑연, 석탄 그리고 황화광물 중에서도 몰리브덴과 같은 광물들의 부선에 좋은 포집제로서 기포제와 함께 소량 사용한다. | |
734 | 유색암 | 달리 매픽(mafic)암이라고도 함. 진한 색깔을 띠는 흑운모, 각섬석, 휘석 및 사장석을 주성분으로 한다. 화성암을 마그마의 냉각 속도, 깊이 또는 조직과 색깔을 기준으로 분류하면 상기의 표와 같다. 이 표에서 유문암과 화강암은 비슷한 색깔을 띠나 조직이 서로 다르고, 화강암과 섬록암은 색은 다르지만 조직이 같은 암석임을 알 수 있다. 화성암은 화학 성분에 따라 더욱 세분되어 수십 가지의 암석으로 분류된다. | 염기성암 |
735 | 유스코우프 | 신틸레이션 계수기의 종류. | U-scope |
736 | 유연탄 | 남한에는 없으며 북한에서 생산된다. 탈 때 연기가 많아 유연탄(토탄, 역청탄)이라 부르며, 무연탄 보다 탄화가 덜되어 탄소의 양은 적으나 휘발성분이 많아 불이 잘 붙으며 탈 때 노랑 불꽃을 내며 화력이 무연탄 보다 강하다. 주로 화력발전용, 시멘트 소성용, 제철소 코오크스 제조용, 화학 공업원료용 등으로 쓰인다. | 有煙炭, Flaming coal |
737 | 유우니버셜커터 | 가로, 세로 어느 방향 이든지 마음대로 자를 수 있는 커터. | universal cutter |
738 | 유포 | 지층 속에서 석유나 가스가 모여있는 부분. 유포의 형태는 매우 다양하지만 대개 구조 유포, 층서적인 유포, 이들의 조합으로 나눌 수 있다. 달리 트랩이라고도 한다. | 油捕, trap |
739 | 유화수소 | 공기보다 1.190배 무거우며, 무색이다. 달걀 썪은 냄새가 나며, 물에 잘 녹는다.(0℃에서 4.6배 용해된다) 공기 중에서 파란 불꽃은 내며 타고 4.3-4.5% 섞인 것은 폭발성이 있다. 사람에게는 독성이 있고, 이것을 호흡하면 현기증, 두통, 구토 위장 장해를 일으키며 농도가 높으면 사망 한다. | |
740 | 육방정계 | 3개의 수평축의 길이기 같고 서로 120°로 만나며 위아래축은 길이가 다르고 이들과 수직으로 만난다. 여기에는 수정, 방해석, 인회석, 자황철광 등이 있다. 한 평면상에서 서로 60 °로 교차하는 같은 길이의 3 개의 수평축과, 이들과 직교하면서 길이가 다른 수직축을 가진 결정계. 녹주석·인회석 ·수정 ·방해석 ·전기석 등이 이 정계(晶系)에 속한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더욱 세분화하여 능면체(菱面體)로 대표되는 특수한 형태를 마름모정계로서 독립시키는 경우가 있는데, 방해석 등이 이에 속한다. | 六方晶系, hexagonal system |
741 | 육상골재 | 예전에 하천부지 였으나, 현재는 논, 밭 등의 변환지역에 퇴적되어 있는 골재를 표토를 걷어내고 채취한 골재이다. | 陸上骨材 |
742 | 육성충 | 육지에서 운반된 퇴적물로 이루어진 천해성 층. 생성원인에 따라 육상성(陸上成) 퇴적물과 육수성(陸水成) 퇴적물로 대별된다. 육상성 퇴적물에는 바람의 영력(營力)에 의한 사구(砂丘)·사막·화산재·황토·로이스 등의 퇴적물, 빙하에 의해 운반되어 퇴적한 빙퇴석(氷堆石)·빙퇴석암이 있다. 육수성 퇴적물에는 하천에 의한 하성(河成)퇴적물, 호소에 퇴적한 호소퇴적물, 동혈(洞穴)퇴적물 등이 있다. 바람에 의한 사구나 사막의 퇴적물은, 일반적으로 분급(分級)이 잘 되어 있고, 때로 큰 위층(僞層)이 발달하여, 지질시대의 풍향 등을 알아보는 데 도움이 된다. 화산재층은 널리 분포되어 있어서, 과거의 화산활동을 아는 데 중요하며 근년에 테프놀러지(tephnology)라는 새로운 연구분야가 생겼다. 황토나 로이스는 빙하기의 상태를 알아보는 데 도움이 된다. 빙하퇴적물도 지질학적으로 매우 중요하며, 과거에 있어서의 빙하의 존재와 소멸을 미루어 알아볼 수 있다. 하성퇴적물은 과거의 하천의 유로(流路)나 방향, 나아가서는 지형의 상태를 해석하는 데 중요한 구실을 한다. 호소퇴적물은 세립인 경우에는 박층리(薄層理)나 엽리(葉理)가 잘 발달한다. 염호(鹽湖)나 철광상(鐵鑛床)을 함유하는 등의 특수한 호소퇴적물은 당시의 기후를 알아보는 데 도움이 된다. 동혈퇴적물은 흔히 육상동물의 화석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이 분야 연구에 매우 중요하다. | 陸成層, terrigenous deposit |
743 | 은성탄광 | 경북 문경시 가은읍 왕릉리(旺陵里)에 있었던 탄광. 경북선 가은역 북서쪽 500m 거리에 있으며 1938년 개발되었다. 6 ·25전쟁과 더불어 한때 조업이 중단되었다가 1950년 11월 다시 개광되었으며, 채광된 석탄은 철도용과 공업용으로 공급되었다. 그 후 생산량이 점차 증가되면서 1960년대 후반에 약 35만 t까지 생산한 바 있으나 심도(深度)가 증가됨에 따라 생산량도 줄어들었다. 광구의 지질은 대석회암통과 단층에 의해 접하고 있는 지역에 고생대의 대석회암통과 평안계(平安系)의 홍점통(紅店統) ·사동통(寺洞統) ·고방산통(高坊山統) 및 녹암통(綠岩統)의 순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탄질은 좋다. 1994년 7월 말 폐광되었다 지금은 그 옛자리에 문경석탄박물관이 들어서 있으며 2000년 기준 40만명이 찾고 있다. | 恩城炭鑛 |
744 | 을종탄광 | 갑종탄광에 제외된 탄광. "갑종탄광" 조 참조. | 乙種炭鑛 |
745 | 응력 | 물체에 외력이 작용하였을 때 그 외력에 저항하여 물체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려고 물체내에 생기는 내력. 변형력(變形力)이라고도 한다. 단면이 균일한 막대기의 양끝을 p라는 힘으로 잡아당겼다고 하면 이 힘 p에 의해 막대기는 늘어나며, 더욱 세게 당기면 마침내 부러지고 만다. 이 힘 p에 대해 막대기 속의 수많은 미소 입자간의 작용과 반작용이 저항한다. 이들 내력은 눈에 보이지 않지만 만일 막대기를 축에 수직인 단면 m-n으로 절단하였다고 하면, m-n의 아랫부분은 하단에 외력 p가 작용하고 있고, 상단에는 윗부분의 여러 입자에서 아랫부분의 여러 입자로 내력이 작용하고 있다. 이 내력은 단면 m-n에 고루 분포하여, 그 단면적 전부는 마치 하단에 작용하는 외력 p와 같은 크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물체 내의 어떤 단면을 생각하면 이 단면에는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인 1쌍의 내력이 작용하고 있는 셈이 된다. 이 1쌍의 내력을 응력(변형력)이라 한다. 응력은 작용하는 하중(荷重)의 종류에 따라 전단응력(剪斷應力)·인장응력(장력이라고도 함)·압축응력으로 나눈다. 전단응력은 단면에 평행인 응력(접선 성분)으로 접선응력이라 하고, 인장응력과 압축응력은 단면에 수직인 응력(법선 성분)으로 수직응력 또는 법선응력이라고도 한다. 응력의 세기로는 단위면적당의 힘으로 나타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외력을 p, 단면적을 A, 응력을 σ라 하면 σ=p/A이며, 그 단위로서는 kg/㎠이다.일반적으로 물체내의 동일점에서의 응력이라도 면의 방향에 따라 그 종류나 세기가 다르다. | 應力,stress |
746 | 응용지질학 | 광상, 토목공사, 수자원 개발, 환경문제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 지질학을 응용하는 지질학의 한 분야. | 應用地質學, applied geology |
747 | 의중액 | 비중이 큰 유기 시약돌, 보기를 들면 4브롬화에탄(C2H2Br4), 브롬포름(CHBr3)등은 중액 선별용으로 이상적이기는 하나, 값이 너무 비싸기 때문에 무거운 매질의 가루를 물 속에 현탁, 분산시켜 겉보기 비중이 높은 의중액을 만들어 중액 선별 효과를 거두는 방향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 |
748 | 이극성물질 | 유극기와 무극기를 가진 물질을 말함. | heteropolar substance |
749 | 이론실수율 | 원광과 정광 및 광미의 품위만으로 계산하는 것을 말함. | |
750 | 이수 | 질이 좋은 진흙이나 벤토나이트(bentonite)를 물에 섞은 것. | mud water |
751 | 이젝터 | 사용장전기에 하는 방사기. | Ejector |
752 | 이첩기 | 페름기와 동의의. "페름기"조 참조 | |
753 | 이탄 | 이끼류 ·갈대 ·사초 등의 화본과식물, 때로는 소나무 ·자작나무 등의 수목질의 유체(遺體)가 분지에 두껍게 퇴적하여 물의 존재하에서 균류 등의 생물화학적인 변화를 받아 분해 ·변질된 것. 토탄(土炭)이라고도 한다. 넓은 뜻으로는 석탄의 한 종류에 포함되지만 일반적으로 석탄과는 구별된다. 이탄은 석탄처럼 지하에 매몰된 수목질이 오랜 세월 동안에 지압(地壓)과 지열작용(石炭化作用이라고 한다)을 받아 생성된 것과는 달리 앞에서 말한 식물질의 주성분인 리그닌 ·셀룰로오스 등이 주로 지표에서 분해작용(泥炭化作用이라고 한다)을 받은 것이다. 이탄은 원식물질의 종류, 분해의 정도 등의 차이에 따라, 툰드라이탄 ·초탄(草炭) ·목질이탄 ·이질이탄(泥質泥炭) 등으로 분류된다. 이들 중에서 이용가치가 가장 높은 것은 초탄이다. 초탄은 갈대 ·사초 등의 화본과식물이 주가 되며, 한랭지 ·고소한랭습지대에서 산출된다. | 泥炭, peat, moor coal |
754 | 인듐 | 주기율표 제3B족에 속하는 금속원소. 원소기호 : In 원자번호 : 49 원자량 : 114.82 녹는점 : 156.63℃ 끓는점 : 약 2000℃ 비중 : 7.31(20℃) 황화 금속 광물에 소량 수반되며, 납을 제련할 때에 부산물로 얻어진다. 트랜지스커, 다이오우드, 원자로의 제어 막대(control rod)제조에 이용된다. 1863년 독일의 F.라이히와 H.T.리히터가 섬아연석 속에서 발견하였다. 이때 그들은 그 당시 발견된 분광분석(分光分析)을 사용하여 이 원소를 확인하였는데, 이것의 스펙트럼선이 청색을 나타낸 데서, 라틴어의 indicum(인디고블루)을 따서 인듐이라고 명명하였다. 주로 섬아연석 등 황화광물(黃化鑛物) 속에서 미소량이 발견될 뿐이며, 수권(水圈)·생물권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천연으로는 동위원소인 인듐 l13(4.28%)과 l15(95.72%)가 존재하는데, 115는 천연 방사성핵종이며, 반감기 6×1014년이고, β선을 방출한다. 은백색의 납(蠟)처럼 무른 금속으로, 상온에서 안정한 고체금속 중에서 가장 연하기 때문에 칼로 자를 수도 있으며, 문지르면 곧 부착하고, 굽히면 주석과 같은 소리가 난다. 또 가공하기 쉬우며, 어떤 형태로도 만들 수 있다. 알칼리수용액과는 반응하지 않으나, 산과는 반응하여 녹는다. 화합물은 3가(價)가 안정하다. 항공기용 슬리브베어링, 베어링용 인듐도금, 이융합금(易融合金), 유리 봉착용(封着用) 합금 등에 사용되는데, 산화물·황화물 등은 반도체이며, 전자공업에서 널리 사용된다. 또, 합금에 첨가된 형태로 한란계·의치 등의 충전제로서 이용된다. | indium : In |
755 | 인산염광물 | PO43-을 포함하는 광물. 파이로모르파이트(pyromorphite), 인회석, 녹연광, 은성석등이 그 예이다. | 燐酸鹽鑛物, phosphate mineral |
756 | 인성 | 재료의 粘性의 강도. 즉 다른힘에 의하여 파괴하기 어려운 성질을 말함. | 靭性 |
757 | 인장강도 | 어느 물체가 파열되기 직전의 최대 응력. | 引張强度, tensile strength |
758 | 인장파괴이론 | 폭약은 개방 상태에서 폭발했을 때와 밀폐 상태에서 폭발했을 때 전개되는 압력의 크기 및 지속 시간이 달라지는데, 일반적으로 밀폐 했을 때가 개방 상태보다 암반에 대한 폭약의 작용력이 훨씬 크다. | |
759 | 인차 | 인원 운반에만 사용하는 차량을 말한다. | 人車, Man car |
760 | 인회석 | 육방정계(六方晶系)에 속하는 광물. 굳기 : 5 비중 : 3.1∼3.2 색깔 : 무색 ·백색 무색, 담록색, 갈색, 회록색의 육방정계 광물족. 화학성분은 Ca5(PO4)3F이다. 육각주상 또는 육각판상(板狀)의 결정을 이루며, 입상 ·괴상(塊狀) ·포도상 ·섬유상 등을 나타낸다. 밑면 및 주면에 불완전한 쪼개짐[劈開]이 있고, 단구(斷口)는 평탄하지 않다. 굳기 5, 비중 3.1∼3.2이다. 무색으로 투명하거나 백색으로 반투명하며, 그 밖에 황색 ·황록색 ·유록색(油綠色) ·청색 ·자색 ·적색 ·갈색 ·회색 등 여러 가지 색을 띤다. 때로는 가열하면 청록색 빛을 내고, 또 자외선을 받아 청록색으로 발광하는 것도 있다. 성분에 변화가 있어서 플루오르 대신에 염소를 가진 것을 염화인회석 Ca5(PO4)3Cl, OH기를 가진 것을 수산화인회석Ca5(PO4)3OH라고 하며, 규산 ·탄산 ·황산을 가진 것도 있다. 42% 가량의 인산을 함유하여,인의 중요한 광석이 된다. 캐나다 ·노르웨이, 미국의 플로리다 등지에서 채굴된다. 아름다운 것은 가공하여 보석으로 사용하지만, 굳기가 낮아서 고급품이 되지는 못한다. 화성암 ·변성암의 부성분 광물로서 산출되며, 페그마타이트나 열수성(熱水成) 광상 ·퇴적암 중에서도 널리 산출된다. | 燐灰石, apatite |
761 | 일반광산 | 일반광산은 석탄광산과 석유광산을 제외한 모든 광산을 말한다. | 一般鑛山 |
762 | 일반산업폐기물 | 유기물류와 무기물류로 나뉘며 유기물류에는 폐지, 분뇨, 오니 등이며, 무기물류에는 금속편, 건축물 폐재, 폐석면류 등이다. | |
763 | 일산화탄소 | 공기 중의 0.96배의 밀도를 가지고 있으며 무색, 무미, 무취하여 물에 용해되지 않는다. 파란 불꽃을 내며 연소 한다. 타 물질의 연소를 돕지 않으며, 공기중에 12.5%-75% 함유하면 폭발성이 농후하다. 또한 강한 독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을 함유한 공기를 호흡하면 생명을 잃게 된다. | |
764 | 일산화탄소검정기 | 일산화탄소의 농도를 재는 기계로서 일산화탄소 중독자를 발견하였을 경우 사용한다. | |
765 | 임계속도 | 트로멜의 회전 속도가 너무 느리면 광립의 층이 무거워져 체질의 효과가 멀어진다. 이와 반대로, 회전 속도가 너무 빠르면 광립은 원심력 때문에 트로멜의 안쪽에 달라 붙어서 회전되므로 체질이 잘 되지 않는다. 이 때의 회전 속도를 임계속도라 한다. | |
766 | 임펙트크러셔 | 해머 밀의 파쇄기를 개량하여 충격판을 붙여 해머 밀로 파쇄하기 곤란할 정도의 단단한 광석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기계이다. | impact crusher |
767 | 자기유자율 | 광물과 암석은 자기 유자율, 즉 자화성이 강한데, 보기를 들면 자철광, 자류철광 등이 있고, 한편 자화성이 약한 사문암, 현무암, 감람암 등이 있어서 이것이 자력 탐광을 가능하게 하는 원인이 된다. | magnetic susceptibility |
768 | 자기이상대 | 자기 자오선상의 종단면도에 지자력이 수평 분력 H곡선과 수직 분력 Z곡선이 변동하는 모양을 실측 결과 그려 넣고, 탐광하고자 하는 구역을 등거리로 직교하는 평행선군으로 나눈 다음, 각 교점마다의 수직 분력을 실측하여 지도에 기입하고 등자력 선을 그려 넣으면 자기 이상대를 쉽게 찾을 수 있다. | magnetic anomaly |
769 | 자기탐사 | 물리탐광법의 하나. 자기탐광·자력탐사·자력탐광이라고도 한다. 지표 또는 공중에서 지구자기장을 측정하여, 암석의 대자율(帶磁率)이나 잔류자기 등에 의거한 자기력분포로부터 지하 암석의 자기적 성질, 자성물질의 존재 여부, 지질구조 등을 조사하는 방법을 말한다. 따라서 자성의 차이가 없는 지하에서는 조사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화성암은 변성암·수성암에 비해 자성이 강하고, 그 중에서도 염기성 화성암은 큰 자성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 변성암은 화성암보다 약하지만, 보통 수성암보다 자성이 강하다. 자기탐사에서는 지하에 있는 각종 암석의 자성을 반영하는 자기력 세기의 지역적 분포를 구하는 것이지만, 이것으로 측정되는 지구자기장은 크기와 방향을 가진 벡터량(量)이다. 크기는 전자기력(全磁氣力)으로 나타내며, 수평자기력과 수직자기력으로 분해된다. 그 방향은 복각(伏角)과 편각(偏角)으로 나타낸다. 이러한 자기량을 측정하는 데 쓰이는 자력계(磁力計)는 그 용도에 따라 자기컴퍼스, 수평자력계 및 수직자력계를 비롯하여, 포화철심(飽和鐵心)자력계·핵자기유도자력계(일명 프로톤자력계) 등이 있다. 자력계에 의한 측정결과는 필요에 따라 온도보정·일변화보정(日變化補正)·지형보정 등을 거친 후, 등자기력선도(等磁氣力線圖)나 자기이상(磁氣異常)의 단면도로 정리된다. 측정결과의 해석법으로는 ① 지하구조의 모델을 가정하여 자기이상을 계산한 다음 그 분포와 측정결과를 비교해서 지하구조를 해석하는 방법, ② 측정한 자기이상으로 직접 일정한 깊이의 자기력분포를 구함으로써 지하구조를 해석하는 방법이 있다. 근년에 공중자력계의 발달과 더불어, 이것을 항공기에 싣고 비행하면서 측정하는 항공자기탐사가 급속히 발달하고 있다. 항공자기탐사는 지상의 자기물체로 인한 요란(擾亂)의 영향이 적으며, 단시간에 아주 신속히 광역(廣域)측정을 할 수 있으므로, 탐사 초기단계에서 광역의 기반(基盤)구조와 퇴적물의 발달상태를 개략적으로 파악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 磁氣探査,magnetic prospecting |
770 | 자력선광법 | 광물이 가지는 자력의 차이를 이용하여 선별하는 방법. 자철광, 자류철광 등의 선별에 쓴다. 자성이 있는 광물은 자석에 붙고 자성이 없는 광물은 붙지 않는 성질을 이용 한다. | |
771 | 자력선별 | 광물에는 자석에 의하여 끌리는 성질, 즉 자성을 가진 것들과 그렇지 않은 것들이 있고, 또 자성을 가진 광물들 중에서도 자성이 매우 센 것으로부터 매우 약한 것에 이르기 까지 여러 가지가 있다. 그러므로, 자석을 가지고 자성이 보다 약한 광물로부터 보다 센 광물을 끌어낼 수가 있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광물을 선별하는 방법을 자력 선별이라고 한다. | magnetic separation |
772 | 자력탐광 | 자력계로 지자기의 복각과 연직 분력을 측정하여 지하 자원의 존재를 알아내는 방법이다. 자철석이나 그 밖에 자성을 띤 광상이 지하에 매몰되어 있으면 그 영향으로 지자기 이상이 일어나기 때문에 광상의 위치와 그 규모를 추정할 수 있다. 자기탐사, 자력탐사는 동의어. | 磁力探鑛, magnetic prospecting |
773 | 자력탐사법 | 지구물리 탐사법들 중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탐사법이다. 지구남쪽은 S, 북쪽은 N으로 대자(帶磁, 자기를 띤 현상)되어 있는 하나의 큰 공모양의 자석과 같은 것으로 알고 있다. 그러므로, 지각이 균질하고 방향이 변하지 않았다면 지자기의 자기 자오선은 지도의 자오선과 거의 나란한 모양을 보이고, 자장의 강도도 위도에 따른 규칙성을 보일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곳곳에서 지자기를 측정하여 보면 국부적으로 방향과 강도의 차이를 나타낸다. 지상에서 지자기의 방향이 곳에 따라 다른 것은 지각 변동의 결과이며, 자장의 강도가 다른 것은 지역에 따라서 구성하는 광물이 대자되어 있는 강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자력탐사는 지표에서 지자기의 강도를 측정하여 이 측정값들이 장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이용하여 지하의 대자율이 큰 광물들의 존재와 지각의 변동을 탐사하는 방법이다. 자력 탐광은 일반적으로 대자율이 큰 자철석과 티탄철석의 탐사에 주로 이용된다. | 磁力探査法 |
774 | 자력탐사용자력계 | 자력탐사법 참조. 나침반 정도의 간단한 것부터 항공기에 싣고서 탐사하는 정밀한 것까지 종류가 다양하다. | |
775 | 자성 | 광물에 따라 자성에 끌리는 것과 끌리지 않는 것이 있는데 이런 성질을 이용하여 자석으로 유용광물과 맥성을 분리할 수 있다. | 磁性 |
776 | 자승 | 로우프에 사용하는 가는 소선을, 즉 철사를 여러번 꼬아 만드는 것. | strand |
777 | 자연분해 | 흑색화약, 피크린산, TNT등의 방향족 니트로 화합물은 상온의 건조 상태에서 변화하거나 분해되지 않는다. 그러나 니트로셀룰로오스나 니트로글리세린과 같은 질산에스테르, 또는 이들을 함유하고 있는 화약류는 자연 분해를 일으키기 쉬울 뿐만 아니라, 때에 따라서는 자연 발화 또는 자연 폭발을 일으키게 된다. 특히, 금속가루가 배합된 혼합 화약류는 수분과 반응하여 산화작용을 일으키고 자연 발화 현상을 일으키기 쉬우며, 질산에스테르 등은 적은 양의 산으로도 분해 반응이 시작된다. 그러므로 자연 분해 가능성이 있는 폭약은 만들 때와 보관할 때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
778 | 자연전위법 | 지각은 광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광물은 근본적으로 화합물이므로 성분, 농도, 온도, 그리고 압력 등에 따라서 분해되기도 하고 다른 화합물로 변하기도 한다. 이러한 현상이 지구 표면 근처에서 나타날 때 우리는 이를 화학적 풍화 작용이라고 말한다. 화학적 풍화 작용에 의하여 광물의 구성 성분은 산화나 환원 현상이 나타나고, 전자의 이동이 생길 뿐만 아니라, 용해된 성분의 농도와 확산 속도 등의 영향으로 자연계에 건전지와 같은 전기 화학적 현상인 전위차가 발생된다. | SP법 |
779 | 자연정화법 | 산성광산 폐수를 자연에서 발생하는 화학적 생물학적 작용을 이용하여 정화하는 방식을 말한다. | Passive treatment of AMD |
780 | 자연통기법 | 높은 곳과 낮은 곳에 있는 두 갱도를 갱 안에서 연결되도록 하여, 갱구에 미치는 대기압의 차이로 기류가 형성되도록 한 통기 방법으로서, 별로 깊지 않은 광산에서 이 방법을 많이 채택하고 있다. 이 자연 통기법은 겨울에는 낮은 갱도에서 입기되어 높은 갱구로 배기되나, 여름에는 반대로 높은 갱도에서 낮은 갱도로 기류가 흐르게 된다. | 自然通氣法 |
781 | 자연폭발 | 화약류가 외부로부터 에너지를 받지 않고 스스로 폭발하는 현상. | 自然暴發 |
782 | 자원정보시스템 | 광물 및 에너지자원(석유, 가스 제외)과 관련된 뉴스, 문서, 도면, 통계, 동영상자료 등의 각종 자원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압축하여 이를 정보수요자에게 인터넷 등으로 실시간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대광업진흥공사에서 제공하고 있다. | |
783 | 자원정보조사 | 자원부국 또는 진출 유망국에 대한 투자정보입수, 개별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정보입수, 개별 프로젝트에 대한 개략적인 현황파악, 세부적인 투자여건분석 등을 위하여 대한광업진흥공사에서 실시하는 현지조사를 말한다. | 資源情報調査 |
784 | 자유면 | 노출된 면. 주로 심발 발파를 이용하여 자유면을 확보함. | |
785 | 자유형광구제도 | 일제시대의 법령에 따라 광업권을 출원한 사람의 의사에 따라 광상을 중심으로 자유로이 설정한 광구제도. 그러나 우리 나라 광업법이 제정 될 때 이 자유형 광구 제도를 없애고 단위 광구제를 채택하게 되었다. | |
786 | 자이어퍼터리크러셔 | 광석을 연속적으로 파쇄함으로써 처리 능력이 크고 능률도 좋으므로 큰 선별 처리 공장에서 조쇄기로 사용되고 있다. | |
787 | 잔유광상 | 풍화받은 현장에서 형성된 광상, 금속 화합물이 지표면의 풍화작용을 받아 산화되어 형성된 광상. | 殘留鑛床, residual deposit |
788 | 잔주식채굴법 | 광석의 일부를 광주로 남겨 놓음으로써 이 광주가 천반을 지지하도록 하는 방법인데, 충전이나 지주에 의한 지지를 하지 않으므로 무지지 채굴법에 속한다. 이 채굴법의 적용 조건은 광석이나 상하반이 모두 견고하고, 광체가 지표에서 얕은 부분에 있기 때문에 큰 지압이 작용하지 않으며, 경사가 급하지 않은 광체에 적용된다. | |
789 | 장공착암기 | 노천 채굴의 계단 채굴법에서는 장공발파(長孔發破)를 할 수 있으므로 천공용으로 크로셔(crawlair)드릴을 사용한다. 이것은 천공 지름이 80㎜, 1분에 20-50㎝의 천공을 할 수 있으며, 최대 30m까지 할 수 있으나 능률적인 면을 고려한다면 12m정도가 가장 알맞다. | |
790 | 장벽식채탄법 | 길이 수십∼200m에 이르는 일직선의 막장을 만들어 채탄하는 방법. 철재 지보로 막장면을 개방하여 긴 단면을 왕복하면서 석탄을 깎는 코울 커터(coal cutter)와 같은 기계로 절삭하고, 이 절삭된 석탄은 탄면 바닥에 설치된 체인 컨베이어로 운반된다. 이와 같은 작업은 석탄의 절삭과 운반 및 지보가 연속적으로 실시되므로 달리 연속 채탄법(contineous mining)이라고 한다. 한 막장으로부터 출탄(出炭)을 많이 하고, 인원·설비·통기(通氣) 등을 집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팬저 컨베이어(Panzer forderer snaking conveyor)를 설치하고 컨베이어에 따라 채탄기계를 이동시켜서 채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長壁式採炭法 |
791 | 장석 | 칼륨 K, 나트륨 Na,칼슘 Ca, 바륨 Ba의 알루미노 규산염 광물. 여러 종류의 암석 속에 가장 많이 들어 있는 광물이지만 채굴 가치를 가지는 농집된 광체는 흔하지 않다. 화학성분은 (K,Na,Ca,Ba)(Al,Si)-4O8이다. 지각이나 달 ·운석 속에서 발견되는 화강암의 주요 구성성분이다. 천연으로 산출되는 장석은 대부분, 칼륨장석 KAl-Si3O8, 나트륨장석NaAlSi3O8, 칼슘장석 CaAl2Si2O8의 세 가지 단성분(端成分)의 계열에 속한다. 칼륨장석과 칼슘장석은 거의 고용체를 이루지 않지만, 칼륨장석과 나트륨장석 및 나트륨장석과 칼슘장석은 연속고용체(連續固溶體)를 이루며, 각각의 계열을 알칼리장석 및 사장석(斜長石)이라 총칭한다. 알칼리장석은 미사장석(微斜長石:삼사정계) ·정장석(正長石:단사정계)으로 대표되며, 산성 화성암의 주성분 광물이다. 담홍색 화강암의 유색 광물은 정장석이다. 사장석은 중성 ·염기성 화성암의 주성분 광물이다. 나트륨과 칼슘의 비율은 연속적으로 변화하여, 산성암에서 염기성암으로 되어감에 따라, 나트륨보다도 칼슘이 풍부한 사장석이 많아진다. 나트륨 및 칼슘을 주성분으로 하는 사장석을 각각 조장석(曹長石) 및 회장석(灰長石)이라 하며, 나트륨과 칼슘을 거의 같은 양을 함유한 사장석을 중성장석이라 한다. 장석의 이 세 가지 종류와 고용체는 분포가 매우 넓어서, 그것들을 총계하면, 양은 석영을 능가하며, 지각을 구성하는 광물 중에서 가장 많은 것이라고 생각된다. 도자기의 원료가 되는 도토(陶土)는 장석이 풍화한 것이다. 장석에는 정장석, 사장석 등 여러 종류가 있으며, 장석의 용도는 도자기, 유리, 유약 등의 제조에 이용된다. 미국의 경우 유리 제조와 요업 원료로 소비되는 것이 전체 장석 9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장석은 어느 지역에 편재되어 있는 자원은 아니나, 경제성이 있는 매장량을 가진 나라는 미국, 멕시코, 소련이다. | 長石, feldspar |
792 | 장약 | 포신 내에서 포탄을 앞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하는 화약. 추진장약이라고도 한다. 화약이 든 명주주머니로 되어 있으며, 포탄 한 발에 서로 크기가 다른 6∼8개의 장약이 딸려 있어, 사격거리·사격방법에 따라 전부 또는 지정된 호수(號數)의 장약을 장전해서 사격한다. 보통 105mm 이하의 경포에 사용되는 포탄은 탄환과 탄피가 분리되어 있어서(반고정탄) 사격명령에 따라, 탄피 속에 지정된 장약(예를 들어 장약 6호라고 한다면 1∼6호장약까지 6개)을 넣고 탄환과 결합한 후 포신(약실) 내에 장전한다. 탄피가 없이 탄환만으로 된, 중구경 이상의 포탄(분리장전탄)에서는 탄환을 장전한 후 그 뒤쪽에 지정된 장약을 장전하게 된다. 포신 내의 장약은 뇌관에 의해서 점화되며, 폭발하는 힘으로 포탄을 앞으로 추진시킨다. 13세기 중반∼19세기 말까지는 탄소·황·칼륨·질산나트륨을 혼합해서 만든 흑색화약이 장약으로 사용되었다. 20세기에 들어와서는 니트로글리세린을 주체로 한 무연화약을 주로 사용하였다. 1930년에 영국이 유상(紐狀) 무연화약을 개량해서 코르다이트(Cordite)폭약을 개발한 뒤부터는 대부분의 나라가 이것을 장약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 裝藥,charge |
793 | 장약비중 | ANFO폭약은 장약 비중이 1.1 정도이면 기폭하기가 어렵고, 비중이 1.0-0.9정도이면 기폭하기가 쉽다 | |
794 | 장전 | 발파효과는 정확한 천공과 완전한 장약 및 전색에 의해서 좌우되는 것이므로, 장전 작업을 잘 하느냐 못하느냐에 따라 적지 않은 영향을 받게 된다. 또, 장전과 점화에 소요되는 시간을 굴진 사이클 중에서 차지하는 시간으로 보면 비교적 짧지만, 고속 굴진에 있어서는 배연을 포함한 장전 시간도 큰 비중을 차지한다. 따라서, 발파 작업은 신속하고 확실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 |
795 | 장치화포 | 화약류와 색깔을 내는 발색제를 섞어선 만든 화공품으로, 폭포, 그림 등 나타내고자 하는 모양을 만들어 점화시키면 원하는 모양의 불꽃을 만들 수 있다. | 裝置火砲 |
796 | 재고탄 | 석탄을 생산하였으나 출하 또는 소비되지 않고 있는 석탄을 말한다. | 在庫炭 |
797 | 재밍 | 시추 작업 중 큰 저항을 받아 로드가 회전하지 못하는 현상을 말한다. | Jamming |
798 | 재해 | 광산은 지하 깊은 곳에서 작업을 하게 되므로 다른 산업에 비해 재해율이 높다. 재해의 종류는 낙반, 운반, 출수, 가스 폭발, 갱내 화재, 화약류 등 여러 가지가 있으며, 이와 같은 재해가 많이 발생하는 이유는 평소 보안 법규나 규칙을 잘 이행하지 않는 데 원인이 있으므로, 항상 철저한 보안 교육과 훈련을 실시해야 한다. | 鑛山災害 |
799 | 재해율 | 재해발생 현황을 생산량, 가동인원, 가동시간, 종업원수 등을 기준으로 환산해 서로 비교한 것을 말한다. | 災害率 |
800 | 재해회수 | 재해로 인하여 업무상 사상자를 발생시킨 재해의 건수를 말한다. | 災害回數 |
801 | 잭해머 | 핸드 드릴의 별칭으로서 무게는 5.6㎏에서 24㎏에 이르는 큰 기계도 있다. | jack hammer |
802 | 저압압축기 | 공기압축기는 압력상으로 저압, 중압, 고압 압축기로 나뉜다. 저압압축기는 4-9㎏/㎠이다. | 低壓壓縮機 |
803 | 저압전기뇌관 | 점화는 전열 작용을 이용한 것이다. 각선이라고 불리는 구리선은 2-3㎜의 간격을 두고 평행으로 병행되었고, 그 끝에 저항이 큰 백금의 합금으로 된 전교가 땜질되어 있다. 그 상부에는 각선이 고정되도록 마개가 붙어 있고 백금교에는 점화약이 붙어 있어 백금의 저항열로써 점화되어 뇌관이 폭굉하게 된다. 이 때, 전류가 지나치게 강력하면 백금교는 그 용융 온도인 1750℃로 되어 뇌관이 폭굉하기 이전에 타 버리게 된다. 또 미약한 전류도 적당하지 않으며 0.2-1.2〔A〕, 0.5-2.0〔V〕,0.8-1.5〔Ω〕이 가장 적합한 전류인 것이다. 점화약은 강면약을 많이 사용하였으나, 현재는 로단납과 염소산칼륨의 혼합물과, 강면약인 아세톤, 초산아보 등과 잘 섞어서 백금 전교에 발라서 말린 것을 사용한다. | |
804 | 전광능율 | 1일중 생산한 석탄의 양을 광업에 종사하는 1일 전체인원(직접부+지원부)의 수로 나누었을 때의 생산성(톤/공)을 말한다. | 全鑛能率 |
805 | 전교선 | 백금 80-90%, 이리듐(iridium)10-20%의 합금으로 만든선. | |
806 | 전기감도 | 전기를 사용하는 기계 또는 시설에 접지 장치를 하지 않으면 정전기가 축적된다. 이렇게 축적된 전기 에너지는 사람의 몸과 같이 전기가 통하는 매체와 접촉하면, 외부로 전기를 방출하는 방전 현상을 일으킨다. 이 방전 에너지가 일정한 값 이상으로 커지면 주위의 물체를 연소시키게 된다. 전기 감도는 이러한 전기적 충격에 의하여 화약류가 폭발하는 성질을 나타내는 값이다. | 電氣感導 |
807 | 전기뇌관 | 일반적인 공업 뇌관의 윗부분에 전기 점화 장치를 한 것이다. 폭발 과정은 각선에 전기가 통하면 백금선이 가열되면서 면화약 등으로 된 점화약이 발화하고, 계속해서 뇌관이 점폭하면서 폭약 전부가 폭발하게 된다. 전기 뇌관의 관체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으로 되어 있고, 각선은 지름이 약 0.5㎜, 전기 저항이 0.084Ω/m인 구리선에 비닐 또는 합성 수지로 피복을 하여 절연과 방수 가공을 한 것으로, 바깥 지름은 약1.0㎜이다. | 電氣雷管 |
808 | 전기발파 | 각선에 꼬임이 없도록 유의하며, 결선할 때까지 각선 끝의 단락을 풀어서는 안 된다. 그리고 발파 전에 반드시 도통 시험을 해야 하며, 1mA 이하의 전지를 이용한 도통 시험기로 도통 시험을 할 때 이외에는 막장에서 30m 이내에 접근하면 안된다. 또 발파기는 습기나 물이 있는 곳에 놓아서는 안 되며, 보조 모선에는 피복이 벗겨진 것이나 사용했던 각선을 다시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발파 모선은 사용전에 단선 유무를 조사하고, 30m이상의 충분한 길이를 지니도록 하며, 점화 직전이 아니면 발파기와 접속 하는 끝의 단락을 푸는 일이 없어야 한다. | 電氣發破 |
809 | 전기분극현상 | 전기 탐광의 한 종류로서 상태는 분극이며 자연 현상이다. 일반 광상에 주로 응용된다. | S.P |
810 | 전기탐사법 | 지각의 구성 물질에 따른 전기적인 특성을 측정하여 광상이나 지하 구조물 등의 존재를 알아내는 탐사 방법을 전기 탐사법이라 한다. 전기 탐사법에는 화학적 풍화 작용에 의해서 지각에 자연히 발생된 전위차를 측정하는 자연 전위 측정법, 그리고 인위적으로 두지점 간에 전위차를 만들어 땅의 전기 저항을 측정하는 비저항법, 또는 이 때에 전기 화학적 현상에 의하여 나타나는 전위를 측정하는 유도 분극법 등이 있다. | 電氣探鑛法 |
811 | 전략광종 | 유연탄, 우라늄, 동, 아연(연), 철을 5대 전략광종이라 한다. | 戰略鑛種 |
812 | 전색 | 발파 위력을 크게 하고, 가스나 석탄가루에 대한 인화의 위험성을 작게 하여 안전도를 높이며, 발파 후 발생 가스를 적게 발생시킨다. 따라서,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전색 없이 발파하는 경우는 없다. 이 때문에 전색물의 길이를 법규로 정하고 있는 나라도 있다. 전색물은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갖춘 것이어야 한다. (가) 발파공 벽과의 마찰이 커서, 발파에 의한 발생 가스의 압력을 이겨 낼 수 있는 것. (나) 압축률이 작지 않아서 단단하게 다질 수 있는 것. (다) 틈새를 쉽게, 그리고 빨리 메울 수 있는 것. (라) 재료의 구입과 운반이 쉽고, 값이 싼 것. (마) 연소되지 않는 것 (바) 불발이나 잔류 폭약을 회수하기에 안전한 것. | |
813 | 전색계수 | 전색 계수(d)는 폭약을 발파공에 장전한 후, 모래나 점토로 발파공을 완전히 메워 틈새를 없애고 폭약을 발파공 안에 밀폐시킨 상태를 1(표준)로 하면, 그 밀폐 상태의 불완전 정도에 따라 d의 값이 감소한다. 따라서, d>1인 경우에 d=1인 경우와 같은 발파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더 많은 폭약이 필요하다. 이 전색 계수 d의 값을 정확하게 구하는 것은 힘드는 일이나, 전색 정도에 따라 실험에 의하여 계수의 값을 구하기도 한다. | |
814 | 전자공업용원료 | 규사, 규석. 순수한 석영에 가까운 모래나 암석으로서 유리 제품의 주원료이지만, 최근에는 반도체 재료인 실리콘의 원료 광물로서 많이 이용되며, 우리 나라는 자원이 풍부하므로 정제 기술이 발전되면 귀중한 자원이 될 수 있다. | 電子工業用原料 |
815 | 전자공업용희금속 | 게르마늄, 레늄, 인듐, 셀렌, 카드뮴 등, 각 조 참조. | |
816 | 전자탐사법 | 지표에서 방사한 전자파에 의해서 감응된 광체가 발생하는 전자 파 때문에 수신할 수 있는 전자파의 변화를 감응 코일로 측정하는 방법이다. 그러므로, 이를 전자파 탐사법이라고도 한다. 전자 탐사법에는 점 전극이나 선 전극을 이용하여 직접 땅에 고주파의 전류로 전자파를 방사하는 방법과, 코일이나 루우프(loop)로 전자파를 방사하고 수신하는 방법이 있다. 전자 탐사법은 전기의 양도체인 광체의 발견에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며, 특히 깊지 않은 곳의 양도체에 대하여 반응이 잘 나타난다. | 電磁波探査法 |
817 | 전폭성 | ANFO폭약이나 슬러리 폭약은 뇌관만으로 기폭시킬 수가 없기 때문에, 폭발 촉진제인 부스터(booster)를 사용하여 폭발시켜야 한다. 부스터로는 니트로글리세린 30%이상을 함유한 다이너마이트가 많이 사용된다. 약포의 지름이 22㎜ 이상인 ANFO폭약을 기폭시키는데 필요한 부스터의 양은 폭약 장약량의 5-6% 정도이다. | |
818 | 전폭약 | 천공 내의 폭약을 폭발시키는 데에는 보통 공업용 뇌관과 도화선을 연결하는 방법과, 전기 뇌관을 다이너마이트의 포장지 속에 넣어 점화시키는 방법이 있다. 뇌관을 다이너마이트에 삽입할 때에는 포장지의 한쪽 모서리를 열고 약포 중심부(약포 길이의 중간 정도)에 뇌관 삽입 막대로 구멍을 뚫고, 그 속에 도화선 뇌관이나 전기 뇌관을 삽입하고 열었던 포장지를 접은 다음, 실이나 끈으로 그 위를 매어 뇌관이 다이너마이트에서 뽑아지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또, 젤라팅 상태의 약포는 구멍을 뚫어도 약포 내의 폭약이 흘러 내리지 않기 때문에 실이나 가는 끈을 따로 사용하지 않고, 직접 도화선이나 전기 뇌관의 각선으로 묶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렇게 한 것을 전폭약이라 하며, 장약공의 밑바닥이나 중간에는 나중에 장전하여 다른 약포와 밀착시킨다. | primer |
819 | 절리 | 지각 변동에 의해서 장력 또는 압축력을 받은 암석 내에, 또는 화성암이 생성될 때의 냉각, 수축 등에 의해 갈라진 틈이 생기는데, 이와 같은 틈을 절리라 한다. 절리를 경계로 하여 양쪽 지괴가 상대적으로 크게 움직였다면 이는 곧 단층이 된다. 단층과 달리 금을 경계로 양쪽의 전이(轉移)는 일어나지 않는다. 화성암의 경우에는 마그마가 냉각할 때 수축되어 방산절리(放散節理)·판상절리(板狀節理)·주상절리(柱狀節理) 등이 생긴다. 퇴적암의 경우는 판상절리가 많은데, 지각변동시 압축·전단(剪斷)·인장(引張)이 암석의 저항한계를 넘을 때, 최대 주변형력(主變形力) 방향에 대해서 특정한 배치를 가진 절리가 생긴다. 발달된 절리는 채석이나 갱도굴착에 이용되지만, 침투수의 유로(流路)가 되어 풍화·침식작용을 빨리 진행시키는 등 암석의 붕괴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 節理,Joint |
820 | 점보드릴 | 고속도 굴진이나 대단면 갱도 굴착을 위해 천공하는 드릴. 천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착암기를 대차 위의 붐에 장치하여 가동할 수 있게 한 것으로써 기계를 밀어내는 방식에 따라 수압식, 압기식, 유압식 등이 있으며 작업을 부드럽게 하고 충격을 흡수하며 고장을 막아주는데는 유압식이 좋다. | Jumbo drill |
821 | 점토류 | 점토는 알갱이가 너무 작기 때문에 X선을 이용하거나 전자 현미경에 의해서 그 결정을 판별한다. 대표적인 점토 광물은 고령토, 산성백토, 벤토나이트 등이며, 우리 나라의 경상 남도 지방은 점토 광물 산지로서 특히 유명하다. 점토들은 불순물의 함유량에 따라 색깔, 성질 등에 차이가 많은데, 이러한 성질의 차이에 따라 만드는 제품도 다르다. 점토가 양적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곳은 벽돌, 타일 등 건축 재료의 제조 부문이며, 다음이 내화물, 도자기, 제지 부문의 순이다. | |
822 | 점폭 | 폭굉을 일으키는 현상. | detonating |
823 | 점화 | 화약에 불이 붙는 현상. | ignition |
824 | 점화기 | 발전방식에 따라 자석식과 전자식으로 나뉜다. 1. 자석식 말굽형 영구 자석 중에 발전자를 회전시켜 교류를 일으키는 것이다. 이것은 소형이며 용량이 적으므로, 최근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2. 전자식 전자석의 자극 중에서 발전자를 회전시켜 직류 또는 교류를 발생시킨다. | |
825 | 점화력 | 지금 약6㎜의 유리관 한쪽 끝에 길이 20㎝의 도화선을 끼우고, 다른 한쪽 끝에는 길이 10㎝의 도화선을 끼운다. 이 때, 유리관 속의 두 도화선 사이의 거리는 5㎝로 한다. 시험 목적은, 길이 20㎝의 도화선을 점화하여 연소시킬 때 이 도화선의 불꽃이 5㎝떨어진 다른 도화선을 점화시키는지를 알아 보려는 것이다. | 點火力 |
826 | 접촉광물 | 접촉변성작용에 의해 생긴 광물. 그 광물을 이루는 원소는 변성작용을 받은 암석(주로 석회암 ·고회암 ·점판암 등의 퇴적암)과 접촉작용을 미친 암석(주로 화강암 ·섬록암 등의 심성암)의 양쪽에서 비롯된다. 예를 들면 석회암이나 고회암이 접촉변성작용을 받으면 그 속에 있는 석회나 고토(산화마그네슘)와 심성암에서 방출된 규소나 알루미늄 등이 결합하여 규회석 ·석류석 ·베수비아나이트 ·투휘석 ·스피넬 ·금운모 등이 생긴다. 점판암의 경우는 그 속에 있는 알루미늄이 규소와 결합하여 홍주석 ·근청석 ·흑운모 등이 생기게 된다. | 接觸鑛物,contact mineral |
827 | 접촉교대광상 | 1) 탄산염암을 포함하는 지층군 중에 관입한 화성 암체의 관입 접촉부 또는 그 근처에 주로 교대 작용에 의해 생기고 스카론 광물이 풍부한 광상이다. 2) 화성암이 생성된 후에 마그마에는 휘발분과 수분이 농집된다. 이 때를 기성 단계라 하며, 이 때 고온의 가스, 용액 등이 화학적으로 반응성이 있는 암석과 만나게 되면 그 속에 광물을 침전시켜 광상을 이룬다. 이런 광상은 관입한 화성암과 관입당한 암석의 접촉부에 부존하며, 맥석 중에 고온 변성 광물이 생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구리, 납, 아연, 철, 중석 등 여러 가지 금속 광물이 이 유형의 광상에 속한다. | 接觸交代鑛床,Contactmetasomatic deposit |
828 | 접촉변성암 | 지각 중에 관입된 마그마와 접촉함으로서 마그마로부터 유동성분이 빠져나와 모암의 구성성분과 작용하거나 열에 의해 새로운 광물을 형성하게 되는 접촉변성작용에 의해 생성된 변성암. 마그마의 작용이 미치는 범위는 마그마의 양과 열량 및 화학성분과 관계가 있겠으나 대체로 화성암체로부터 수백m에서 2km 정도까지이다. 암석은 열을 잘 통과시키지 않는 물질이므로 범위 밖에 있는 암석은 거의 변화를 받지 않는다. 열에 의한 접촉변성작용은 모암이 화성암인 경우보다 퇴적암인 경우에 변성이 잘 이루어진다. 특히 셰일 ·슬레이트 ·미사암과 같은 세립질인 점토질 암석과 이회암 ·석회암 ·고회암 등 석회질 암석은 대규모 화성암체 부근에서 열의 작용을 받아, 혼펠스(hornfels)로 변하거나 완전히 재결정되어 많은 접촉광물을 생성한다. 암석이 마그마에서 방출된 열수작용을 받으면, 그 중의 광물들은 녹니석 ·견운모 ·석영 ·황철석 ·방해석 등으로 분해된다. 화강암이 열수작용을 받으면 영운암(英雲岩)이라고 하는 석영과 백운모만으로 된 암석으로 변한다. 접촉변성작용이 진행될 때는 마그마로부터 다량의 가스와 함께 Si, B, Fe, W 등 많은 원소가 방출되어 모암과 반응하여 유용광물의 광상이 형성되기도 한다. | 接觸變成岩, contact metamorphic rocks |
829 | 접촉변성작용 | 고열에 의한 변성 작용으로, 마그마가 관입했을 때 그 접촉 주변에 있는 암석이 마그마의 열에 의해 변성된다. 이를 접촉 변성 작용이라 한다. | 接觸變成作用 |
830 | 정기폭 | 구멍 입구 쪽에 기폭점을 두는 것이 속에 두는 것보다 충격파가 자유면에 도달하는 시간이 빠르기 때문에, 자유면에서 반사하는 반사파의 세기가 큰 점 등의 이유로 정기폭이 역기폭보다 발파 위력이 크다고 주장되고 있으며, 순폭성에 있어서도 정기폭이 우수하다고 주장되고 있다. | |
831 | 정단층 | 1) 단층에서 단층면 상반이 내려간 것을 말함. 2) 역단층의 반대어로 연직 단면상에서 경사진 단층면의 상측에 있는 지층(상반)이 하측에 있는 지층(하반)에 대하여 미끄러 내려앉은 것을 말하며 신장성의 힘에 의하여 양측의 지층이 상호 격리하는 듯한 모양으로 생긴 단층을 가리키는 경우도 있다. | 正斷層, Normal fault |
832 | 정마그마광상 | 마그마가 고화되는 초기 단계에 농집된 광상을 말한다. 여기에는 몇 가지 다른 농집 과정이 있다. 첫째. 먼저 정출된 유용 광물이 마그마 유체보다 비중이 크면 밑에 가라앉아 농집되는 경우가 있다. 크롬철석 광상은 이렇게 된 광상의 보기이다. 둘째, 먼저 정출된 광물이 비중이 가벼우면 위로 떠올라 마그마 안에서 유동하다가 암맥을 형성하면서 광상을 이루는 경우이다. 다이아몬드는 이에 속한다. 셋째, 마그마 안에서 이미 특정 성분의 용액끼리 분리되었다가 농집, 고화되는 경우로서, 이는 마치 용광로 안에서 금속 용액과 맥석 용액이 분리되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이 방법으로 농집되는 보기는 니켈, 구리 광상이 있다. | |
833 | 정속가열발화점시험 | 화약을 일정한 속도로 가열할 때 발화하는 온도를 측정하는 시험이다. | |
834 | 정온가열발화점시험 | 화약을 일정한 온도 가열할 때 발화하는 온도를 측정하는 시험이다. | |
835 | 정용비열 | 원칙적으로 온도의 함수이며, 가스의 종류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진다. | 定容比熱 |
836 | 정장석 | 무색, 백색, 우유빛 황색, 연한 분홍색 또는 회색을 띠는 알칼리 장석군에 속하는 광물. 미사장석과는 동질이상 관계이며 약간의 나트륨을 포함한다. | 正長石, orthoclase |
837 | 정전선별 | 대부분의 금속 황화물(섬아연석은 제외)이나 금속 광물들은 전기의 양도체인 데 비하여 대부분의 맥석 광물들은 불량 도체이다. 여기서, 전기는 같은 극끼리는 서로 반반하고 다른 극끼리는 서로 끌어당기는 원리를 이용하여, 고압으로 대전된 면에 양도체 광물과 불량 도체 광물이 섞인 광물을 급광할 경우 이들을 정전력에 의하여 혹은 끌로, 또는 물리치게 함으로써 선별하는 방법을 정전 선별 혹은 정전기 선별이라 한다. | |
838 | 정전선별기 | 정전 감응에 의하여 고압으로 대전된 금속 로울의 표면에 모래알만 한 크기의 광석을 공급해 주면 양도체 광물은 전기 전도에 의하여 같은 극의 전기가 대전되기 때문에 튕겨져 나가고, 불량 도체 광물은 대전되지 않은 채로 중력에 의하여 떨어져 내려간다. 코로나 방전형에 있어서는 접지된 로울 가까이에 고압으로 대전된 가는 금속선이나 빗 모양으로 된 뾰족한 극을 직선으로 놓으면 여기에서 로울 방향으로 전기가 분사된다. 그러면, 이 전기에 의하여 양도체 광물은 감응되어 받은 전기를 바로 로울로 유출시켜 약간의 영향을 받거나, 또는 무반응 상태로 떨어져 내려가고, 불량 도체 광물은 금속선과는 반대 부호로 대전된 로울면에 붙은 채로 돌다가 솔(브러쉬)로 씻겨져 떨어진다. 정전 선별기는 허프형이 많이 쓰인다. | |
839 | 정합 | 이웃한 지층들이 오랜 퇴적의 중단없이 서로 순서있게 차례대로 쌓여있는 상태. 하위의 지층이 쌓인 뒤 상위 지층이 쌓이기 까지 사이에 침식. 습곡 및 그 밖에 여러 변형들이 일어난 증거가 보이지 않는 경우 이들 상하위 지층들 사이의 관계를 가리킨다. | 整合, conformity |
840 | 제울라이트 | 망상 규산염의 결정형을 갖고 알칼리 금속이나 알칼리 토류 금속을 포함하는 함수 알루미늄 규산염의 일군. 공극의 형태와 크기는 기본적으로 사면체 구조단위의 연결 방식에 의해서 정해지며, 망목 구조사이에 있는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류 금속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변형된다. | |
841 | 제임스테이블 | 첫째, 헤드 모션이 아래 끝에 있고, 운동은 대각선 방향으로 30°가량 기울어져 있다. 따라서, 리플도 같은 각도로 기울어져 있다. 둘째, 평면판의 표면이 3개의 다른 평면으로 되어 있다. 평면판은 탄성이 있는 받침으로 지탱되고 있어 진동에 의한 광립의 이동을 증대시킨다. 이 기계는 입자가 가는 광물의 비중이 선별에 적합하다. | |
842 | 제트 | 제트의 평균 속도는 10,000m/s정도이지만, 슬랙의 속도는 1,000m/s정도이다. 제트의 위력은 제트의 길이에 따라 다르며, 제트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대상 물체의 구멍의 깊이도 깊어진다. 제트의 길이를 길게 하려면, 목표물을 라이너 밑바닥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떨어뜨려 놓아야 한다. | |
843 | 제트버너절단법 | 석재 채굴시 연속 천공 절단법과 함께 많이 사용되며, 압축강도가 800kg/cm2이상인 견고한 암석 절단시 사용. | |
844 | 젤라틴다이너마이트 | NG 함유량이 60%정도인 것. | |
845 | 젤리그나이트 | NG 함유량이 40%정도인 것 | |
846 | 조광/원광 | 채굴된 그대로의 광석. 즉 선광장에 보내진 광석을 말한다. | 粗鑛, 原鑛,Crude ore, run-of-mine ore, raw ore |
847 | 조광권 | 설정행위에 의하여 타인의 광구(鑛區)에서 그 광업권의 목적으로 되어 있는 광물을 채굴(採掘) ·취득(取得)할 수 있는 권리. 이는 물권의 성질을 가지며 상속 기타 일반승계의 목적으로 하는 이외에는 권리의 목적으로 할 수 없다. 이에 관해서는 광업법에서 자세히 규정하고 있다(52~66조). 조광권을 설정하고자 할 때에는 조광권자가 되고자 하는 자와 광업권자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산업자원부장관의 인가(認可)를 받아야 한다. 이때 동일한 광업권에는 둘 이상의 조광권을 설정할 수 없으며,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그 조광권의 수를 제한할 수 있다. 산업자원부장관은 광업법 제53조 2항의 규정에 의한 법인에게 조광권의 설정을 인가할 때에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미리 광업개발심의회의 심의를 거쳐 인가조건 등을 정할 수 있다. 조광권자가 되고자 하는 자는 조광권 설정의 인가통지서를 받은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등록세를 납부하고 산업자원부장관에게 등록을 신청하여야 한다. 광업권자와 일정한 계약을 체결하고, 이에 대하여 산업 자원부 장관의 인가를 얻어 광업권자와 거의 같은 권리와 의무를 가지고 광산을 개발할 수 있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나, 광업권자로서는 광산의 특수성이나 채굴한 후의 잔류 광물을 채굴하기에는 부적당한 구역에 덕대나 청부를 주어 왔고, 이에따른 보안상 문제나 임금 체불 등의 사회적 문제가 계속 대두되어 왔다. 그것은 덕대나 청부업자는 광업권자와 일정한 계약하에 광구의 일부를 개발하는 자로서, 아무런 의무나 권리의 제한이 없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덕대라 함은 인력과 자재 및 제반 경비를 덕대 업자가 직접 부담하여 생산된 광물을 스스로 판매하거나 광업권자에게 납품하는 제도를 말한다. | 粗鑛權 |
848 | 조광권의변경 | 광업권자가 조광을 준 광업권을 변경시킬 경우, 즉 광구의 감소, 분할, 합병 또는 폐업 등을 할 때에는 반드시 조광권자의 동의를 얻어야 하나, 광구의 통합 개발이 필요할 때 산업 자원부 장관의 결정에 따라 변경되는 광구에 대해서는 동의를 얻을 필요가 없다. | |
849 | 조광권의설정 | 산업 자원부령이 정하는 조광권 설정 신청서를 제출하여 산업 자원부 장관의 인가를 받아야 한다. 일단 조광권 신청서가 접수되면 심사를 하게 되는데, 이 때 해당 광산의 도면이 첨부되어야 하고, 이 도면을 검토하여 광산의 종합 개발이나 보안상 위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만일, 조광권을 2명 이상이 신청하고자 하면 공동 광업권과 같이 조광권도 그 규정이 준용된다. 조광권 설정 신청에 대한 인가 통지서를 받게 되면 받은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등록세 납부와 동시에 산업 자원부 장관에게 등록을 해야 하며, 만일 등록을 하지 않으면 무효가 된다. | |
850 | 조광권의소멸 | 조광권자가 광업권자와 체결한 계약 조건에 따른 조광료를 내지 않을 때 광업권자는 일정 기간 최고를 하고, 그래도 조광료를 내지 않으면 산업 자원부 장고나에게 소멸 신청을 내어 조광권을 소멸시킬 수 있다. 조광권도 광업권과 같이 취소될 수가 있으며, 그 경우는 다음과 같다. (가)조광권이 착오로 승인되었을 때 (나)조광 개발이 공익을 해할 때 (다)탐광이나 채광 실적이 일정기간 내에 없을 때 (라)광산 보안상 위험할 때 일단 조광권이 설정되면 조광권자의 권리, 의무는 조광권과 같이 이전되는 것은 광업권과 같으며, 또 조광권 설정 이전에 광업권자가 행한 법률상의 절차나 행위도 그대로 조광권자에게 승계된다. | |
851 | 조광권자 | 광업권을 가진자로서, 가스, 분진, 갱내수, 폐수 및 연기 등의 처리에 따른 광해의 방지와 토지의 굴착으로 인한 광해 방지를 위한 의무 규정을 두고 있다. 광업의 경영으로 광해가 발생하거나, 지하 자원 또는 시설이 손상되거나 그 우려가 있다고 판단될 경우, 산업자원부 장관은 광업권자 또는 조광권자에게 광업을 정지시킬 수 있으며, 광업권이 소멸된 후라도 3년간은 광해 방지를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하도록 할 수 있다. | 粗鑛權者 |
852 | 조광품위 | 조광의 품위, 즉 선광 과정에 들어가기 직전의 품위를 말한다. | 粗鑛品位, Grade of mined ore, grade of crude ore |
853 | 조립질화성암 | 굵은 알갱이들의 집합체로 전부가 결정질이며 암체의 규모가 크다. 그러나, 지표 가까이에서 굳어진 것은 알갱이가 작고 암체의 규목도 작다. | 貫入巖 |
854 | 조명제 | 폭발할 때 빛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마그네슘과 알루미늄가루를 질산바륨과 섞은 혼합물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 |
855 | 조선 | 1회째의 부선. 부유선별에서 단 한번의 작업으로써 고품의 정광과 저품위 광미를 얻는 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 roughing |
856 | 조선기 | 조선에 필요한 부선기를 말함. | rougher |
857 | 조쇄 | 광석을 필요에 따라서 큰 것을 잘게 부수는 과정으로 조쇄, 중쇄 및 분쇄의 세가지를 파·분쇄라 하는데, 광물을 선별하려면 먼저 파·분쇄 하여야 한다. | |
858 | 조쇄기 | 조오크러셔, 자이어러터리 크러셔 등의 기계가 있으며 조쇄기 산물 크기는 대체로100∼200mm이하이다. | |
859 | 조암광물 | 암석을 구성하는 광물. 주성분 광물과 부성분 광물로 구분되는데, 주성분 광물은 암석의 주요 성분으로서 암석을 분류하는데 이용되는 광물이다. 석영, 장석, 운모, 각섬석, 휘석, 감람석, 준장석이 포함되고, 퇴적암에는 방해석이 포함된다. 조암 광물의 종류와 양은 암석의 생성과정에 따라 결정된다. 화성암은 마그마의 성질과 냉각 과정, 퇴적암은 쇄설물의 기원암과 퇴적 환경, 변성암은 원암의 종류와 변성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므로 조암 광물의 조성과 성질은 암석의 성인을 이해하는데 중요하다. 광물의 종류는 매우 많으나, 그 중에서 조암광물에 속하는 것은 수십 종에 불과하다. 그 대부분은 규산염에 속하는데, 일부는 산화물이나 탄산염에 속하는 것도 있다. 화성암에서는, 조암광물이 주성분 ·부성분 ·2차적 광물로 나누어진다. 주성분 광물로서는 석영 ·장석류 ·운모류 ·휘석류 ·각섬석류 ·감람석류가 있고, 부성분 광물로서는 인회석 ·지르콘 ·자철석 등이 있으며, 2차적 광물에는 카올리나이트 ·견운모 등이 있다. 변성암에는 홍주석 ·근청석 ·녹렴석 등이 있다. 또한 화성암에서 주성분 광물을 무색광물과 유색광물로 나누는데, 무색광물로서는 석영 ·장석류 등이 있고 유색광물로서는 운모류 ·각섬석류 ·휘석류 ·감람석류 등이 있다. | 造岩鑛物,rock forming mineral |
860 | 조절발파 | 발파작업시에 지나친 파쇄 (overbreak)를 감소시키고 암반 표면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발파방법. 달리 원활발파(smooth blasting)라 한다. | |
861 | 조절제 | 부유선별에 있어 무용 광물을 잘 뜨지 못하도록 작용한다든지 유용 광물을 잘 뜨도록 하는 시약이다. 대개 황화광물에 수반하는 황철석, 자황철석 등은 무용 광물로 서 이들을 물에 뜨지 못하도록 해 주는 시약이 있는데 이것을 억제제라하며, 생석회는 황철석의 억제제라 할 수 있다. | |
862 | 조흔색 | 광물마다 고유한 색을 나타내므로 그 색으로써 구별하기도 하고, 유약을 바르지 않은 초벌구이 도자기로 만든 조흔판에 광물을 그어 보면 그 광물은 고유의 분말색을 보이는데 이것을 조흔색이라 하며, 각 광물 고유의 색과 조흔색을 비교하여 감정한다. | |
863 | 죠오크러셔 | 조오 플라이트라고 하는 두장의 두꺼운 강철판의 어떤 각도가 벌 어져 마주선 것이다. 수직으로 고정된 것은 픽스트 조오 플레이트, 움직일 수 있는 것을 스윙 조오 플레이트라 한다. | |
864 | 주방식채탄법 | 달리 잔주식 채탄법이라고도 하며, 미국 탄광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채탄법이다. 이 채탄법은 장벽식 채탄법에 비하여 지주재가 많이 필요하고, 막장 통기가 잘되지 않으며, 출탄량이 적은 점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으나, 지표 침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충전물을 구하기가 어려울 때에는 부득이 이 채탄법을 채택한다. | |
865 | 주상절리 | 단면의 형태가 육각형 내지 삼각형으로 긴 기둥 모양을 이루고 있는 절리. 화산암(火山岩) 암맥이나 용암(熔岩), 용결응회암(熔結凝灰岩) 등에서 생긴다. 절리(joint)는 암석의 틈새기나 파단면(破斷面)으로서, 거기 따라가면서 일그러짐(변위)이 없거나 또는 거의 일그러짐이 인정되지 않는 것을 말한다. 면(面)에 평행한 일그러짐이 있는 것을 단층(斷層)이라고 한다. 화강암이나 두꺼운 괴상사암(塊狀砂岩) 등과 같은 균질의 암석의 경우에는 일그러짐을 인정할 실마리가 없기 때문에 절리와 구별하기가 어렵다. 절리에는 쪼개지는 방향에 따라서 판상(板狀)절리와 주상절리가 있는데, 주상절리는 단면의 모양이 육각형이나 삼각형의 장주상(長柱狀:긴 기둥 모양)을 이루는 절리를 말한다. 화산암암맥이나 용암, 용결응회암에서 보인다. 제주도 해안에는 기둥 모양의 주상절리가 절벽을 이루고 있으며, 유명한 정방폭포와 천지연폭포가 이런 지형에 형성된 폭포이다. | 柱狀節理 pillarshaped joint |
866 | 주석 | 백색이나 회백색의 광물군으로서 마리알라이트와 메이어나이트 사이에 유질동상 관계를 보이는 정방정계의 광물군이다. 염기성 사장석의 변질 산물로서 칼슘이 풍부한 변성암이나 화성암에서 특징적으로 산출된다. | 柱石, scapolite |
867 | 주향 | 성층면이나 단층면과 같은 구조적인 면과 수평면이 만나서 이루는 교선의 방향. 주로 북쪽을 기준으로 측정하여 N30E, N40W로 기록한다 | 走向, strike |
868 | 주향단층 | 지층의 주향에 평행한 주향을 가진 단층 | 走向斷層, strike fault |
869 | 주환작업 | 수중발파작업시 필요. | collaring |
870 | 중광 | 선별 작업 도중에 생긴 중간 산물이며, 정광으로 하기에는 품위가 낮고 광미로 하기에는 품위가 높은 것이다. 결국 중광은 다시 선별을 하여 정광과 광미로 나눌 필요가 있다. | middling |
871 | 중단계단식채굴법 | 1902년 미국의 철광산에서 처음으로 시작된 채광법으로서, 광석과 상하반이 견고하고, 경사가 급한 괴상 광상이나 매우 두꺼운 광맥에 적용된다. 채굴 방법은 상하 운반 갱도를 레이즈(raise)로 연결하여 이 레이즈에서 높이 8m의 중단 갱도를 광맥 중에 굴진하여 장공으로 천공함으로써 채굴하게 된다. 이 채광법의 장점은 작업이 집약되고, 능률이 향상되며, 통기와 작업이 안전하다는 점이고, 단점으로는 2차 채굴시 채취율이 낮다는 점과, 채굴적에 큰 공동이 생긴다는 점을 들 수 있다. | |
872 | 중대사고 | 재해로 인하여 사망 또는 동시에 중상이상의 재해자수가 2명 이상 발생한 사고를 말한다. | 重大事故 |
873 | 중력여과 | 여과재를 수평으로 장치하고, 그 위에 광액을 넣어 중력에 의하여 물만이 여과재를 통하게 하는 방식으로 일종의 중력 탈수법인데, 비교적 고체 입자가 크기 때문에 여과재 위에서 형성된 케이크가 물의 유출에 대하여 큰 저항을 주지 않는 경우에 한하여 사용된다. 입자가 미세하여 케이크의 저항이 크게 되는 경우에는 인위적인 방법에 의하여 고체나 액체를 분리한다. | |
874 | 중력탐사법 | 지구 중력값의 차이로 광상이나 지각구조를 탐사하는 방법. 중력 탐사 때에는 중력계나 중력 편차계를 사용하여 규칙적으로 배열한 여러 측점에서 중력값의 차이를 측정하고, 같은 값을 가지는 지점을 서로 연결하여 등중력선을 그려서 광체의 위치를 알아낸다. | |
875 | 중상자 | 재해로 인한 치상 정도가 4주 이상의 치료를 요하게 된 자를 말한다. | 重傷者 |
876 | 중성암 | 화성암에서 규장질(산성)암과 고철질(염기성)암의 중간에 해당하는 성분의 암석. 섬장암과 섬록암과 같이 실리카(SiO2)를 54∼65% 포함하는 암석을 가리킨다. | 中性巖, intermediate |
877 | 중쇄기 | 광석을 부수는 조쇄 보다 더 작게 부수는 기계. | |
878 | 중쇄작업 | 50∼10mm, 6∼20mm정도로 부수는 것을 말하는데, 이 중쇄 작업에 의하여 분쇄 작업을 쉽게 하여 준다. | |
879 | 중액선별 | 선별하려는 두 가지 광물을 두 광물의 중간 비중의 액체 속에 넣어 주면 비중이 큰 광물은 가라앉고 작은 것은 떠올라서 매우 정확하게 분리된다. 우리가 취급하는 광물은 비중이 1보다 크므로, 비중이 물보다 큰 액체가 요구되는 것은 물론이다. 석탄을 처리하는 경우, 석탄의 비중(1.2∼2.0)이 일반 광물보다 낮으므로 무기 시약을 물에 녹인 중액을 쓸 수도 있고, 또는 비중이 매우 큰 유기 액체 시약도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석탄의 중액선별에는 폐기하고자 하는 맥석의 비중이 일반적으로 2.65정도이므로, 적어도 비중 2내외의 중액을 사용해야 한다. | |
880 | 중정석 | 무색 내지 백색, 담황색, 갈색, 홍색, 회색, 녹색, 청색의 사방정계 광물족. 유리광택을 보이며 투명하다. | 重晶石, barite |
881 | 중화침전법 | 폐수 중에 들어 있는 금속 이온의 유해 성분을 산 또는 알칼리 등의 pH조절제를 사용하여 중화 침전시켜 제거한다. pH조절제로는 값싼 소석회나 공업용 황산을 이용한다 | |
882 | 지각 | 지구에서 모호로비치치 불연속면 위에 놓인 최상부 층. 이는 지진파의 전파 속도, 밀도, 조성, 기타 여러 기준에 의해 정의된다. 지각은 전지구의 체적의 0.1% 미만이다. | 地殼, crust |
883 | 지각변동 | 지각내에서의 변형, 변위 또는 이에 의한 지표의 변형, 변위를 일으키는 운동을 총칭한다. 지각변동은 구조 운동보다 넓은 의미로 사용되며, 단층이나 습곡외에 단순한 지반의 광범위한 융기, 침강 현상도 포함된다. 크게 조산운동과 조륙운동으로 나눈다. 조산운동과 같이 습곡, 단층운동이 일어나고 심성암 활동을 수반하는 주요 변동을 "변혁"이라고 한다. 변혁이라고 할 만큼 광범위한 지역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을 변동이라고 한다. 그러나 변혁, 변동, 조산운동의 용법에 분명한 한계가 있는 것은 아니다. | 地殼變動, crustal movement |
884 | 지각운동 | 지각변동 참조. 지각변동과 동의어. | 地殼運動 |
885 | 지구물리탐사 | 지구물리학적 자료 즉 전기, 중력, 자기, 지진파, 지열 분포를 이용하여 유용 광물이나 석유와 같은 지하 자원을 탐사하는 것. | 地球物理探査 |
886 | 지구화학탐사 | 지표물질이나 유기 물 속에 들어있는 원소와 탄화수소의 함량 분포를 조사하여 유용 광물이나 석유를 탐사하는 것. | |
887 | 지그 | 테이블과 함께 비중 선별에 오랫동안 사용되어 온 것으로서, 원시적인 것은 2000년의 역사를 가진 것도 있다. 지그의 작용 원리 물탱크는 불리판에 의하여 망실과 플런저실로 나누어진다. 철망위에 광석을 두꺼운 층으로 담아 놓고 플런저에 상하 왕복 운동을 주면 물은 허치를 통하여 철망에 압상력과 흡강력을 주어서 광석층에 상승 유동 상태와 침강 밀집상태를 반복시킨다. 이와 같은 운동의 반복으로 비중이 큰 광석은 아래층에, 비중이 작은 맥석은 위층에 모여 비중차에 의한 선별이 이루어진다. | |
888 | 지발발파 | 0.1∼0.5초의 간격으로 발파시키는 것이며 폭발 지연의 시간 차이에 따라 지발발파와 밀리세컨드 발파로 나뉜다. 지발발파를 위해서는 DS 뇌관 또는 MS뇌관이 보통 사용되지만, 시차를 임의로 선택해서 실시하고자 할 때에는 순발 전기 뇌관과 타이머를 사용해야 한다. 도화선과 공업용 뇌관을 사용하여 발파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도화선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지발발파를 할 수는 있지만, 시차를 정확하게 세분해야 할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다. | decisecond, DS發破法 |
889 | 지보 | 지하에 갱도를 개설하거나 광석을 채굴할 때 지보를 시공하게 된다. 지보의 목적은 첫째, 낙반으로 인한 재해를 예방 하는 데 있고, 둘째, 갱도나 공동의 단면적을 유지하여 광차나 사람이 자유롭게 다닐 수 있게 하는 동시에, 필요한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갱내 지보의 종류는 목재 지보, 철재 지보, 콘크리이트 지보 등이 있으며, 채탄 막장과 같이 사용 기간이 짧은 갱도에서는 목재 지보를 많이 쓰고, 운반 갱도와 같이 오래 쓰는 갱도에는 콘크리이트 지보나 철재 지보를 많이 사용한다. 지보의 발달 경로를 살펴보면, 옛날에는 목재 지보만을 사용했다가 강성 철재 지보를 사용하게 되었으나, 큰 동지압에 견딜 수 없어 다시 목재 지보를 사용하게 되었다. 그 이유는, 목재 지보가 가축성을 가지고 있어 동지압에는 오히려 잘 견디기 때문이다. 그 후 가축성을 부여하는 철재 지보가 개발되어 현재 외국에서는 채탄막장에 모두 철재 지보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채탄 막장 부근의 갱도와 같이 막대한 동지압을 받는 경우에는 아무리 강한 철재 지보를 설치해도 견디지 못하고 파손되므로, 가축성 지보를 설치했다가 2차 지압이 형성된 후에 강성 지보로 대처하면 좋다. | 支保 |
890 | 지사 | 지질시대를 통하여 지구와 생물들이 어떻게 변천되어 왔는가를 연구하는 것. 일정한 시대에 특정한 지역의 역사를 다루기도 하고 특정한 현상만을 다루기도 한다. 지구에 존재하는 물리, 화학 및 생물학적 조건들을 모두 포함한다. 이들의 조건이 왜 변화 되었으며 어떠한 변화의 과정을 거쳤는지, 그리고 지구의 어느 부분이나 생물들의 역사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연구한다. | 地史, geologic history |
891 | 지사학 | 지구의 역사를 연구하는 학문. 지구 전체의 역사를 연구하는 것은 물론 어느 특정지역의 역사를 연구하는 것도 지사라고 한다. 지구 역사 편찬 자료는 지각 상층부의 암석에서 얻어지므로 지사학이 실재로 다루는 범위는 지표 가까이로 한정 되지만 최근 지구 물리학적 연구 방법이 발달하여 그 영역이 맨틀상부까지 확대 되었다. 지구 역사를 편찬하는 데는 시대 구분이 필수적인데 이에는 주로 표준 화석이 동원된다. 화석은 퇴적암에서 산출되고 어느 암석 보다도 퇴적암은 퇴적 당시의 지표 환경에 대한 정보를 많이 담고 있으므로 지사학은 퇴적암을 중심으로 연구된다. 그러므로 유럽에서는 층서학을 지사학과 동일시 하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지사학은 지질학의 모든 분야에서 얻어진 연구 결과를 지구의 역사라는 면에서 종합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원래 지질학이 지구의 역사를 다루는 데서 출발한 것이라고 생각할 때 넓은 의미의 지사학은 지질학과 동의어라고도 할 수 있다. | |
892 | 지열 | 지구 내부에 기원을 둔 열. 넓은 의미의 지열은 지각중에 포함된 방사성원소의 붕괴와 지각하부의 맨틀로부터 전해지는 열을 가리킨다. 한편 좁은 의미의 지열은 화산이나 온천지대에서 볼 수 있는 마그마 기원의 열을 의미한다. | 地熱, geothermy |
893 | 지열탐광 | 물리탐광의 종류로서 자연적인 열 현상이다. 주요응용분야는 온천개발이다. | 地熱探鑛 |
894 | 지자장 | 지구의 자기장. | 地磁氣場, geomagnetic |
895 | 지정광구개발 | 어느 광물의 주요성에 따라 개발 촉진이 필요하다고 인정될 때, 산업 자원부 장관은 어느 특정 광구를 지정하여 개발할 수 있으며, 이를 지정 광구 개발이라 한다. 이와 같이 지정 광구를 결정 할 때에는 광업권자에게 지정서를 교부하고, 광업권자는 지정서를 교부받은 날로부터 1개월 이내에 개발 계획서를 제출해야 하며, 산업 자원부 장관은 일정한 규모에 대하여 개발할 것을 명령 할 수 있다. 일단 지정 광구로 결정되면 광업권자는 이 광구를 다른 사람에게 양도하거나 저당할 수 없으며, 산업 자원부 장관은 지정 광구의 광업권자가 개발 명령을 이행하지 못할 때, 그 광업권을 개발 능력이 있는 사람에게 양도하거나 조광권을 주어 개발 시킬수 있다. | |
896 | 지지채굴법 | 광체를 채굴한 후에 생기는 공동에 폐석이나 모래 또는 지주로 지지시키면서 채굴을 진행해 나가는 채굴법을 지지 채굴법이라 한다. 이 지지 채굴법에는 충전식 채굴법, 지주 채굴법 등이 있다. | 支持採掘法 |
897 | 지진탐광 | 탄성파동현상으로서 주요 응용 분야는 석유, 석탄, 지질 구조, 기반암, 특수 광상에 해당 된다. | |
898 | 지질구조 | 지각 변동에 의해 암층이 변형 또는 변위되어 이루어진 구조를 총칭한다. 즉 어느 지역에 분포하는 암석의 상대적인 위치, 자세, 배치를 가리키며 이는 단층, 습곡 및 화성암 관입과 같은 변형 과정의 순서와 성인을 밝히게 된다. | 地質構造, geological structure |
899 | 지질단면도 | 어떤 선에 따른 단면에 있어서 지하의 지질을 표시하는 그림을 말한다 | 地質斷面圖, Geologic section |
900 | 지질도 | 어떤 지역에 대해 구성 암석의 종류, 분포, 구조, 지질 연대 등을 색채 또는 기호 등에 의해 표시한 평면도를 말한다. | 地質圖, Geological map |
901 | 지질주상도 | 어떤 지점 또는 어떤 지역에 있어서 지질 관계를 지층의 참 두께가 나타나도록 표시한 기둥 모양을 그림을 말한다. | 地質柱狀圖, Geological columnar section |
902 | 지층 | 공간적 넓이를 가지고 원칙상 퇴적암으로 된 층상암체를 말한다. 통상 지층이라 하면 지층구분의 단원(층군, 누층, 부층 등)의 크기에 관계없이 층상암체에 대하여 쓰이는 경우가 많다. | 地層, Stratum |
903 | 지층경사 | 지층의 층리면이 수평면과 이루는 최대 경사선 방향과 크기, 다만 방향은 그 방향의 수평면 위에 있어서의 정사형 방향으로 표시하고, 크기는 그 방향과 수평면과 이루는 각으로 표시하는 것이 보통이다. 또한 이 용어는 면상을 이루는 모든 구조 요소에 대해서도 사용한다. | 地層傾斜, Dip of stratum |
904 | 지층암상 | 어떤 길이의 시간 중에 어떤 넓이에 퇴적한 암석에 대해, 그 시간 및 장소에 있어서의 퇴적 환경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취하여진 총체적인 암석의 양상을 말한다. | 地層巖床, Lithofacies of stratum |
905 | 지층주향 | 지층의 층리면과 수평선과의 교선 방향 또한 이 용어는 면상을 이루는 모든 구조 요소에 대해서도 사용한다. | 地層走向, Strike of stratum |
906 | 지표조사 | 지각의 대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암석은 거의 지질학적인 규칙성으로 서로 고착되어 있다. 그러므로, 암석을 자세히 관찰함으로써 지하 자원의 부존 상태를 추측할 수 있게 된다. 지표에 있는 암석은 풍화 작용에 의하여 흙이 되며, 이 흙은 존재하고 있는 환경에 따라 물이나 발마과 같은 매개체에 의하여 이동되어 쌓이기도 하고 제 자리에 쌓이기도 한다. 그러므로, 암반은 표토로 덮여 있기도 하며 노출되어 있기도 한다. 이 때 암반의 일부분이 노출되어 있는 부분을 노두(outcrop)라고 한다. 노두가 잘 나타나는 곳은 주로 급경사로 된 곳이나 흐르는 물 또는 바람 등의 영향으로 표토가 이동하기 쉬운 계곡이나 능선 등이다. | 地表調査 |
907 | 지표함락 | 지압 이론 중 또 한 가지 중요한 것은 지표 함락을 들 수 있다. 지표 함락이란, 석탄이나 광석을 채굴한 공동으로 인하여 지표가 균열되면서 내려앉는 현상을 말한다. | 地表陷落 |
908 | 지하등심선도 | 어떤 일정한 지층, 암체, 광상 등 지하에 있어서의 공간적 배치를 나타내기 위해 일정 지층면, 암체 또는 광체의 표면의 모양을 특정의 기준면으로부터의 등심(등고)산으로 표시한 그림을 말한다. 달리 지하구조도라고도 한다 | 地下等深線圖, Subsurface contour map |
909 | 지하수탐사 | 수자원 개발을 위한 탐사에서는 물의 전기 저항이 매우 적은 성질을 이용하는 전기 비저항 탐사법으로 주로 탐사를 하지만, 역시 최종적인 확인이나 지하수를 뽑아 올릴 통로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시추를 한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건기 우기의 구별이 뚜렷한 나라에서는 지하수의 개발이 절실히 요청된다. | 地下水探査 |
910 | 지화학탐광 | 탐광 순서 중 지표 지질조사 다음에 행하는 탐광조사 로서 화학적인 현상을 이용하여 탐광하는 방법. | 地化學探鑛, Geochemical exploration |
911 | 직접부 | 막장에서 직접작업을 수행하는 인원으로 채탄부, 굴진부, 보갱부가 있다. | 直接夫 |
912 | 직접부능율 | 1일 중 생산한 석탄의 양을 직접부(채탄+굴진+조갱) 1일 작업원의 수로 나누었을 때의 생산성(톤/공)을 말한다. | 直接夫能率 |
913 | 직접종합우선부유선별법 | 처음에 목적하는 광물 전부를 뜨게하고 이 종합 정광에서 다시 각각의 정광으로 분리하는 방법이다. 단순 부유 선별법과 종합 우선 부유 선별법을 통틀어 우선 부유 선별법이라고도 한다. | |
914 | 진동체 | 진폭은 작으나 대단히 많은 수의 진동을 주어서 체질의 능률을 올리는 체. | vibrating screen |
915 | 진메르만의법칙 | 광맥이 주향과 경사 또 단층의 주향과 경사를 측정한 후 지면에 작도법에 의한다. 특히 정단층에만 적용된다. | |
916 | 진폐 | 외계에 존재하는 분진의 흡인으로 폐에 장애를 일으킨 상태. 어떤 종류의 분진이라도 습기와 함께 오래 흡입하고 있으면 크던 작던 폐에 영향을 주는 것인데 이것을 진폐라고 한다. 그 주요한 것은 분진의 종류에 따라 규폐증, 탄폐증, 석면폐증, 철례증, 알루미늄 폐증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는 유해한 분진을 장기간 흡인할 때 폐조직 내에 분진이 침착하여 만성의 섬유증식반응(섬유증)을 일으킨 상태를 말한다. 유해한 분진을 취급하는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에게서 볼 수 있으므로 직업병에 포함된다. 분진은 유기성과 무기성 분진으로 나눈다. 유기성 분진인 양모분말(羊毛粉末) ·목화가루 ·목가루 ·담뱃가루 등을 흡인할 때는 폐보다도 오히려 기도가 침해되어 만성기관지염과 기관지천식과 같은 증세를 일으키는 일이 많다. 무기성 분진은 광석에서 나온 것으로서, 침착하는 분진의 종류에 따라 규폐(硅肺) ·석면폐 ·활석폐(滑石肺) ·탄폐 ·규조토폐(硅藻土肺) ·철폐 ·베릴륨폐 ·시멘트폐 등이 있다. 이들 중 규폐가 그 빈도나 결핵을 합병하는 점에서 중요시된다. 일반적으로 폐포 내에 흡입된 분진, 특히 규산의 미립자는 림프관에 들어가고 일부는 폐포상피세포나 림프구에 섭취되어 림프와 함께 기관지 림프절에 이른다. 분진이 소량이면 장애가 거의 없으나, 다량인 경우는 폐조직 내에 머물러서 폐 및 림프관에 염증을 일으키고, 결절상변화나 결합직형성을 일으키게 된다. | 塵肺, Pneumoconiosis |
917 | 질산바륨 | 폭발하면 산화바륨, 질소, 산소로 분해되며, 산화바륨은 염화수소와 반응하여 고체 화합물인 염화바륨과 물을 생산한다. | Ba(NO3)2 |
918 | 질산암모늄 | 흰색 결정으로서 물에 잘 녹고 흡습성이 강하며, 수분을 흡수하면 스스로 용해하여 액체로 변화한다. 그러므로 질산암모늄이 배합된 폭약은 수분이 흡수되지 않도록 포장을 철저히 해야 한다. 질산암모늄은 반응 온도에 따라 결정의 모양이 달라지고, 비중도 변화한다. 그리고 녹는 점은 169℃ 이지만, 100℃ 부근에서 반응하기 시작한다. | NH4NO3 |
919 | 질산암모늄폭약 | 질산암모늄을 주성분으로 한 것으로서, 폭발 감도와 위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NG등의 폭발 예감제를 배합하여 만든 폭약으로서 흡습성이 크다. 따라서, 폭약에 수분이 흡수되면 굳어져서, 폭발 감도와 위력을 떨어지게 하는 단점이 있다. | |
920 | 질산에스테르 | 알코올기를 가진 화합물을 질산과 반응시켜, 알코올기가 질산기로 치환된 에스테르를 질산에스테르라 한다. 즉, 알코올과 산이 반응하여 물이 분리된 화합물을 에스테르라 하며, 질산을 반응시킨 것이 질산에스테르이다. 폭약으로 사용되는 질산에스테르에는 니트로글리세린, 니트로셀룰로오스, 펜트리트 등이 있다. | |
921 | 질산칼륨 | 오래전부터 흑색 화약의 산소 공급제로 사용되었으며, 질산나트륨과 염화칼륨 용액을 반응시켜 만든다. 화학식 KNO3. 천연으로는 초석(硝石)으로서 칠레의 사막지대, 미국 서부의 건조지역등에서 산출된다. 무색의 사방정계(斜方晶系) 결정으로서 녹는점 333 ℃, 비중 2.11, 굴절률 1.5038이다. 녹는점 이상으로 가열하면 분해하여 산소를 방출한다. 2KNO3 → 2KNO2+O2 물 10 g에 대하여 0 ℃에서 13.3 g, 100 ℃에서 246 g 녹는다. 에탄올에는 약간 녹지만 물에는 쉽게 녹는다. 질산나트륨과는 달리 흡습성이 없으며, 짠맛과 청량미(淸凉味)가 있다. 가연성(可燃性) 물질과 공존하면 폭발한다. 염화칼륨의 뜨거운 수용액에 칠레초석(질산나트륨)을 가하여 복분해에 의해서 만들거나, 탄산칼륨 또는 수산화칼륨을 질산에 녹여서 만든다. 흑색화약 ·성냥 ·불꽃놀이용 폭죽 등의 제조원료로 사용되며, 비료 ·유리 ·유약(釉藥) 등의 원료 및 산화제 ·의약품, 또 육류의 살색고정제 등으로도 사용된다. | 窒酸- , potassium nitrate |
922 | 질석 | 단사정계(單斜晶系)에 속하는 광물로서 버미쿨라이트라고도 한다. 굳기 : 1∼2 비중 : 2.76 색깔 : 회백색 또는 갈색 화학성분은 CMg, Fe3+, Al3(Al,Si)4O10(OH)2·4H2O로 알루미늄 ·마그네슘 ·철의 수산화규산염으로 된 점토광물이다. 굳기 1∼2, 비중 2.76이다. 쪼개짐은 [001] 면에 완전하다. 회백색 또는 갈색이며, 진주광택이 난다. 산(酸)에 쉽게 분해되고, 양이온 교환능력이 크다. 가열하면 팽창한다. 사문암 지대에서 산출된다. 다공질(多孔質)이며, 흡수능력이 좋아서 내열재료 및 방음재(防音材)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명칭은 가열했을 때 지렁이와 비슷하여 지렁이를 뜻하는 라틴어 ‘vermiculare’에서 유래하였다. 쉽게 설명한다면 운모와 비슷한 모양으로 연한 갈색을 띠는 광물로서, 가열하면 부피가 팽창하는 특이한 성질이 있으며, 이 성질을 이용하여 건물의 내장재로 이용된다. 이는 열손실을 방지하고 잡음을 흡수하는 효과가 있다. 경기도의 변성암 지대에서 많이 산출된다. | 蛭石,Vermiculite |
923 | 질소산화물 | 산소 함유량이 가연성 물질의 함유량보다 많으면 폭발할 때 유독한 질소 산화물이 생성된다. | NOx |
924 | 질화납 | 물속에서도 폭발하며, 낮은 온도로 가열해도 분해되는 일이 없으므로 물 속에 저장하면 안전하다. 그러므로 질화납은 뇌홍에 비하여 원료의 가격도 싸며 보존성도 우수하다. 그러나, 결점으로는 발화점이 높고, 결정 입자에 따라 예민한 것과 둔한 것이 있으므로 폭발의 확실성이 적다. 기폭력은 뇌홍보다도 우수하며, 뇌관의 관체로는 알루미늄을 사용한다. | Pb(N3)2 |
925 | 집진기 | 기체 중에 부유(浮遊)분진을 포집한 장치를 말한다. | 集塵機, Dust collector |
926 | 쪼개짐 | 광물이 결정면에 따라 쪼개지는 성질. 결정구조를 반영한다. 벽개라고도 한다. 암석이 밀접한 간격의 면상구조를 따라 쪼개지는 성질. 광물의 벽개와 구별하기 위해 "암석벽개"라고도 한다. | 劈開, Cleavage |
927 | 착색제 | 불꽃이 색깔을 띠게 하기 위하여 불꽃 속에 색을 내는 물질을 첨가하는데, 스트론튬 화합물은 빨간색, 나트륨염은 노란색, 바륨염은 녹색, 구리 화합물은 파란색을 각각 띠게 한다. | |
928 | 착암기 | 1) 굴진갱도내에 굴진시 사용하는 기계로서 압축공기로 타격력을 주어 움직이는 기계. 2) 압축 공기나 전기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해머를 전·후진시키면서 삽입된 로드의 선단부인 샹크(shank)에 타격력을 가하고, 이 타격력이 암반에 전달되어 파쇄 천공하거나 또는 로드를 회전시켜 로드 끝 부분의 비트가 암반에 회전 삭마작용을 주어 천공하는 기구를 말한다. | 鑿巖機, Rock drill |
929 | 찰렌해연 | 세계에서 가장 깊은 해구 중의 하나로서 그 깊이가 10,863m에 달한다. | |
930 | 채광법 | 1. 채광법의 분류 채굴하고자 하는 목적 광물의 위치, 즉 지하에 위치하는지 지상에 위치하는지, 또는 해저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채굴 방법은 갱내 채굴, 노천 채굴 및 해저 채굴 등으로 그 채굴 방법이 구분되며, 일반 광석과 석탄을 채굴하는 데에도 채광법과 채탄법으로 구분하여 불리게 된다. 광석을 채굴하는 장소의 암반의 강도에 따라 무지지 채굴법,지지 채굴법 및 붕락법으로 분류되며, 채굴한 공동을 그대로 방치해 두어도 충분히 견딜 수가 있어 아무런 지지를 하지 않아도 될 경우 무지지 채굴법이라 하고, 채굴에 의하여 만들어진 공동을 자연적으로나 인위적으로 붕락되지 않도록 지지해 주는 채광법을 지지 채굴법이라 한다. 그리고, 채굴 후의 공동을 강제적으로 붕락시키는 채굴법을 붕락법이라 한다. 2.채광법의 선택 여러 가지 채광법이 있으나, 채광법을 선택할 때에는 안전, 능률, 경제의 세 가지 요건을 구비할 수 있는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아무리 능률이 좋고 비용이 적게 드는 경제적인 채광법이라도 보안상 위험이 따르면 채택할 수가 없으며,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는 채광법이라도 경제성이 없으면 채택될 수가 없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채광법 선택의 3대 요소를 구비한 채광법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이 고려되어야 한다. 즉, 광상의 형태와 규모 및 경사, 광석의 물리적 성질, 품위, 분포 상태, 상하반의 강도 등에 대하여 면밀히 검토한 다음 결정해야 한다. 3.채광법의 선택과 광산 경영 채광법이 결정되면 채광에 들어가기 전에 광산 전반에 걸쳐 운영 계획을 수립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생산량과 능률, 인원 계획 및 투자 규모, 생산 원가 계획과 판매 계획 등을 사전에 면밀히 검토하여 세우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이 끝나면 본격적인 채광에 들어가는데, 광산 경영에서 이익을 올릴 수 있는 방법은, 생산을 위하여 투입되는 전체 금액인 생산 원가 보다 생산된 광석을 매광한 판매 수익이 많을 때 이익이 남게 되고, 반대로 판매 수익이 생산 원가보다 적으면 적자가 나게 된다. 따라서, 광산의 경영에서 이익을 남기려면 판매 가격은 임의로 조정할 수 없으므로 생산 원가를 적게 들도록 노력하여 비용을 절감하거나, 톤당 이익은 작더라도 많은 양을 생산함으로써 이익을 올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와 같이, 생산 원가를 낮추는 데에는 무엇보다 채광법 선택의 비중이 크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 採鑛法 |
931 | 채광사업 | 탐광 실적이 인정되거나 탐광의 필요 없이 채광 사업을 개시하려고 할 때에는 채광 사업을 개시하기 전에 채광 계획서를 작성하여 산업 자원부 장관(도지사)의 인가를 받아야 한다. 채광 계획서에는 광산의 연혁, 지질 및 광상, 채광 방법, 선광 방법 및 제련 방법, 주요시설 계획, 판매 계획 및 수지 예산, 광산 보안 시설 계획 등을 상세히 기록하여 제출해야 한다. 만일, 광업권자가 채광 계획서의 인가를 받지 않고 광물을 채굴할 경우, 벌칙의 적용을 받게 될 뿐만 아니라 광업권의 취소 처분을 받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채광 계획이 자원의 합리적인 개발이나 광해 및 광산 보안상 불합리하다고 인정될 때, 산업 자원부 장관(도지사)은 채광 계획의 변경을 명령할 수 있으며, 이에 위반하면 역시 광업권을 취소 할 수 있다. | 採鑛事業 |
932 | 채광용전기뇌관 | 지하자원 개발 또는 물리 탐사에 사용되는 뇌관으로, 점화에서 폭발까지의 시간이 짧아야 하며, 폭굉 시간도 짧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채광용 전기 뇌관의 폭발 간격은 0.1밀리세컨드 이하이다. | |
933 | 채굴적 | 산림법 등 관계법률에 의한 채석허가 또는 토석 채취허가를 받아 석재로 사용하기 위하여 암석채취를 업으로 하는 자를 말한다. | 採掘跡 |
934 | 채석발파 | 채석발파는 크게 2종으로 나뉜다. 첫째는 암체에서 상당한 크기의 석재를 절단해 내는 것이고, 둘째는 시멘트 원료용 석회석, 제련용 규석, 축조용 석재 등과 같이 크기가 문제되지 않는 경우의 발파이다. 전자는 암체에 진동 작용을 주어 절단하는 것으로 주로 흑색 화약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후자의 경우는 암체를 잘게 분쇄하여야 되기 때문에 맹성 폭약을 사용하며 계단식 노천굴 발파 방법과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주로 석재를 절단하는 발파 방법만 취급하기로 한다. | quarry blasting |
935 | 채석업자 | 산림법 등 관계법률에 의한 채석허가 또는 토석 채취허가를 받아 석재로 사용하기 위하여 암석채취를 업으로 하는 자를 말한다. | 採石業者 |
936 | 채석장 | 석재, 채석 혹은 모래, 점토, 석회석 등의 채굴장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석재류를 채굴하는 장소를 말하며, 대부분이 노천채굴(露天採掘)이기 때문에 때로는 수직으로 우뚝 솟은 거대한 암벽이 만들어진다. 토목 ·건축용 석재의 채석장에서는 대형의 석재를 규칙적으로 깎아내지 않으면 안 되므로 수직의 평면벽으로 둘러싸인 대건축물의 모습을 드러내는 경우도 있다. 한편, 콘크리트 골재로 쓰는 쇄석 등의 채석장에는 크러셔(crusher)나 선별기(選別機)를 설치해 놓고 분쇄된 크고 작은 암석들을 골라서 반출한다. 대규모의 채석장에는 전용궤도를 갖춘 곳도 있으며, 설비가 빈약한 소규모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 採石場, Quarry |
937 | 채수율 | 매장되어 있는 석탄의 총광량 중에서 얼마나 채굴되어 회수되었는가를 중량 백분율로 나타내는 것으로, 매장된 탄의 형태, 규모, 경사, 상하반의 상태, 채굴방법등에 따라 채수율은 달라진다. | 採收率 |
938 | 채준 | 석탄을 생산하기 위해 탄중으로 지보를 설치하여 생산을 준비하는 과정을 말한다. | 採準 |
939 | 채탄능율 | 채탄기능원 1인이 1교대(8시간)작업중 생산한 석탄의 양을 말한다. | 採炭能率 |
940 | 채탄법 | 석탄을 채굴하는 것은 일반 광석에 비하여 지압이 크게 작용하고, 석탄의 산화열이나 폭발성 가스를 제거하기 위하여 많은 통기 장치가 요구될 뿐만 아니라, 출수나 화재 등의 재해 위험률이 높으므로, 금속 광산의 채광법과는 구분하여 석탄을 채굴하는 방법을 채탄법이라 한다. | 採炭法 |
941 | 채탄부 | 직접부중 직접 탄을 생산하는 작업원을 말한다. | 採炭夫 |
942 | 챌린지급광기 | 약간의 경사를 가지고 설치되어, 천천히 회전하고 있는 원형의 판자 경사면 위에 호퍼(hopper) V로부터 내려오는 광석이 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 광석은 원판의 표면을 따라서 돌다가 주걱(scraper)에 걸려 아래로 굴러 떨어진다. 그러나 실제 괴상에 주로 쓰이며, 속도도 조절할 수 있다. | challenge feeder |
943 | 천공간격 | 발파에 따른 천공간격이 조절 되어야만 폭약의 불발 사고를 줄일 수가 있으며, 될 수 있는 천공간격을 넓게 하여야 한다. | |
944 | 천공법 | 천공법은 1차 발파시의 천공 발파 방식에 준하나, 장약량은 다음 계산식에 의한다. L=CD2 여기서, L:장약량(g) , D:암괴의 최소 지름(cm) , C:발파계수(0.07-0.01) 이 방법은 파쇄된 암석의 적절한 위치에 천공하고 장약해서 발파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파쇄된 암석의 가장 짧은 지름과 가장 긴 지름을 정확히 측정하여 소요 폭약량을 산출하고, 천공의 위치, 천공의 길이 등을 결정 해서 작업해야 한다. 이 방법은 외부 장약법이나 사혈법보다 적은 화약량으로 발파가 가능하며, 공해 대책으로서도 적절한 방법이다. 천공장은 일반적으로 가장 짧은 지름의 60-65%이다. | |
945 | 천공작업 | 발파공을 천공하는 작업이며, 발파공의 위치, 깊이, 크기 등은 발파의 목적, 사용하는 폭약, 암반의 성질, 자유면의 상태 등에 의해서 결정된다. 더욱이 갱도 굴진에 있어서는 갱도의 단면 모양, 갱도의 방향 및 기울기를 확실히 유지하면서 굴착을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발파공의 배열과 방향에 대해서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 발파공의 방향과 발파공의 효과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 즉, 발파공이 단일 자유면에 직각일 경우에는 발파 효과가 최소로 되고, 자유면과의 각도가 작아짐에 따라 일정한 정도까지 그 효과가 커진다. 갱도 굴진에서의 발파공은 심빼기와 주위 확대의 목적에 따라, 그 배열과 방향이 달라진다. 심빼기를 위한 발파공은 앞에 설명한 바와 같으며, 주위 확대를 위한 발파는 심빼기 후에 잔류하는 부분의 암석을 파쇄하여 목적하는 크기의 갱도로 넓혀 주는 발파이다. 따라서 주위 확대를 위한 발파공의 배열과 방향을, 심빼기 부근에서는 심빼기에 의해서 생긴 새로운 자유면에 될 수 있는 한 평행하도록 천공하고, 갱도 벽이나 상하반 부근에서는 이들에 거의 평행하게 천공해야 한다. | |
946 | 천매암 | 얇은 박편으로 쪼개지는 세립의 이질암 기원 변성암. 광물 조성이 서로 다른 얇은 층이 박편상 구조로 평행하게 발달한다. 박편상의 면에는 견사광택의 백운모가 보인다. 저온 광역 변성작용의 산물로서 점판암과 편암 사이의 중간적인 변성암이다. | 千枚岩, phyllite |
947 | 천반 | 갱도나 동굴 천장을 이루고 있는 암석, 또는 광체 위에 있는 암석. | 天磐, roof |
948 | 천연가스 | 평상 온도와 압력 하에서는 기체나 증기로 존재하는 탄화수소. 메탄이 가장 중요하며 그 외에 에탄, 프로판도 있다. 흔히 불순물로서 질소(N2), 탄산가스(CO2), 황화수소를 포함한다. | 天然-, natural gas |
949 | 천인율 | 근로자 1000명당 재해자수를 말한다. 천인율=재해자수/근로자수×103 | 千人率 |
950 | 철봉시험 | 폭약의 내화성을 시험하는 방법. 이의 방법은 시료 100g을 석면판 위에 놓고 약 900℃로 가열한 철봉을 접촉시켜 보는 것이다. | 鐵棒試驗 |
951 | 철재지보 | 지보의 한 종류로서 외국에서는 주로 채탄 막장에서 많이 사용한다. | 鐵材支保 |
952 | 첨피법 | 화약 제조 방법의 하나로서 회전 드럼에 가루 화약과 지름 1mm정도의 종약(種藥)을 넣고, 드럼을 회전시키면 종약의 주위에 가루 화약이 들어 붙는 제조방법을 말한다. | chumpy |
953 | 청식제 | 광립의 표면을 깨끗하게 하여 부유도를 높여주는 것. | cleasing veagent |
954 | 체비 | 크기가 서로 다른 입자들이 혼합되어 있을 때, 크기가 다른 많은 체를 사용하여 분립한다면, 더욱 미세한 입자의 무리로 분류되어 입자의 크기를 고르게 할 수 있다. 이 때, 서로 인접한 체눈의 크기의 비가 일정한 값을 가지도록 체를 배열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 인접한 체눈의 비를 체비라 하며, 인접한 두 체눈의 지름 또는 한 변의 비로써 나타낸다. | sieve ratio |
955 | 체의공극율 | 체의 총면적과 체 내의 구멍의 총 면적과의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을 체의 공극율이라 한다. 여기서, ø: 공극율(%) , S : 체의 총면적(㎠) , s : 체 구멍의 총면적(㎠) | |
956 | 체인소절단법 | 채석 발파의 한 방법으로서 연속 천공 절단법, 제트 버너 절단법의 경우는 압축 강도가 200kg/cm2이하의 연약한 암석을 절단하며, 체인소(chain saw)절단법의 경우는 강도가 높은 화강암의 경우에 적용된다. | |
957 | 체인컨베이어 | 철재 트로프(trough) 속에서, 체인에 일정한 간격으로 철봉을 가로로 붙인 스크레이퍼를 이동시켜 운반물을 운반시킬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는데, 체인이 1개인 싱글 체인 컨베이어와 2개인 더불 체인 컨베이어가 있다. | |
958 | 체질 | 체질 작업은 일정한 크기와 구멍을 가진 체로 광립을 크고 작은 것으로 분리하는 것이며, 체질한 결과 체눈을 통과한 것을 망하 산물(undersize product), 체에 남은 것을 망상 산물(oversize product)이라 한다. 체는 철판에 원, 정사각형, 직사각형 및 긴 타원형 등 여러 가지 구멍을 뚫은 것도 있고, 구멍이 작을 때에는 철사로 그물을 짜서 만든 것도 있다. 이 때, 체눈의 크기는 지름 또는 짧은 변의 간격으로 나타낸다. | screening |
959 | 체질효율 | 선별장의 실제 조업에 있어서의 체질은 처리 능력을 생각해야 하므로 완전한 체질이 잘 안 된다. 따라서, 체 밑으로 빠져야 할 망하 산물이 체 위에 망상 산물로 남게 되는데, 이것이 적을수록 체질이 잘 된 것이며, 체질의 효율이 좋아진다. | |
960 | 초염기성암석 | 실리카(SiO2)의 함유량이 중량 %로 455이하인 화성암, 주로 고철질 광물이나 철산화물로 구성되었으며 색지수가 70이상이다. 감람암, 피크라이트(picrite)가 그 예이다. 초고철질암은 동의의. | 超鹽基性巖石, ultrabasic rocks |
961 | 총광량(總鑛量 | 총광량을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총평균맥폭 | 총광량(總鑛量 |
962 | 총포·도검·화약류 단속법 | 현재 우리 나라에서 총포·도검·화약류의 제조, 사용 등 취급에 관한 사항을 규제하는 법령으로는, 1961년 12월 13일 법률 제855호로 공포되어 몇 차례 수정, 보완된 총포·도검·화약류 단속법이 있다. 그리고 이의 효율적인 시행을 위해 필요한 사항을 규정한 위의 법의 시행령이 있으며, 위의 법 및 시행령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는 시행 규칙이 있다. 1.목적 및 정의 이 법의 목적은, 화약류의 제조, 거래, 소지, 사용, 그 밖의 취급에 관한 사항을 규제하여 화약류로 인한 위험과 재해를 미리 방지함으로써 공공의 안전을 유지하는 데 있다. 한편, 이 법에서 정의하는 화약류는 화약, 폭약 및 화공품으로 나누어진다. 2. 화약류 관리 보안 책임자의 선임 및 업무 화약류의 관리 보안 책임자 면허의 종류는 1급 및 2급으로 구분하고 화약류 관리 보안 책임자는 저장소의 위치, 구조 및 설비가 화약류 저장소 설치 허가 규정에 의한 허가를 받지 않고 변경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하고, 화약류 저장상의 취급 또는 저장소의 위치, 구조 및 설비가 관계 법령의 기준에 따라 설치, 유지되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저장소가 인근의 화재나 그 밖의 사정으로 위험하거나 화약류의 안전도에 이상이 있을 때에는 응급 조치를 지휘해야 하며, 화약류 취급 및 저장량 등에 관한 규정이 잘 준수되도록 지도, 감독 해야 한다. | |
963 | 총포뇌관 | 뇌관을 격침으로 타격하여 폭약을 발화시키는 뇌관을 타격 뇌관이라 하고, 그 중에서 총포의 발사약을 점화시키는 데 사용되고 있는 뇌관을 말한다. | 銃砲雷管 |
964 | 최무선(崔茂宣, 1325-1395) | 고려말-조선초의 발명가. 본관은 영주(永州, 永川). 원나라 이원(李元)에게서 그 제조법을 배웠다. 1377(우왕 3)년에 화통도감(火 都監)을 설치케 하여 화약을 만들고 대장군(大將軍)·이장군(二將軍)·삼장군·육화(六花)·석포(石砲)·화포·신포(信砲)·화통·화전·철령전 등 각종 화기를 제작함. | |
965 | 추관 | 다이아몬드 시추에서 다이아몬드를 구리 또는 연으로 만든 관에 드문드문 박은 것을 말함. | Crown Bit |
966 | 추정광량 | 1) 광체를 육면체로 생각하여 시추나 갱도 탐사 등으로 매장광량을 계산 할 경우 2-3면이 확인 되면 추정광량이라 말함. 2) 갱도, 갱정, 시추구멍 등에 의해 용적, 비중 및 품위가 추정되는 광량을 말한다. | possible ore reserves |
967 | 축전지식 전기기관차 | 축전지 충전으로 움직이는 기관차이며 수평갱도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교대할 때 마다 충전이 된 축전지를 바꿔야 하는 불편이 있으나, 폭발성 가스에 대하여 비교적 안전하고, 운행비도 적게 드는 편이다. 대체적으로 축전지식 전기 기관차의 무게는 3-8톤이다. | |
968 | 축전차 | 연축전지를 동력원으로 하여 갱내에서 운행하는 축전지식 전기기관차를 말한다. | 蓄電車 |
969 | 충격감도 | 화약류가 충격에 의하여 폭발하는 성질로서, 화약의 제조, 운반, 취급 및 사용에 있어서 대단히 중요한 성질이다. 충격의 종류에는 물리적 힘에 의한 기계적 충격과 뇌관이나 폭약이 폭발할 때 발생하는 폭발 충격이 있다. 기계적 충격 감도는 타격 감도로서, 낙추 시험으로 측정한다. | 衝擊感度 |
970 | 충격기폭 | 화약이 충격에 의하여 폭발적 분해 반응을 일으키는 것은 분자 감응에 원인이 있으며, 분자 감응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빠른 속도로 운동하고 있는 분자, 즉 큰 운동 예너지를 가진 두분자 A와 B가 서로 충돌하면, 한쪽 분자 A의 운동에너지는 감소하고, 다른 한쪽 분자 B의 내부 에너지는 증가한다. 이 때, A분자에서 감소된 운동 에너지는 B분자의 분해 반응을 활성화시키는 데 사용된다. 어떤 분자의 내부 에너지의 양이 충격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변화한다면, 그 분자는 원래의 위치에서 벗어나 높은 온도로 가열될 것이다. 그러므로 1개 분자의 운동 에너지가 감응에 의하여 다른 분자에게 반응을 촉진시키는 활성화 에너지로 이용되면, 이 에너지를 받은 분자는 분해될 가능성이 있다. 한 덩어리의 화약에 외부에서 충격을 주면 충격파는 화약 안으로 퍼지고, 이 충격파의 중심에서부터 폭발 반응이 일어나는데, 이러한 반응이 짧은 시간에 연쇄적으로 일어나게 되면 폭발이 일어난다. | 衝擊起爆 |
971 | 충격식 | 시추방법 중 하나로서 마멸 강도가 다소 약하더라도 강성이 강한 재료로 암석에 충격을 주어서 정으로 깨어 내는 것과 같은 원리를 적용하는 방법. | |
972 | 충격식보오링 | 탐광방법 분류상 회전식과 충격식으로 나뉘며, 충격식에는 엠파이어 시추, 로드 시추, 상총굴, 관시추 등이 해당된다. | |
973 | 충격식코울커터 | 탄층 중에 연한 암층이 끼어 있을 때에는 착암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충격식 코울 커터 (percu--ssion type coal cutter)를 사용할 때도 있다. | |
974 | 충격파 | 화약류는 발파 또는 군사 목적 등과 같은 일정한 목적에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폭약의 폭발 에너지의 대부분은 원하는 목적에 사용 되지만, 나머지 에너지는 주위의 매체, 즉 공기나 물 또는 고체 등을 통하여 외부로 전달된다. 이렇게 주위의 매체를 통하여 외부로 전파되는 에너지는 지름이 다른 여러 개의 원의 모양으로 전파되는데, 이 파동 형태의 에너지를 충격파라 한다. 즉 충격파란 폭약 사용의 1차적인 목적 이외에 2차적으로 발생하는 폭약의 효과라 할 수 있다. | |
975 | 충적광상 | 본래의 암석이나 광상이 깨어져 물의 흐름에 따라 이동하여 다른 곳에 쌓인 것이다. 연한 암석이 더 잘게 깨져 멀리 운반되고, 어떤 것은 화학적으로 변화되어 자연적 도태 작용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유용 광물이 선별되므로, 원광상 중에 있던 무거운 것, 굳은 것, 화학적으로 센 것이 충적 광상을 만든다. 금, 백금, 주석, 자철광등의 광상이나 금강석, 강옥, 황옥, 석류석 등의 보석들은 이 충적 광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많다. 이와 같은 광상은 강 밑바닥이나 바닷가에서 이루어질 뿐 아니라 같은 곳에 여러 번 되풀이하여 이루어질 때도 있다. | |
976 | 충전식채굴법 | 채굴적 공간에 폐석이나 모래 또는 광미로 충전하면서 채굴을 진행하는 채굴 방법으로서, 부분적인 채굴이 끝나면 충전을 하고 다시 채굴을 하는 방식과, 한꺼번에 한 구역을 채굴한 후 구역 전체에 충전을 하는 방식의 두 가지 충전법이 있다. 이 충전식 채굴법을 적용할 수 있는 조건은, 상하반이 약하고 광체의 경사가 급하며, 광상의 형체와 품위의 변화가 어느 정도 심해도 관계는 없으나, 되도록 고품위 광상에 좋고, 충전 재료를 쉽게 구할 수 있는 조건이 갖추어져 있어야 한다. 충전식 채굴법의 장점은, 채굴적을 유지할 수 있고, 실수율이 높으며, 통기가 용이하면서 갱내에서 생기는 폐석을 갱 밖에 까지 운반할 필요 없이 충전재로 이용할 수 있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충전식 채굴법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나, 어느 방법이든지 채굴한 공동에 충전을 하는 것은 같으며, 다만 채굴과 충전 방법 및 순서에 다소 차이가 있다는 것 뿐이다. | |
977 | 취관분석 | 화학적 성질을 이용하여 광물을 감정하는 방법 중 하나로서 목탄위에 미지의 금속 광물의 분말을 놓고 버어너와 같은 불꽃을 취관으로 불면 함유 금속 성분의 특징적인 색이 목탄 위에 나타나게 된다. 이 때 나타나는 색으로 함유된 성분을 감정한다. 보기를 들면, 구리는 붉은색, 납은 회색, 아연은 백색 등이다. | blow pipe |
978 | 측벽 | 갱도 및 채굴현장의 측벽면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 側壁 |
979 | 측지학 | 지구의 크기와 형태를 측량하고 지표상에 있는 점들의 정확한 위치를 결정하는 것과 관련된 과학, 기선 측량, 수준 측량, 삼각 측량, 경위도 측정, 중력 측정이 주요 수단이 되어 있다. 최근에는 인공 위성의 궤도 관측으로 측정한 자료를 많이 이용한다. | 測地學, geodesy |
980 | 층리면 | 퇴적암 속에 층상으로 되어 있는 면을 말한다. | 層理面, bedding plane |
981 | 층상광상 | "괴상광상"참조 층상의 형태를 나타내는 광상을 말한다. | 層狀鑛床, Bedded deposits |
982 | 층상단층 | 상반이 하반보다 상위에 있는 일종의 역단층이며 주로 압축력에 의해 생성된다. | 層狀斷層, Thrust fault |
983 | 층위학 | 지층의 순서, 분포, 산상, 암상, 암질, 화석을 종합적으로 연구하고 생성 시대의 신구(新舊)를 기준으로 하여 지층을 구분하고 다른 지역의 지층과 대비하는 지질학의 한 분야. Steno와 Smith가 확립한 지층 누중의 법칙과 지층 동정의 법칙을 기본으로 하여 19세기 말엽에는 오늘날 사용하는 지질시대 구분의 윤곽이 거의 밝혀졌다. 층서학으로 밝힌 지층의 생성 순서는 지표부근의 사물이 시간적으로 어떠한 변천과정을 겪어왔는지를 보여주는 것이므로 지구의 역사를 밝히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따라서 지사학과 거의 동의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 層位學, stratigraphy |
984 | 치환채취 | 환원제로서 비한 금속(base me-tal)을 이용하는 반응은 침출액으로부터 금속의 채취법으로도 이용된다. 예를 들면, 함 Cu용액에 Fe를 가해서 금속동을 석출시키고 또 청화 제련의 귀액에 Zn을 가해서 Au, Ag를 환원 석출 시킨다. Fe에 의한 Cu 이온의 환원 반응은 침전동(cement copper)채취법으로서 다음의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Cu2++Fe=Cu+Fe2+ K=2×1026 Cu의 치환 채취는 갱내수의 처리 산화동광의 야적 침출과 관련해서 오래 전부터 널리 사용된 방법이며, 치환제로서는 고철과 알루미늄 깡통 등이 이용된다. | 置換採取 |
985 | 치환침전 | 달리 시멘테이션(cementation)이라 한다. 이온화 경향을 차이를 이용해서 귀한 금속 이온을 금속으로 치환 환원하는 방법 귀한 금속 이온을 치환 환원하는 데는 아연가루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철가루 및 니켈가루도 경우에 따라서는 이용된다. | 置換沈澱 |
986 | 침강촉진제 | 광액의 폐수 중에 포함된 미립의 슬라임은 자연 침강으로서는 침전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므로, 이에 따라 침전지나 농축기가 커야 한다. 따라서, 건설비에 있어서나 광산, 지대의 협소한 장소 관계로 보나 적지 않은 문제가 된다. 제한된 장소와 시설에서는 가능한 한 빨리 침전시키는 것이 해결 방법일 것이다. 물에 현탁되어 있는 고체 입자들은 일반적으로 부하전(negative charge)을 띠고 있기 때문에, 상호 전기적 반발에 의하여 응집(flocclation)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하전 입자를 응집시키는 방법은 pH를 조절하여 등전점(isoelectric point)근처로 하여 주든지, 전해질을 첨가하여 제타(zeta)전위를 낮추어 줌으로써 응집 현상을 조장시킬 수 있다. pH조절법은 시약이 많이 들고, 또 용액의 성질을 바꾸어 주는 것이기 때문에 환영 받지 못할 때가 많으므로, 무기 전해질의 첨가법이 흔히 쓰이고 있다. 침강 촉진제로 쓰이는 화합물들은 석회(CaO), 황산알미늄〔A l2(SO4)3〕황산구리(CuSO4)등이고, 여기에 녹말과 같은 고분자 물질을 첨가하면 그 효과가 증대되는 경우가 있다. | |
987 | 침목 | 침목은 궤간을 정확히 확보하고 레일로부터의 압력을 도상에 전하는 것이다. 따라서, 레일을 지탱하는 데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탄성이 있는 내구성의 재료라야 한다. 침목의 만곡에 대한 강도에 대해서는 보통 목재로서 충분하지만, 장기간 사용에 의한 부식 특히 레일 접촉부의 침식 및 스파이크 유지에 견디어 가기 위해서는 상당히 단단한 나무가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지나치게 단단하면 스파이크를 박아 넣기 힘들고, 또 갈라져 틈이 생기기 쉬우므로 인성이 풍부한 것이 좋다. 일시적으로 참밤나무, 밤나무, 소나무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침목의 내용연수는 침목 소재나 방부 처리의 좋고 나쁜 것 외에 외적 조건으로서 도상 상태, 차량 하중, 통과 톤수 등에 의해 좌우된다. 침목에는 이 밖에도 콘크리이트 침목, 철침목 등이 있다. | 枕木 |
988 | 침식 | 풍화산물인 암석의 부스러기나 토양이 빗물, 하천, 바람 및 빙하에 의하여 다른 장소로 이동되는 일반적인 과정. 풍화, 용해, 마모, 운반작용이 포함된다. | 侵蝕作用,erosion |
989 | 침적분급기 | 굵은 입자를 침적시켜 광니를 분리하는 것이다. 즉, 처리하려고 하는 광액을 어떤 용기에 연속적으로 넣어 흐르게 하면 굵은 입자는 침적하고 광니(작은알갱이)는 흘러 나간다. 이 현상을 이용한 것이 침적 분급기이다. | |
990 | 침적콘 | 원뿔모양으로 된 것으로, 원뿔의 밑면, 즉 수면의 가운데서 급광을 하고, 침적하지 않은 것을 주변에서 흘려 보내고 원뿔의 꼭지점에서 수압에 의하여 침적물을 배출시킨다. 선탄의 경우는 매우 큰 것을 사용하는데, 보통 밑면의 지름은 0.6∼2.4m 정도의 것을 사용한다. | setting cone |
991 | 침출 | 광석 또는 정광 중의 목적 금속을 적당한 용매에 녹여 그 용매에 난용성의 불순물 및 맥석을 잔사(residue)로 남기는 조작을 말한다. | leaching |
992 | 카드뮴 | 아연 제련시에 부산물로 얻어지며, 도금재료나 태양전지 등에 이용된다. | cadmium : Cd |
993 | 카리트 | 염소산염 혼합 화약류(chlorate mistures)로서 초산염 대신에 염소산 또는 과염소산의 알칼리염을 사용하는 것이다. | |
994 | 카알릿 | 분말화약의 일종 | |
995 | 칼륨 | 화학 공업용으로는 화학, 염료, 무기 약품, 의약품 등으로 이용된다. 칼륨은 자연에서 여러 가지 화성암 중에 함유되어 있으나, 경제성이 있는 것은 염화물과 황하물로 부존되며, 대표적인 광물이 칼륨염(sylvite : KCI)이다. 칼륨 성분은 바닷물에 용해되어 있기 때문에 바닷물이 증발해서 침전된 것이 주요 부존 되며, 이스라엘은 사해의 물을 처리하여 칼륨염을 추출하기도 한다. 캐나다와 소련의 칼륨 매장량이 전세계의 90%이상을 차지하며, 이 밖에 동독, 프랑스, 미국 등에도 부존되어 있다. | potasium : K |
996 | 캐리어 | 가공삭도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로우프위에 달려서 광석을 실어나르는 역할을 함. | carrier |
997 | 캐스트맹도계 | 강철틀위에 강철관을 올려 놓고, 그속에 납기둥을 세워 놓는다. 강철 기둥을 이 납기둥 위에 올려 눌리게 한 다음, 다시 그 위에 니켈 강판을 올려 놓는다. 강철 기둥의 무게는 680g으로 하고, 니켈 강판은 중앙이 두께 20mm, 무게 320g되게 만든다. 니켈 강판 위에는 지름 40mm, 두께 4mm의 보호 납판 2장을 포개어 놓고, 그 위에 시료 폭약을 놓는다. 시료 폭약이 폭굉하면, 그 폭발 압력에 의하여 강철 기둥을 아래로 눌러 그 밑에 있는 구리 기둥을 압축한다. 폭약의 충격량은, 구리 기둥이 압축되어 변형된 정도를 측정하여 충격 계산표에 의하여 계산한다. | Kast brisancemeter |
998 | 캔트 | 광차는 원심력 때문에 탈선되기 쉬우므로 바깥쪽의 레일을 안쪽 레일보다 높게 하는데, 이때 이 높이를 캔트라 한다. | cant |
999 | 커넥터박스 | 체인 컨베이어에 사용되는 트로프의 한쪽 좌우에 달려있음. | connecter box |
1000 | 커터 | 발파방법의 하나로 이용되며 다이아몬드 톱(cutter)을 이용하여 부재 전체를 절단, 구획 형태로 만든 하나하나를 크레인(crane)으로 제거하여 반출하는 방법이다. 작업성도 좋고 진동, 분말이 거의 없으며, 질서 정연하게 철거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장비 가격이 비싸고 공사 기간이 길며 인원 및 장비가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경제성 면에서 별로 시행되지 않고 있다. | cutter |
1001 | 커터로우더 | 연속채탄기의 일종. 채탄작업은 구멍을 뚫는 일, 석탄을 잘라내는일, 발파, 부서진 석탄을 싣는 일 등을 전부 합한 작업이며, 이러한 여러 분업을 연속적으로 또 자동적으로 하는 기계를 연속채탄기라고 한다. | |
1002 | 커터슈우 | 케이싱 파이프 아래 톱날같이 생긴 부속. | cuttig shoe |
1003 | 컨베이어 | 광산에서 사용되는 연속운반기로서 갱 안에서 광석이나 석탄운반에 많이 쓰이는 운반기계이다. 컨베이어의 종류로는 벨트 컨베이어, 체인 컨베이어, 팬 컨베이어, 셰이킹 컨베이어 등이 있으며 수직으로 올리는 버킷 엘리베이터도 연속운반기에 해당한다. | |
1004 | 컨티뉴어스마이너 | 연속채탄기 종류의 하나이나, 코올렌 호벨, 커터 플라우, 커터 로우더 보다는 적은 양의 일을 하는 기계. | |
1005 | 케이블 리일식 전기기관차 | 가공선이 가설되지 않았으나 가스가 있어 가공선식 전기 기관차를 사용하기 곤란한 장소에 가공선 대신 케이블 리일을 통해 전원을 받아 운행하는 전기 기관차는 차체 위에 캪 다이아케이블을 감은 리일 드럼을 비치하여 케이블의 한 끝은 전원에, 다른 끝은 모우터에 연결하여 사용하고, 감고 풀리는 소형 모우터를 사용한다. 이 리일식 전기 기관차는 전원 위치로부터 200-500m 정도에 한하여 운행할 수 있다. | cable reel locomotive |
1006 | 케이빙 | 1. 바행 붕락법 참조. 붕락법은 광체를 채굴하여 천장을 덮고 있는 지층을 자중에 의하여 무너지게 하여 채굴하는 방법이다. 2. 동굴을 탐험하는 것. 과학적인 연구보다는 취미나 스포츠로서 탐험하는 것을 가리킨다. | caving |
1007 | 케이싱 | 깊은 구멍을 굴착할 때 구멍 벽의 붕괴 방지 또는 용수 및 새는 물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넣는 크라운이다. | casing |
1008 | 케이싱비트 | 케이싱 파이프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비트. | casing bit |
1009 | 케이싱슈 | 비트의 종류중 리밍용 비트. | casing shoe |
1010 | 케이싱파이프 | 엠파이어 시추시 구멍을 뚫을 때 벽이 무너지는 것을 막기 위하여 모래나 자갈 속으로 철관을 박으면서 그 철관 속을 천공해 들어가는 방식 중 이 철관을 케이싱 파이프라 한다. | casing pipe |
1011 | 케이지 | 수갱 권양 장치의 하나로 사람 또는 광차를 싣고 상·하로 운반하는 용기를 말한다. | Cage |
1012 | 케이지운반법 | 엘리베이터와 같이 생긴 케이지에 광차를 실어 운반하는 장치. 갱내에서 광석이 실린 광차를 케이지에 싣고 올라와서 갱구에서 실린 광차는 밀어 내고 공차를 실어 갱내로 들어가게 하는 장치이다. | |
1013 | 코로만트 커트 | 발파시 버언 커트는 장공을 편기 하지 않고 평행으로 뚫어야 하는데, 이것은 상당히 곤란한 작업이다. 이와 같은 결점을 고려하여 새로 고안된 것이 코로만트 커트이다. 이것은 안내형 판을 대고 우선 구멍을 뚫어서 고정시킨 후, 제2공을 안내형 판에 따라서 다시 천공하여 두 구멍을 한 구멍으로 만들고, 다른 6개의 장전공은 안내형 판에 따라서 천공하는 방식이다. | coromant cut |
1014 | 코로만트심빼기 | 번 심빼기에서 장약공을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평행하게 뚫어야 하는데, 이것은 상당히 어려운 작업에 속한다. 이와 같은 단점을 고려하여 새로 고안된 것이 코로만트 심빼기(coromant cut)이다. 이것은 천공 예정 암벽에 대고 고정시킨 후, 중앙에 지름 57mm의 구멍을 안내판에 따라 천공하여 두 구멍을 한 구멍으로 만들며, 다른 6개이 장약공도 안내판에 따라 천공하는 방법이다. 우리 나라에서는 일찍이 상동과 연화 광산에서 시험한 바 있으나, 종업원의 훈련이 필요하기 때문에 아직 보급되지는 않고 있다. 이 방법은 종래의 쐐기 심빼기에 비하여 월등하게 좋은 방법이다. | |
1015 | 코어 | 코어 비트로 절취한 원주상의 시료를 말한다. | Core |
1016 | 코어리프터 | 코어의 절단과 채취에 사용된다. 코어 배럴을 사용할 때 전진할 때에는 벽에 붙고, 후퇴할 때에는 일어서는 장치. | |
1017 | 코어배럴 | 로드 아래에 연결되어 비트가 오려내는 코어를 보호하고 빼내는 데 사용하는 것으로 싱글 튜브와 더블 튜브의 두가지 형이 있는데, 더블 튜브는 암석이 부스러지기 쉽고 물에 씻겨 나가기 쉽고 또한 마멸되기 쉬워 코어 실수율에 영향이 크게 미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것으로 길이는 3m정도의 크라운으로 되어 있다. | |
1018 | 코오니컬 보올밀 | 원통형의 양 끝이 원뿔 모양으로 된 것으로서, 선광장에서 각종 광석의 분쇄뿐만 아니라 석회석, 점토, 시멘트, 활석 등의 건식 분쇄에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중간의 원통부는 비교적 짧으며, 원통부의 길이는 지름의 ⅓∼¼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 크고 작은 보올을 원통 안에 넣어 회전시키면 원심력에 의해 보올은 크기에 따라 분류되어 지름이 작게된 보올과 광석은 원통부에 모이고, 한편 마멸되어 지름이 작게된 보올과 작은 알갱이의 광석은 지름이 작은 배광구 가까이에 모인다. 따라서, 큰 보올은 원통 내벽 가까이 붙어서 포물선형을 그리면서 낙하하여 굵은 광석에 큰 타격을 주어 부수며, 작은 보올은 작은 알갱이를 분쇄하게 되어, 소위 선택 분쇄를 함으로써 과분쇄를 피할 수 있다. | conical ball mill |
1019 | 코올렌호벨 | 막장면에 따라 이동하면서 날카로운 대팻날과 같은 것으로 석탄을 깍아 내어 컨베이어에 싣는 작업을 하는 것이다. 막장면에 가까이 H형 컨베이어를 설치해 컨베이어의 한쪽 벽을 가이드로 하여 호벨을 이동시킨다. 이 운동은 막장의 한쪽 끝에 장치된 드럼에 의한다. 호벨은 탄벽에 20-30cm깊이로 파 들어가며, 무너진 석탄을 컨베이어에 싣는다. 이 때 기계가 탄벽에서 떨어져 나오려고 하기 때문에, 압기 장치로 컨베이어와 함께 기계를 탄벽 쪽으로 밀어야 한다. 첫째 번 작업이 끝나면 막장의 반대편 한쪽 끝에 준비하고 있던 드럼으로 이것을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둘째 번 작업을 하고, 이것이 끝나면 컨베이어를 옮긴다. 코울렌 호벨은 비교적 연한 석탄에서 능률적이며, 특히 얇은 층의 채굴에 가장 알맞다. 그러나, 호벨의 날을 2단 또는 3단으로 이어서 두꺼운 탄층의 채굴에 이용할 수도 있다. | kohlen hobel |
1020 | 코운 크러셔 | 조쇄기의 자이어터리 크러셔와 비슷한 원리로서 배출구에 가까이 갈수록 코운과 보울의 두 면이 거의 평행을 이루고 있으며, 한 점에서 만나지 않게 되어 있어 막히지 않고 잘 배출되는 것이 그 특징이다. | cone crusher |
1021 | 코울커터 | 막장의 기계화가 절대적으로 필요하게 됨에 따라 코울 커터의 사용이 많아졌다. 원래 코울 커터는 투구용으로 고안된 것인데, 처음에는 둘레에 픽을 단 원판을 회전시켜 석탄을 절단하는 원판형인 것이었으나, 석탄을 자르는 도중 위의 석탄이 가라앉아 원판의 운전이 되지 않고, 또 울퉁불퉁한 면이 있는 하반에서는 작업이 곤란하였으므로, 대신 바아(bar)형이 발명되었다. 그러나, 이것도 고장이 많아 널리 사용되지 못하였다. 최근 카페 채탄을 하게 되어, 발파를 하지 않고 커터 자체로 채탄하도록 아래위 2개의 지브를 가지고 있는 더블 지브 커터도 사용하게 되었다. 막장의 경사 25°이상일 때에는 커터가 미끄러질 염려가 있다. 이것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독일에서는 시렘호오벨이라는 비교적 가벼운 기계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코울 커터는 피이드부, 전동기부, 커터부의 세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피이드부는 기체의 이동 동작을 시켜 주는 부분이며, 막장의 상부에 해당되는 곳에, 고정된 피이드 로우프의 다른 끝을 피이드부의 아래에 있는 드럼에 감아, 기체가 앞으로 나아가게 되어 있다. 전동기부는 기체의 가운데에 자리잡고 있다. 튼튼한 여러 개의 열을 발산시키는 리이프를 가진 프레임 안에 전동기와 제어기를 장치한 것이며, 모든 부분의 원동력이 되고 있다. 커터부는 기체의 머리에 해당 되는 곳에 있으며 커터 체인이 운동을 할 수 있는 장치로 되어 있다. | coal cutter |
1022 | 코울픽 | 굴질용 기계로서 압축 공기로 타격을 주어 작업을 함. | |
1023 | 콘덴서발파기 | 전기 발파에 있어서 전기 뇌관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으로서는 축전지, 건전지를 위시하여 전등선, 동력선 등이 있으나 보안상 주로 발파기를 많이 사용하는데 이하 발파기는 동식과 발파식이 있는데, 이것은 전기 자석을 이용한 자극 중에서 발전자를 회전하며 전류를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종래에는 많은 이용을 했으나 콘덴서식 발파기의 출현으로 보관, 휴대사용등의 불편으로 지금은 사용하지 않고 있다. | |
1024 | 콘크리이트지보 | "지보" 참조 | |
1025 | 콘크리이트침목 | "침목" 참조. | |
1026 | 콜다이트 | 물에 녹지 않는 비중 1.6의 담갈색 또는 암갈색 화약으로, 열에 예민하여 온도가 증가하면 자연 폭발한다. 연소온도는 3200℃이고, 발사약 등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 |
1027 | 콜롬브석 | 페그마이트 광상의 일종으로 전북 무주부근에서 발견된다. | |
1028 | 콜몰 | 컨티뉴어스 마이너와 함께 채탄용 기계로서 좁고 작은양의 채탄작업시에 사용되는 기계. | |
1029 | 쿠션블라스팅법 | 파단성에 따라 천공한 발파공을 제발 또는 MS뇌관으로 발파한다. 이 발파법에서는 파단선의 발파공에 구멍의 지름에 비하여 약포 지름이 작은 폭약을 장전하며, 구멍 안에 분산해서 장전하는 경우가 많다. 전색은 장약의 주위에 하는 경우도 있으나, 발파공 입구에만 하는 경우가 많다. 폭약이 기폭되면 폭약 주위의 전색물이나 공기가 폭력에 대하여 쿠션 역할을 하여 폭굉 응역을 파단선 이외의 암반을 파괴시키지 않을 정도로 약화시킴으로써 자유면에 대해서만 파괴력이 작용한다. | cushion blasting |
1030 | 크라운비트 | 다이아몬드를 로드의 끝에 접착시킬 때에는 구리와 같이 연성이 있는 금속을 로드의 끝에 접착시키고, 그 금속에 다이아몬드를 심는다. 이러한 금속과 다이아몬드를 붙인 금속 막대의 끝 부분을 크라운 비트라 한다. 일반적으로 분리하여 갈아 끼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 crown bit |
1031 | 크러싱로울 | 중쇄기의 한 종류로서 대략 100㎜이하의 광석을 대개 6∼20㎜의 산물로 부수는 것이다. 크러싱로울의 경우는 서로 반대로 돌아가는 2개의 금속 원통체 사이에 광석이 물려 들어가 분쇄된다. | crushing roll |
1032 | 크레오소오트 | 갱목 부패를 막기 위한 방부제 일종의 약품. | |
1033 | 크로스갱도 | 수평 갱도의 경우 주요 운반 갱도와 이 운반 갱도에서 광맥에 최단 거리로 착맥시키는 갱도. | cross cut |
1034 | 크로울러드릴 | 착암기를 크로울러에 실은 천공 기계를 말한다. | Crawler drill |
1035 | 크루프식시험기 | 정온 가열 발화점 시험방법의 하나로서 시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강철로 만든 원통에 시료 용기를 넣고, 일정한 온도까지 가열한다. 그 다음, 전원을 끄고 시료 용기에 시료 0.1g를 넣어, 시료 용기가 냉각되면서 화약이 발화될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한다. 화약이 발화하는 시간이 4초일 때의 온도가 발화점이다. 예를 들어 화약 시료가 200℃에서 4초 후에 발화하였다면, 이 화약의 정온 가역 발화점은 200℃이다. | krupp test |
1036 | 크산틴산염 | 1925년 미국의 켈러(Keller)와 루이스(Lewis)가 시약의 한가지인 포집제로서 크산틴산염(크산테이트)을 발명하였다. | xanthate |
1037 | 클램프 | 굴림쇠. 점보드릴에 천공기를 붙여 운전할 때 천장과 레일에 고정시키는 것. | clamp |
1038 | 클리노미터 | 암층의 경사, 주향, 고도의 각을 재는데 사용하는 간단한 측정기구. 경각계(傾角計), 경사의, 경사계는 동의의. | clinometer |
1039 | 키블 | 경석을 실어나르는 차. | kibble |
1040 | 타이록 진동체 | 편심축에 의해 체의 면에 원운동의 진동을 주는 체이다. 체틀은 8개 완충 고무에 의해 받쳐져 있고, 진동을 조정하는 조정 추가 달려 있다. 진동은 완충 고무에 흡수되므로, 기계를 지탱하는 기초의 틀에는 전달이 되지 않아 건물의 진동은 적다. 진동수는 700∼1000rpm, 진폭은 6∼10㎜이다. 타이록 진동체를 설치할 때에는 적당한 경사를 주며, 처리 능력은 크기 1500∼3000㎜의 기계에서는 7HP의 동력으로 광석 100t/h 정도이다. | tyrock vibrating screen |
1041 | 타일러표준체 | 체질할 때 체 위에 남아 있는 큰 알갱이를 망상 산물, 체눈을 통과한 알갱이를 망하 산물이라 하는데 선광에서는 타일러 표준체를 이용한다. | Tyler standard sieve |
1042 | 타주 | [중주]라고도 하며 상하 양반에서부터 지주의 양단으로 압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타주는 직경의 10배 이내로 한다. 타주를 세울 때에는 수평층일 경우 층에 직각으로 세우나 경사층에서는 층의 수직선과 연직선의 중간 방향에서 세우는 것이 합리적이다. 그러나, 막장에서의 양반은 약간씩 이동하게 되므로 상하반과 타주와의 상대 위치는 상하반의 성질이나 막장의 상황에 따라서 영향을 받게 되므로 타주의 어느 법칙에 의해서 결정하기는 곤란하다. 삭주하는 것은 타주의 가축성을 주기 위하여 하단을 약간 삭제한 것으로 삭제 부분의 길이는 타주 직경1/2로 한다. | 打柱 |
1043 | 타주채굴법 | 지주 채굴법(timbered stopes)의 한 방법으로서 이 채굴법은 전술한 무지보 상향 또는 하향 채굴법과 거의 같으며, 이들 채굴법은 간단한 발판용 지주나 받침을 하는 것과 달리 본법은 상반 유지를 위하여 타주를 규칙적으로 입쉬하여 갱도를 유지하는 채굴법이다. 본 채굴법의 적용 범위는 맥 폭이 좁고 급경사이며, 암반 또는 광석이 어느 정도 견고하여 상반이 다소 박리성이 있으며, 비교적 고품위가 분포된 광체이어야 한다. 이 채굴법의 장점은 채굴 실수율이 높고 굴진 속도가 빠르며 보안상 비교적 안전한 점이며 버력 혼입률이 많은 결점이 있다. | 打柱採掘法 |
1044 | 탄가 | 무연탄의 판매가격을 지칭하며 발열량(㎉/㎏)을 기준으로 현재 16등급으로 구분되며, 정부에서 매년 가격을 고시한다. 특1급∼특5급은 5,400㎉/㎏, 9급∼1급은 3,500∼5,339㎉/㎏, 급외 2등급은 3,000㎉∼3,449㎉/㎏이다. | 炭價 |
1045 | 탄광 | 석탄을 경제적으로 채굴·선별한 후 상품으로 시장에 공급하는 사업소, 또는 석탄을 채굴하는 광산, 석탄 자체를 선별상품으로서 적출하는 부속시설의 총칭. 하나의 탄광이 독립된 몇 개의 구역으로 되어 있고, 각각 다른 갱구를 가지고 있을 경우 이것을 탄갱(炭坑) 또는 갱이라고 한다. 탄광은 갱도굴착과 노천굴착으로 하는 작업으로 나눌 수 있다. 한국의 탄광은 거의 전부가 전자에 속한다. 그러나 후자의 방법이 기술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유리하다. 석탄채굴에서 문제시되는 지층을 암반이라고 한다. 보통 지표 바로 밑에 평행으로 된 암반층이 있는데 그 중에는 탄층이 포함되어 있지 않고 그 밑의 협탄층을 덮고 있다. 그 암석을 피복층이라고 하고 피복 암층은 일반적으로 결합력이 약하고 함수성이므로 갱도굴착시에 작업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피복암 밑에 협탄층이 있는데, 혈암·사질혈암·사암과 탄층으로 층을 이루고 있다. 협탄층 중에 탄층과 직접 접하는 암층을 각각 천반(天盤)과 상반(床盤)이라고 한다. 협탄층의 각 지층은 원래 물이나 바람의 작용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최초는 수평이었다. 탄층도 이와 같이 현재 이소지(泥沼地)에서 볼 수 있는 수평의 침강지역에 동물이나 식물의 잔해가 집적(集積)되어 만들어진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 탄층의 대부분은 수평층으로 되어 있지 않다. 이것은 석탄기 말기나 그 직후인 2.5억∼3억 년 전에 강한 조산작용(造山作用)으로 움직여 아직 충분히 고화(固化)되지 않은 지층이 운동하여 소위 배사나 향사구조로 된 것이다. 강한 작용을 받은 곳에서는 거의 지층이 수직으로 서 있으며 또는 일부에는 역전되어 있는 곳도 있다. 이와 같은 암층의 변화를 경사라고 하며 수평층(0∼25°)·중경사층(26∼35°)·급경사층(36∼90°)으로 나눈다. 탄층의 일부인 km 단위의 크기로 접혀 중첩되어 오버스러스트 단층(斷層)을 만드는 경우도 있다. | 炭鑛, coal mine |
1046 | 탄광용폭약의 안전도 | 어떠한 폭약일지라도 갱내의 폭발 가스 및 탄진에 대하여 절대적으로 안전하지는 않다. 따라서, 시험 갱도에서 가스 시험과 탄진 시험으로 폭약의 안전성을 시험하도록 법으로 규정되어 있다. | 炭鑛用爆藥의 安全度 |
1047 | 탄광의 개발과 문제점 | 탄광에서 석탄을 채굴하는 데 있어서 다음과 같은 여러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① 탄층 부존상태(賦存狀態)의 불명:탄층이 지중에 매장되어 있으므로 그 발견이 어렵다. 그것뿐만 아니라 탄층의 부존 상태가 지표에서 볼 수 없다는 것이다. 이것에 대해서는 지질학이나 탐광법(보링·물리탐광 등)을 이용하여 그 부존상태를 확인해야 한다. ② 굴진:암석을 굴착하고 갱구를 열고 갱내를 굴진하려면 암반을 파쇄해야 되며 특히 탄광에서는 함수·붕괴성 지층을 굴진해야 하므로 어려운 점이 많다. 굳은 암석에 대해서는 착암기로 천공하여 폭약을 장전하고 발파하여 능률을 높이고 함수·붕괴성 지층에 대해서는 특수한 굴착법을 이용한다. ③ 갱내 운반·갱내 배수:갱내가 깊어짐에 따라 이 같은 작업은 점점 어려워진다. 세계에는 갱의 심도가 1,000m를 넘는 곳도 있으며, 일본에서도 800m를 넘는 탄광이 몇 개 있다. 또 해저(海底)나 온천지대에서는 갱내 출수는 채굴하는 석탄량의 수십 배에 달하고 있으나 이 문제는 광산기계가 발달됨에 따라 해결되어가고 있다. ④ 지압(地壓):갱내가 깊어짐에 따라 지압은 증가하므로 강대한 지압에 대항해 갱내를 유지해야 한다. 갱내지주의 진보에 따라 이것에 대처하는 방법을 세움과 동시에 지압을 이용하여 채굴하는 방법도 연구되고 있다. ⑤ 갱내온도:갱내가 깊어짐에 따라 지하의 암석온도가 상승한다. 그 밖에 석탄·갱목의 산화열, 공기의 압축열 등으로 갱도가 깊어짐에 따라 갱내 온도가 상승하여 노동 능률에 영향을 끼친다. 오늘날까지는 대개 갱내통기의 개선에 의하여 온도를 완화하여 왔으나 앞으로는 특수한 냉각법의 채용이 필요하게 될 것이다. ⑥ 갱내재해:갱내는 지압이 대단하므로 낙반(落盤)의 위험이 있으며 또 갱내는 좁고 조명이 불충분하여 교통 기타 여러 재해를 일으키기 쉽다. 또 폭발가스(메탄)가 발생되고 탄진도 많으므로 갱내폭발 위험도 있다. 이 재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계속 연구·노력하고 있으며 오늘날은 갱내 안전도(보안)가 높아졌다. ⑦ 노무문제:탄광의 경영에는 많은 액수의 자본이 필요하며 또 다수의 노동자를 고용한다. 뿐만 아니라 대개의 탄광은 산간벽지에 있으므로 노동자의 주택 기타 복리후생시설을 필요로 한다. ⑧ 광해(鑛害):석탄채굴의 결과 그것에 따르는 지표 함락, 석탄으로 인한 오염수 기타 많은 광해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지표 함락에 의한 광해가 큰 문제로 되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는 채굴방법의 선택, 완전 충전방법의 시행, 선탄 오염수의 침전정화 등의 방법으로 광해 방지에 노력해야 한다. 한국의 광산은 1945년까지는 일본인에 의해 운영되다가 그후 서구식 채탄방법이 도입되었는데, 오늘날 심도가 깊어짐에 따라 지압·지열 등 여러 어려운 조건 때문에 기계화 채탄을 서두르고 있다. | |
1048 | 탄광지역 | 탄광이 소재하는 지역 또는 탄광에 인접한 지역으로서 석탄산업이 지역경제에 크게 영향을 주는 시 또는 군단위 행정구역을 말한다. | 炭鑛地域 |
1049 | 탄동구포시험 | 폭약에는 뇌관을 끼우고, 도화선은 탄환의 중심축에 있는 구멍을 통하여 끼운다. 폭약이 폭발하면 폭발에너지의 일부분이 탄환에 미치고, 나머지 에너지는 구포의 진자에 미친다. 그러므로 진자는 운동하게 되고, 이 때 진자의 운동 각도를 측정하여 표준 폭약의 운동 각도와 비교하여 시료 폭약과 표준 폭약의 상대적 폭발 위력(relative weight strength : RWS)을 비율로 나타낸다. | |
1050 | 탄동진자시험 | 폭발온도, 발생 가스의 부피, 폭발 속도 등의 영향을 받으며, 주로 탄광 폭약의 위력을 비교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 |
1051 | 탄산가스 | 비중이 1.53이고 사람의 호흡, 등불, 석탄, 갱목의 산화, 갱 내 화재, 탄광 폭발로 인하여 발생한다. 성질은 색·냄새가 없으며 비중이 커서 낮은 곳에 쌓여 많이 들어 있는 공기를 호흡하면 중독된다. 공기 속의 산소가 줄어 약 17%fh 되면 휘발유와 점검등이 꺼지고 또 약13%fh 되면 아세틸렌등이 꺼진다. 불이 꺼질 때는 위험한 곳이므로 들어가지 말아야 한다. 막장의 공기는 산소 19%이상, 탄산가스는 1%이하로 되어 있다. 산소가 거의 없고 탄산가스를 많이 혼합하고 있는 갱 내의 공기를 블랙 댐프(black damp)라고 말한다. 갱 내에서 탄산가스가 발생하는 원인은 다음과 같다. ①공기 호흡, 등불의 연소, 발파에 의한 발생 ②탄층 및 암층에서의 발생 ③갱목과 석탄의 산화에 의한 발생 ④황산철의 산화로 나오는 산성 갱내수가 석회분에 작용하여 발생 ⑤갱내수에 녹아 있는 탄산가스가 압력과 같이 발산 ⑥이 밖의 갱 내 화재, 석탄의 자연 발화, 탄광 폭발 등의 재해가 일어날 때 많은 탄산가스가 발생한다. | CO2 |
1052 | 탄산암모늄다이너마이트 | 가루 다이너마이트의 일종이며 탄산암모늄을 주성분으로 하고, 예감제로 NG를 약 10%, 감열 소염제로 염화나트륨을 약 20% 배합한 폭약이다. 이것은 메탄가스 또는 석탄 미립자에 대한 안전도가 높기 때문에, 탄광에서 채탄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 |
1053 | 탄산염광물 | 탄산염 광물에 속하는 것은 탄소와 산소로 된 탄산기(CO3)를 기본 성분으로 가지고 있는 광물들로서, 석회암의 주성분 광물이 되는 방해석(CaCO3)과 철광석의 하나인 능철석(FeCO3), 아라고나이트 등이 여기에 속한다. | 炭酸鹽鑛物, Carbonate mineral |
1054 | 탄성 | 외력에 의해 변형된 물체가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가려는 성질. 변형의 종류에 따라 체적 탄성과 형상 탄성으로 구별한다. 일반적으로 탄성은 양자의 복합이다. 모든 물체는 다소라도 탄성을 가지고 있다. | 彈性, elasticity |
1055 | 탄성파 | "탄성"참조. 지각을 구성하고 있는 암석도 탄성체이므로 탄성파가 전달된다. 탄성파에는 몇 가지 파가 있으나 주로 탄성파 탐사에서는 매질에 따른 P파(종파)의 전파 속도, 반사 및 굴절의 특성을 이용하여 탐사한다. | 彈性波 |
1056 | 탄성파 탐사법 | 달리 지진탐광이라고도 한다. 지각내를 전파하는 탄성파를 이용하여 지질구조나 광물자원을 탐사하는 것. 보통 인공지진을 발생시켜 탄성파가 지각내에서 반사 굴절하는 상태를 여러 지점에서 관측하여 얻어진 자료를 분석한다. | 彈性波探査法,seismic prospecting |
1057 | 탄전 | 경제적으로 채굴 할 수 있는 탄층이 어떤 맥출과 넓이를 갖는 지역. 소규모로 잠재하는 것은 함탄지라 한다. | 炭田, Coal field |
1058 | 탄진폭발 | 탄광의 갱내에서 공기 속에 부유하고 있는 석탄의 미립자(탄진)가 점화되어 폭발을 일으키는 일. 탄진은 석탄층을 채굴할 때, 채굴된 석탄을 운반할 때 발생되는 석탄의 미립자로서, 주로 배기갱도에 많이 부유하거나 퇴적되어 있다. 탄진의 크기는 10~30 μm까지이나 대부분이 10 μm 이하의 미세한 미분상태로 공기 속에 부유한다. 이와 같은 부유 또는 퇴적중인 탄진이 결정적인 화염에 닿거나 가스폭발 등의 원인으로 인화될 경우 탄진폭발을 일으킨다. 일반적으로 휘발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고 회분이 적은 탄진일수록 폭발 위험성이 높다. 폭발원인은 주로 가스폭발에 이은 탄진폭발, 즉 가스 ·탄진폭발이 일어나는 경우가 많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탄진만이 폭발하는 경우도 있다. 한국에서는 탄진폭발이 일어난 기록이 없는데, 이는 탄질 자체가 무연탄이므로 휘발분이 적어 쉽게 폭발하지 않기 때문이지만, 외국에서는 가끔 탄진폭발이 발생한다. 탄진폭발의 예방방법은 첫째 탄진이 부유하지 않도록 해야 하고, 둘째로 탄진이 부유해도 탄진폭발을 일으키지 않는 방법을 채택해야 한다. 탄진이 부유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물을 뿌려 탄진의 부유요소를 없애고, 부유 중인 탄진에 대해서는 석회석 분말을 분출하여 탄진을 희석시키는 방법을 채택해야 한다. | 炭塵爆發, coal dust explosion |
1059 | 탄층주상도 | 탄층의 석탄과 칸막이 상태를 기둥 모양으로 표시한 그림을 말한다. | 炭層柱狀圖,Coal seam columnar section |
1060 | 탄화 | 유기물이 열분해 또는 다른 화학적 변화로 말미암아 탄소(炭素)로 되는 것을 말한다(목재의 목탄화, 석탄의 코크스(숯)화 등으로 연료로부터 휘발성 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말한다) | 炭火, Carbonization |
1061 | 탈수 | 고체입자를 위주로 하여 물을 분리하는 작업 | 脫水, dewatering |
1062 | 탐광 | 광산 ·탄전 ·유전 등의 개발을 위하여 광상을 발견하고, 그 성질 ·상태 ·규모 등을 알아내는 작업. 광상의 대부분은 지하 깊은 곳에 매장되어 있고 외부로부터 볼 수 있는 것은 일부분뿐이므로 발견하기가 곤란하다. 설사 발견하였다 해도 그것의 합리적인 개발을 위해서는 충분한 조사가 필요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지질학 ·지구물리학 ·지구화학 등의 종합적인 지식이 이용되어야 한다. 조사지역에 대해서는, 먼저 충분한 지표조사가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서 지질조건이나 지형에 관한 지식이 수집된다. 전혀 예기치 않은 곳에서 노두(露頭)나 광상의 존재의 징후를 발견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지하의 구조를 알아내기 위해서는 지진파의 전파(傳播)를 이용하는 탄성파탐사, 지전류(地電流)의 측정을 이용하는 전탐법(電探法), 자성체의 강약을 이용하는 자력탐사, 중력의 차를 이용하는 중력탐사 등의 물리탐사법이 이용된다. 이와 같이 하여 광상발견의 가능성이 높은 지역이 알려지면 보링작업을 실시한다. 그리고 보다 확실한 자료를 얻기 위해 최종적으로 갱도에 의해서 광상까지 도달하고, 나아가서는 광상 내부에도 갱도를 굴착한다. 이와 같이 탐광을 목적으로 굴진한 갱도를 탐광갱도라고 하며, 이 탐광갱도에 의해서 광상의 규모나 광석의 성질 ·품위 ·매장량 등이 확인된다. | 探鑛,prospecting |
1063 | 탐광굴진갱도 | 광산 개발에 착수하게 되면 노두로부터 광맥을 따라 굴진함으로써 채광을 하며서 탐광도 겸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갱도를 탐광 굴진 갱도라 한다. | 探鑛掘進坑道 |
1064 | 탐광사업 | 물리탐사, 지화학 탐사, 시추 및 갱도 탐사 등을 말하며 광업 사업 개시 의무에 따라 광산을 개발 할 때 채광에 앞서 탐광을 하고자 하면 사전에 탐광 계획서를 산업자원부 장관(도지사)에게 제출해야 한다. 일단 탐광이 착수되었으면 그 실적을 탐광 계획서 신고일로부터 3년 이내에 인정받아야 하나, 부득이한 사유로 인정을 받을 수 없을 때에는 1차에 한하여 연장을 받을 수 있다. | 探鑛事業 |
1065 | 탐광사업비지원 | 탐광사업을 시행하는 자에게 사업비의 일부 또는 전부를 금전으로 지급하고 약정에 의하여 그 지급금을 상환하게 하거나 상환을 면제하는 것을 말한다. | 探鑛事業費支援 |
1066 | 탐사 | ①유용한 광물이나 화석연료 광상을 찾는 일. 여기는 원격 탐사, 항공 사진 지질학, 지구 물리, 지구 화학적 방법, 지표 및 지하의 조사가 포함된다. ②알려진 광상의 성질을 확인하고 평가하는 것. 이는 개발의 준비단계로 실시된다. 탐사는 발견을 능가한다는 의미에서 탐광(prospecting)보다 광범위한 의미의 용어이다. | 探査, exploration |
1067 | 탐탄 | 탄층 부존이 예상되는 지역에서 탄층 구조, 부존 형태, 품위, 심도 등을 파악하기 위해 행해지는 조사작업으로서 시추탐탄, 갱도탐탄, 물리탐사 등이 있다. | 探炭 |
1068 | 터어빈펌프 | 임펠러로 물을 고속으로 회전시킬 때, 이 빠른 속도에 의하여 회전 방향으로 가속된 운동 에너지가 압력 에너지로 바뀌도록 구성된 펌프이다. 이 터어빈 펌프는 물을 양수해야 할 높이에 따라 단 수가 정해지며, 보통 1단의 터어빈 펌프가 물을 올릴 수 있는 수두 높이는 약 30m이다. 만일, 이보다 더 높은 곳으로 양수하려면 그에 맞게 단 수를 늘려야 한다. | |
1069 | 텅스텐 | 주기율표 제6A족에 속하는 전이원소(轉移元素). 원소기호 : W 원자번호 : 74 원자량 : 183.8 녹는점 : 3387℃ 끓는점 : 5927℃ 비중 : 19.3(0℃) 볼프람(Wolfram)이라고도 한다. 예전에 주석광석에 이 원소의 광석이 혼입하면 다량의 주석이 슬래그화(化)되어 못쓰게 되었기 때문에, 탐욕스러운 늑대에 빗대어 이 원소의 광석을 Wolframite라 부르게 되었고, 이 원소를 Wolfram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또, 텅스텐이라는 이름은 스웨덴어로 ‘무거운 돌’이라는 뜻의 tungsten에서 연유한다. 즉, 이 원소의 광석이며 현재 회중석(灰重石)이라고 불리는 것이 1755년 A.크론슈테트에 의해서tungsten이라고 명명된 데에 의한다. 【존재】 지구상에 비교적 널리 존재하지만, 양은 그다지 많지 않다. 클라크수는 제26위이다. 주로 회중석 CaWO4, 철망간중석 (Fe ·Mn)WO4 등의 텅스텐산염석으로서 산출되고, 아시아의 태평양 연안, 북아메리카 등에 풍부한 광맥이 있다. 【성질】 백색 또는 회백색의 백금 비슷한 금속으로 α형과 β형의 두 가지가 있는데, 모두 등축정계(等軸晶系)에 속한다. α형은 공기 중에서 안정하지만, β형은 불안정하여 자연발화한다. 시중 판매품의 순도는 99.75∼99.99%이다. 습한 공기 중에서는 산화된다. 상온의 물과는 반응하지 않지만, 고온에서는 산화물이 된다. 묽은 황산이나 묽은 염산과 가온(加溫)하면 약간 침식당한다. 진한 질산과는 뜨거울 때 잘 녹고, 왕수(王水)와는 반응한다. 알칼리융해로도 잘 녹는다. 【제조법】 철망간중석은 알칼리융해를 한 다음에, 회중석은 염산으로 처리하여 산화텅스텐수화물 WO3 ·H2O로 만들어 원료로 한다. 이 원료를 수소기류 속에서 700℃ 이상, 또는 탄소와 1100℃ 이상으로가열하거나, 규소 ·나트륨 ·마그네슘 등의 금속과 함께 가열하면 분말로서 얻는다. 플루오르화수소산 ·융해염화칼륨 등에서 전기분해에 의해 환원시켜도 된다. 이렇게 해서 얻은 분말 텅스텐은 다져서 하소(晋燒) ·소결(燒結)하는 분말야금법을 사용하여 선상(線狀) 텅스텐으로 만든다. 금속단결정(金屬單結晶)으로 만들 때는 유기물을 결합제로 하여 수소기류 속에서 2200℃로 가열하는 등의 방법이 있다. 【용도】 전구나 진공관의 필라멘트, 용접용 전극(電極), 전기접점 등에 사용된다. 또, 합금으로서는 고속도강에 약 18%, 영구자석강에 5∼6%, 스테라이트계통의 내열 ·내식(耐蝕) 합금에 5∼22% 첨가된다. 또한 탄화물은 대단히 단단하여 소결탄화물합금으로서 공구에 사용된다. | tungsten |
1070 | 테트릴 | 2,4,6-트리니트로페닐메틸니트로아민의 약칭. 화학 C7H5N5O8. 단사정계(單斜晶系)에 속하는 담황색결정이며, 분자량 287.15, 녹는점 131.5℃. 물에는 녹지 않으나, 아세톤 ·에테르 ·벤젠 ·아세트산 등에는 녹는다. N,N-디메틸아닐린을 진한 황산에 녹이고 혼산(混酸)을 가해서 니트로화하든가, 2,4-디니트로클로르벤젠과 메틸아민으로 2,4-디니트로메틸아닐린을 만들고, 이것을 다시 니트로화하여 제조한다. 충격에는 약간 민감하지만 폭발력은 크다. 외국에서는 작약(炸藥)의 주요 성분으로 사용되며 CE(co-mposition exploding)라고도 불린다. 또 산 ·염기 지시약(변색역 pH 10.8∼12.8)으로서 실험실에서 사용된다. | tetryl |
1071 | 테트릴뇌관 | "혼성뇌관" 참조 | |
1072 | 토글 | 블레이크형 조오 크러셔 내에 있는 부속. | toggle |
1073 | 토지수용 | 토지의 수용은 사용과는 달리 공권력에 의하여 광업권자 또는 조광권자에게 사용 목적이 되는 토지를 취득시키는 것이므로, 그 조건은 더욱 엄격하다. 토지의 사용이나 수용을 원할 때 광업권자 또는 조광권자는 관계 서류를 작성하여 산업 자원부 장관(도지사)에게 신청해야 하고, 산업자원부 장관은 토지 소유자나 이해 관계자에게 일정 기간을 정하여 의견을 들은 후 사용 또는 수용을 인정하게 되며, 이 경우 즉시 통지하는 동시에 관보에 고사하게 되어 있다. | 土地收用 |
1074 | 토탄 | 수생식물, 이끼, 식물류 기타 식물 유체의 퇴적물이 생화학적 변화를 받은 것. 석탄화도가 목재와 갈탄과의 중간에 위치한다. 우리 나라에서는 평야지대에서 가끔 발견되기도 한다. | 土炭, Peat |
1075 | 톱 슬라이싱법 | 상부에서부터 갱도 높이만큼의 분층을 한 겹씩 깎으면서 채굴하는 방법인데, 채굴할 때에는 바닥에 널빤지와 철망을 깔아 놓고 하부 분층을 채굴할 때 이 널빤지를 쓰고 진행하게 된다. 이 널빤지와 철망은 하부로 내려 갈수록 상부에서 붕괴된 암석에 대하여 쿠션 역할을 하는 매트(mat)가 된다. 톱 슬라이싱법의 장점은, 채광 실수율이 높고 폐석 혼입량이 적으며, 작업이 안전하다는 점 등이다. 또, 갱목의 소비량이 많고 채굴비가 많이 드는 단점도 있다. | top slicing method |
1076 | 통기 | 탄광 ·광산의 갱내에 통기할 경우 선풍기를 배기갱구(排氣坑口) 가까이 설치하여 갱내의 공기를 배출하고 다른 갱구에서 대기를 흡입하게 하는 방법. 탄광의 주요 선풍기에 의한 통기에 사용되는 방법으로 배기갱구를 폐쇄하고, 다른 선풍기 풍도(風道)를 만들어서 선풍기와 연결하여 이를 통해서 갱 밖으로 배출하도록 한다. 갱내에서 채굴된 석탄은 입기(入氣)갱구에서 반출되는데, 배출통기를 사용하는 갱내에서는 입기갱구를 개방하므로 운반에 불편이 없다. 탄갱(炭坑)의 주요 선풍기에 의한 통기는 대부분 이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배출통기에서는 갱내가 부압(負壓)으로 되기 때문에 항상 채굴자국, 그 밖의 빈 곳에서 가스가 배출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한 번 선풍기를 정지하고 어느 정도 시간이 경과한 후 운전을 재개하면 한때 작업장소의 가스 함유율이 증가할 염려가 있다. | 通氣 |
1077 | 통기갱 | 통기를 위해 사용되는 사갱, 수갱 등을 말한다. | 通氣坑, Air pit |
1078 | 통기갱도 | 통기만을 목적으로 하는 갱도. | 通氣坑道 |
1079 | 통기방법 | 자연 통기법과 기계 통기법이 있다. "자연통기법"은 자행 참조. 기계 통기법의 경우 작업 장소가 깊어지고, 갱내 규모가 커지면 자연 통기법으로는 통기시킬 수 없게 되므로 기계력, 즉 선풍기를 사용하여 통기시키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배기 갱도 쪽에 큰 선풍기를 달아서 갱내 공기를 뽑아 내도록 한다. 갱도 내에 공기가 흐를 때 여러 가지 원인으로 마찰이 생기게 되고, 이로 인하여 압력 강하가 생기게 된다. 갱내 통기의 경우, 이 압력이 강하는 부압으로 표시하고, 단위는 수주로 표시하게 된다. 이 부압이 크면 클수록 선풍기의 용량이 큰 것을 설치해야 하므로, 갱안에 공기가 흐를 때 될 수 있는 대로 마찰이 적도록 할 필요가 있다. 선풍기의 종류는 원심형 선풍기와 프로펠라형 선풍기가 있으나 주로 원심형 선풍기가 많이 사용되고, 다음과 같은 세가지 법칙을 가지고 있다. ①통기량은 선풍기의 회전수에 비례한다 ②선풍기에 생기는 부압은 회전수의 제곱에 비례한다. ③선풍기의 동력은 회전수의 세제곱에 비례한다. | 通氣方法 |
1080 | 통동 | 수평갱도 중에 지표로부터 광체에 도달하여 운반을 목적으로 하는 것. | |
1081 | 퇴적광상 | 퇴적암 사이에 층상을 이루고 있는 광상. 퇴적과정 중에 화학적인 침전, 생물의 작용, 기계적인 침전에 의해 유용광물이 집중되어 형성된다. 퇴적 광상의 종류에는 화학적 퇴적 광상과 유기적 퇴적 광상이 있다. ①화학적 퇴적 광상 하나의 화성암은 그 중에 극히 적은 양이지만 여러 가지 유용 성분을 포함한다. 이러한 암석이 풍화작용을 받아 분해되면 여러 가지 성분의 용액이 만들어질 것이며, 이 용액이 퇴적암의 생성과정에서 한 장소에 특정 성분만을 침전시켜서 광상을 이루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은 퇴적 광상이 생성되려면 여러 가지 성분 중에서 어느 한 성분만이 침전할 수 있는 환경 조건이 갖추어진 곳이라야 한다. 세계적으로 큰 규모의 철, 망간 광상 중에는 이렇게 하여 이루어진 것이 많다. 기후가 건조한 지역에서 수분 증발에 의해 물 속에 포화된 성분의 침전으로 퇴적 광상이 형성되기도 하는데, 암염과 석고 광상이 그 좋은 보기이다. ②유기적 퇴적광상 생물의 사체가 쌓여서 농집된 광상을 말하며, 석회석, 석탄, 규조토 등이 여기에 속한다. 석유도 생물체 자체의 퇴적은 아니지만 그 성분이 생물의 분해 생성물이므로, 그 물질의 근원으로 보면 넓은 의미의 유기적 퇴적 광상에 속한다. 석유는 미생물의 분해 생성물로서 액체로 존재하기 때문에 지하에 이것을 담을 수 있는 적당한 장소가 필요하다. 그 장소로서 습곡의 배사 구조가 좋은 보기라 하겠다. 석탄은 식물이 땅 속에 묻혀 분해되면서 탄소만 남은 것으로서, 처음에는 토탄이 되었다가 보다 큰 압력을 받으면서 산소와 수소의 성분은 적어지고, 상대적으로 탄소 성분이 증가하면서 갈탄, 역청탄, 무연탄 등의 순으로 변해 가는데, 우리나라의 석탄은 대부분 무연탄이다. | 堆積鑛床, sedimentary deposit |
1082 | 퇴적분지 | 지각의 일부에 상당한 장시간과 넓은 지역에 걸쳐 침강이 일어나, 거기에 퇴적이 행하여졌기 때문에 퇴적암이 발달되어 있는 곳을 말한다. | 堆積盆地, Sedimentary rocks |
1083 | 퇴적암 | 기존 암석의 풍화 산물인 쇄설성 퇴적물이나 유기물 또는 용해 물질이 층상으로 쌓여서 굳어진 암석. 퇴적암은 지질시대를 통해 지표면에서 형성되었기 때문에 각 시대에 지표면의 현상을 기록하고 있다. 따라서 지구 역사의 변천을 연구하는데 가장 중요하다. ①풍화작용과 침식 지표는 대부분 토양으로 덮여 있다. 이 토양은 지표에 노출된 암석이 풍화 작용을 받아 작은 알갱이나 점토로 된 다음 썩은 유기물들이 섞인 것이다. 풍화 작용은 물, 공기 등의 작용으로 암석이 부스러지고 광물이 분해되면서 새로운 점토 광물이 생기는 작용이다. 풍화 작용에 의해 생성된 광물 알갱이나 점토는 흐르는 물에 씻기거나 바람에 의해 낮은 곳으로 운반된다. 홍수가 날 때 흙탕물이 내려 가는 것은 토양이 운반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지표를 깎아 내는 것은 침식 작용이라 한다. ②퇴적암의 종류 쌓인 퇴적물이 두꺼워지면 아래에 있는 것은 압력을 받아 다져지면서 굳어지고, 때로는 물에 용해된 물질이 침전하여 알갱이 사이를 메우면서 굳은 | |
1084 | 투굴 | 막장에서 석탄을 떨어뜨리기 위해 이용함. | 投掘, Holing |
1085 | 튜우브 밀 | 지름에 비해 길이가 아주 길며, 시멘트와 같은 미분쇄에 이용된다. | tube mill |
1086 | 트래버스측량 | 다각점(트래버스점)을 연결한 선분의 집합을 트래버스라 하고, 한 기지점(旣知點) A로부터 출발하여 끼인각 B와 거리 S를 측정하여 차례로 다각점의 좌표를 구하는 측량방법. 골조측량(骨組測量:기준점 측량)의 하나로, 트래버스측량이라고도 한다. 삼각측량과 함께 골조측량의 주요한 방법이며, 먼 거리를 내다보지 않고도 측정할 수 있으므로 시가지 내에서의 측량이나, 도로의 중심선 측량 등에 많이 이용된다. 이전에는 거리측정이 각측정(角測定)에 비하여 정밀도가 낮고 다각측량이 삼각측량에 비해 정밀도가 낮았지만, 최근에는 정밀도가 높은 광파거리측정기의 출현으로 양자의 정밀도의 차이는 거의 없어졌다. 트래버스를 이루는 방법에는 결합트래버스 ·폐합트래버스 ·개(開)트래버스의 3가지가 있다. 결합트래버스는 삼각점간을 연결하는 것이고, 폐합트래버스는 출발점으로 되돌아와 폐(閉)다각형을 이룬다. 위의 두 방법으로는 오차를 알 수 있지만, 개트래버스는 오차와 과실을 알 수 없으므로 특수한 경우 이외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 多角測量,traverse survey |
1087 | 트랜싯 | 망원경과 눈금판을 갖춘 정밀한 측각기기(測角器機). 삼각측량이나 다각측량 등의 지상측량에 사용된다. 경위의(經緯儀:theodolite)와 본질적인 차이는 없다. 트랜싯은 망원경이 그 수평축의 주위를 회전할 수 있으나 경위의는 회전할 수 없고 대개 컴퍼스도 장치되어 있지 않다. 보통 초단위(秒單位) 이상의 정밀도를 지닌 것을 경위기라고 하고, 그 이하의 것을 트랜싯이라 한다. 망원경·상반(上盤)·하반(下盤) 등으로 이루어진 측량을 위한 상부구조와 정준(整準)을 위한 하부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 transit |
1088 | 트렌치 | 지질 조사나 광상 탐사 때에 노두가 여러 곳에 나타나 있으면 편리하겠으나, 평탄한 지형에서는 표토에 덮인 부분이 매우 넓어 노두가 거의 나타나지 않거나 적게 나타나서 암석의 상태를 충분히 알 수 없기 때문에 표토를 제거하여 노두를 관찰하여야 할 때도 있다. 이와 같이, 표토를 제거하여 노두가 보이게 하는 작업을 트렌치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광체의 주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사람이 들어가서 충분히 작업할 수 있도록 홈통 모양으로 표토를 제거한다. 표토가 두꺼울 때에는 우물과 같이 수직으로 표토를 뚫고 내려가는 시정 탐사를 하기도 한다. 시정 탐사는 일종의 갱도 탐사라고 할 수도 있는데, 갱도로 탐사하는 경우는 과거 광산에서 많이 시행되었으며, 채광에 앞서서 광량을 확보하기 위하여 주로 실시된다. 갱도 탐사는 수직, 수평 또는 경사진 갱도로 실시되며, 광맥에 대하여 나란히 또는 직각으로 시행한다. 갱도로 굴진하는 탐사에 비하여 시추가 경제적이고 신속하기 때문에 흔히 시추 작업으로 땅 속의 광석이나 암석 상태를 알아보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 trench |
1089 | 트로멜 | 베벨 기어에 의하여 회전하는 트로멜로서, 체눈이 세가지의 크기로 구분 되어 있다. 이 기계에 광석을 넣어주면 트로멜의 눈을 통과한 세 가지 산물이 나오고, 통과하지 못한 산물은 맨 끝으로 나온다. | trommel |
1090 | 트리니트로톨루엔 | 톨루엔의 수소 3개를 니트로기(基)로 치환한 화합물. 화학식C7H5N3O6. 많은 이성질체(異性質體)가 알려져 있는데, 이들 중에서 2,4,6-트리니트로톨루엔은 폭약으로 알려졌으며, 특히 TNT라고 한다. 분자량은 어느 것이나 227.14이다. 1863년 독일인 빌브란트가 개발한 TNT는 담황색의 주상(柱狀) 결정이며 비중 1.654이다. 물에는 거의 녹지 않으나, 뜨거운 에탄올에는 100 g에 약 1.6 g 녹으며, 재결정을 할 수가 있다. 벤젠에는 쉽게 녹고, 에테르에도 상당히 녹는다. 톨루엔을 황산과 질산의 혼합물에 의해서 니트로화시켜 만든다. 니트로화는 공업적으로 세 단계로 나누는데, 제1단계에서는 제2단계의 폐액(廢液)을 사용하여 톨루엔에서 o- 및 p-니트로톨루엔을 합성한다. 제2단계에서 이것을 디니트로벤젠으로 변하게 하고, 이어서 제3단계에서 트리니트로톨루엔을 얻는다. 이와 같이 합성한 제품은 소량의 2,3,4- 및 2,4,5-의 이성질체를 함유하므로, 아황산나트륨의 5 % 수용액과 함께 처리하여 순수한 것을 얻는다. 폭발력은 다른 이성질체에 비해서 아주 우수하다고는 할 수 없으나, 안정되고 독성(毒性)이 적으며 금속에는 작용하지 않으므로 군용폭약 외에 공업용으로도 사용된다. | trinitrotoluene |
1091 | 트리콘비트 | 회전식 시추원리를 가진 비트로서 3개의 다리에 원뿔의 뾰족한 쪽이 다리의 안쪽으로 가도록 3개의 원뿔을 결합시킨 모양으로 되어 있다. 각 원뿔은 톱니 모양으로 울퉁불퉁한 표면이 서로 맞물고 있어서 로드가 회전할 때 암석과의 마찰에 의하여 원뿔의 한부분이 회전하는 힘을 받으면 3개의 원뿔로 모두가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천공할 때에 이 원뿔이 축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게 되면 원뿔 표면의 원주 속도가 각기 달라진다. 따라서, 표면의 울통불퉁한 톱니는 암석에 심한 마찰과 다소의 충격을 주기 때문에 구성을 뚫는 효율이 대단히 높다. | |
1092 | 특례구역 | 광업권자 또는 조광권자는 갑종 탄광에서 그 작업 구역의 일부에 대하여 가연성 가스에 대한 조치를 취할 필요가 없다고 인정할 때에는 사무소장에게 갑종탄광에 적용되는 규정의 전부 또는 일부의 적용 배제를 요청할 수 있으며, 사무소장은 그 신청이 타당하다고 인정되면 구역(특례구역)과 조건을 정하여 이를 승인할 수 있다. 광업권자 또는 조광권자는 특례 구역의 승인을 받은 구역에서는 승인 조건에 따라 조치를 취하여야 하며, 광산 종업원은 그 조건을 준수하여야 한다. | |
1093 | 티탄 | 금홍석(TiO2)으로서 존재하며, 주로 화학 공업의 원료로 페인트, 제지, 플라스틱 제품 등에 많이 이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경금속 재료로 항공기 제작에 수요량이 증가하여 티탄의 소비가 늘어가고 있다. 티탄 원소는 여러 가지 광물 암석 중에 소량으로 함유되어 있으나, 티탄의 주요 원료 광물로는 티탄철석(FeTiO3)과 금홍석(rut-ile:(TiO2)등이 있다. 티탄철석의 매장량이 많은 나라는 미국, 캐나다, 남아프리카 연방, 인도 등이며, 금홍석의 부존이 많은 나라는 브라질, 우루구아이, 시에라리온, 인도, 오스트레일리아 등이다. 금홍석의 전세계 생산량은 약 300만톤 이며, 우리나라 서해의 소연평도에 티탄철석 광산이 있으나, 미세한 광물 알갱이의 조직을 처리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아직 생산하지 않고 있다. | titanium : Ti |
1094 | 파·분쇄 | 광석을 필요에 따라서 큰 것을 잘게 부수는 과정으로서 조쇄, 중쇄 및 분쇄의 세가지를 파·분쇄라 하는데, 광물을 선별하려면 먼저 파·분쇄하여야 한다. | 破·粉碎 |
1095 | 파아렌왈드부선기 | 부유선광기의 하나로서 달리 덴버 서브 A 부선기라고도 부른다. 대체로 광액속에 공기를 넣어서 기포를 발생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 |
1096 | 파아팅 | 석탄을 채굴할 때 석탄층 중에 섞여 있는 암석. | Parting |
1097 | 팬 컨베이어 | 갱도 운반이나 막장 운반에서 많이 쓰인다. 갱도가 심하게 굴곡되어 있는 경우, 다른 컨베이어로는 여러 가지 어려운 점이 많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불편을 보완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다. | |
1098 | 페그마타이트 광상 | 페그마타이트는 심성암이 생성될 때 가장 후기에 생긴 관입암. | Pegmatite deposit |
1099 | 페로실리콘 | 철과 규소의 합금. 페로규소 또는 규소철이라고도 한다. 순수한 철은 투자율(透磁率)은 높지만 전기전도도(電氣傳導度)가 좋으므로, 변압기 ·모터의 철심에 사용하면 교류자기장(交流磁氣場)에서의 에너지 손실(철손)이 크다. 규소를 α철 속에서 고용(固溶)시키면 투자율이 높은 채로 보자력(保磁力)을 적게 할 수 있고, 전기저항이 증가하므로 에너지의 손실이 감소된다. 규소를 너무 많이 가하면 박판(薄板)으로 성형가공하기가 어려우므로 보통 규소량을 1~5%로 하고, 1.6% 이하를 B급, 3% 전후를 D급, 4% 전후를 T급이라 한다. 자화(磁化)하기 쉬운 방향을 맞추기 위해 강하게 냉간가공(冷間加工)한 이방성(異方性) 규소철판이 있다. 이것도 철손을 감소시키므로 변압기의 소형화를 위해 도움이 된다 | 硅素鐵, ferrosilicon |
1100 | 페블밀 | 볼 밀의 볼 대신에 둥근 차돌을 사용한 것이다. 둥근 차돌은 볼보다 가볍고 분쇄력도 약하므로, 요업 원료 광물의 분쇄 등에 많이 사용된다. 밀 원통 내면의 라이나는 원통 내면을 내장석으로 덮고 시멘트로 굳힌 사일렉스 라이닝(silex lining)을 한다. | |
1101 | 펠식암 | "무색암", "산성암" 참조 엷은 색깔을 띠며 주로 석영·장석으로 구성된다. 화학조성 중 실리카(이산화규소)의 양이 많은 화성암의 총칭. 유문암이나 화강암에는 실리카(이산화규소) SiO2의 무게 백분율이 70% 이상이다. 산성암에서는 실리카와 함께 Al2O3, Na2O, K2O 등도 다소 많지만 FeO, MgO, CaO 등은 적다. 산성암이 완정질(完晶質)인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석영이나 장석의 양이 흑운모나 각섬석의 양보다 훨씬 많아져 암석 전체의 색이 밝게 보인다. 보통의 현무암 마그마는 결정분화(結晶分化) 작용에 의하여 염기성의 조성으로부터 점차 산성으로 변화한다. 여기서 산성이라는 것은 화학에서 쓰는 산성이란 뜻과 다르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산성이란 말을 쓰지 않고 규장질(硅長質)이라고 하기도 한다. | Felsic |
1102 | 편광 현미경 | 광물의 광학적 성질을 조사하기 위한 특수 현미경. 얇게 연마한 시료편(試料片)에 편광을 통과시켜 그 광학적 성질을 조사하기 위한 특수한 현미경이다. 광물현미경(광물용 편광현미경) 또는 암석현미경(암석용 편광현미경)이라고도 한다. 즉, 단지 시료의 미소부분을 확대할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광물에서는 그 광물종(鑛物種)의 결정이나 결정형의 판별, 또는 공존하는 다른 광물이나 결정과의 관계를 조사할 수 있다. 구조상 다른 광학현미경과 다른 점은 2개의 편광장치, 즉 편광자(偏光子:polarizer)와 검광자(檢光子:analyzer)를 가지고 있으며, 재물대(載物臺:stage)가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는 점이다. 필요에 따라 편광자의 하부에 집광기(集光器:condenser), 대물경 상부에 제2의 대물렌즈(Bertrand’s lens)를 장착할 수 있다. 편광자와 검광자는 보통 편광면을 서로 90°로 어긋나게 놓이며, 재물대에 시료가 없을 때는 편광자를 통과한 직선편광이 검광자를 통과할 수 없어 시야가 어둡다. 그러나 광학적으로 이방성(異方性)을 갖는 시료를 놓으면 직선편광이 시료를 통과하여 원편광(圓偏光)이 된다. 이것이 검광자를 통과함으로써 서로 수직인 직선편광이 어느 광로차를 가지고 합성되어 시야에 그것에 의한 간섭상(단색광인 경우는 명암의 상, 백색광인 경우에는 간섭색으로 빛깔이 붙은 상)이 나타난다. 검안법에는 오소스코프와 코노스코프의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오소스코프에서는 콘덴서와 버트런드렌즈는 사용하지 않는다. 오소스코프 중 검광자를 빼고, 보통의 현미경과 마찬가지로 시료 전체의 모양이나 빛깔 및 다른 광물종과의 공존상태를 조사하는 것을 개구(開口) 니콜법(또는 평행 니콜법)이라 하며, 검광자를 넣고 간섭상을 관찰하여 빛의 흡수성 ·굴절률 등을 판정하는 것을 십자 니콜법(또는 直交 니콜법)이라 한다. 이에 대하여 코노스코프에서는 집광기(코노스코프용 콘덴서)에 의해 개구수를 크게 하여, 시료편이 있는 위치에 각 방향의 입사광을 비추었을 때의 간섭상을 관찰한다. 광축이 표면에 수직이 되도록 연마한 것을 시료로 하면, 다른 입사각에서는 서로 간섭하는 편광의 광로차가 다르므로, 대물렌즈의 초평면(焦平面)에 명암의 동심원에 명암의 십자를 겹친 상[實像]이 얻어지며 그 상을 해석함으로써 시료의 광학적 성질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의 실상이 작으므로, 보통 버트런드렌즈와 접안렌즈를 조합시켜 확대한다. 편광현미경은 원래 암석이나 광물의 연구용으로 발달한 것으로, 최근에는 무기물이나 유기물 결정 외에 비정질(非晶質)에도 이용하게 됨으로써 화학공업 방면에도 넓은 용도를 가지고 있다. | 偏光顯微鏡,polarization microscope |
1103 | 편리 | 변성작용에 의해 생긴 암석 중의 면 구조를 말한다. 그 면에 따라 암석이 벗겨지기 쉽게되던가 혹은 기둥 모양, 판 모양의 구성 광물이 그 면 위에 배열하고 있는 일이 많다. | 片理, Schistosity |
1104 | 편마암 | 입자 모양의 광물이 풍부하며 조립, 담색 부분과 기둥 모양, 나뭇잎 모양, 광물이 풍부한 암색 부분이 줄모양 구조를 이루고 있는 암석을 말한다. | 片麻巖, Gneiss |
1105 | 편암 | 광역변성작용에 의해 생긴 변성암. 달리 결정편암이라고도 한다. 육안으로 광물 입자를 알 수 있을 정도로 거친 모양의 것을 가리킨다. 그러나 실제로는 아주 세립(細粒)의 것을 포함하여, 엷은 판 모양으로 쪼개지는 성질(片理 또는 劈開)을 가진 변성암을 총칭하기도 한다. 광물조성은 변성작용 때의 온도 및 압력과, 원암의 화학적 성분비에 따라 결정된다. 이질(泥質) 또는 사질(砂質)인 퇴적암이 저온에서 변성작용을 받으면 백운모 ·녹니석 ·조장석 등을 포함한 결정편암이 생기고, 고온에서는 흑운모 ·남정석 ·석류석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결정편암이 된다. 한편 현무암이나 안산암 등 염기성 화산암으로부터는, 저온에서는 녹니석 ·녹렴석 ·녹섬석 등으로 이루어진 녹색편암이 생기고, 고온에서는 각섬석이나 사장석을 주성분으로 하는 각섬암이 생긴다. 압력이 높은 경우에는 비취휘석 ·남섬석 ·로소나이트 등의 고압광물을 함유하는 조성(組成)이 생긴다. 결정편암은 광역변성작용의 산물이어서, 변성대(變成帶)라는 광대한 띠 모양의 지역에 분포한다. 스칸디나비아반도에서 스코틀랜드에 이르는 지대(칼레도니아 조산대), 중부 프랑스에서 중부 독일에 이르는 지대, 미국의 애팔래치아 산지, 알프스 ·히말라야(알프스 조산대) 등이 대표적인 지역으로 꼽을 수 있으며, 모두 복잡한 습곡구조를 볼 수 있는 조산대이다. | 片岩,結晶, crystalline schist |
1106 | 평안계 | 북한의 평양 부근에 분포된 석탄층을 포함한 일련의 지층. 석탄기 ·페름기 및 트라이아스기에 걸친 지층, 즉 홍점통(紅店統) ·사동통(寺洞統) ·고방산통(高坊山統) 및 태자원통(太子院統:綠岩統이라고도 한다)을 묶어서 일컫는 지층명이다. 시간층서적 지층명이나 이 계(系)의 명명 당시(1924)에는 엄격한 시간적 ·층서적 의미가 없었다. 한 계는 표준층서 구분의 한 기에 해당하는 지층으로 하는 것이 좋으나, 3기에 걸친 지층을 평안계로 한 것은 현대적인 뜻에서 좋지 않으므로 새로운 지층명이 시도되고 있으며 평안계라는 명칭은 없어질 추세이다. | 平安系,Pyeongan system |
1107 | 폐광대책비 | 정부가 비경제탄광의 정비를 위해 정한기준(고시)에 해당되는 석탄광으로서, 석탄광업자가 광업권 또는 조광권의 소멸등록을 마친 때, 퇴직근로자 및 석탄광업자 및 폐광지역 주변환경을 복구하기 위해 지급하는 금액으로 광업자 대책비(광산시설의 이전·폐기 지원), 근로자 대책비(폐광이직자의 생활안정), 광해복구(폐광후 주변환경을 오염시키는 폐시설물, 훼손산림, 탄광폐수 및 지반침하 등의 복구)등이 있다. | 廢鑛對策費 |
1108 | 폐광지역 | 탄광이 소재 하거나 소재하고 있는 지역과 그 인접지역으로서 폐광 또는 석탄생산의 감축에 따라 지역경제가 현저히 위축되어 있는 지역을 말한다. | 廢鑛地域 |
1109 | 폐광지역대체산업 | 석탄산업에 대체하여 폐광지역 주민의 소득을 증대시키거나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산업을 말한다. 경북 문경시의 경우 폐광업소 주변에 석탄박물관을 위시한 각종 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음. | 廢鑛地域對替産業 |
1110 | 폐광지역진흥지구 | 산업자원부 장관이 페광지역 중 다른 산업의 유치가 곤란한 지역의 경제를 진흥시키기 위하여 지정한 지역을 말한다. | 廢鑛地域振興地區 |
1111 | 폐석 | 광산, 채석장에 있어서 채광(채탄), 선광(선탄)의 과정에서 선별의 결과 폐기된 암괴, 암편이나 슬라임 또는 산물(최후의 광미), 버럭 이라고도 한다. | 廢石, Refuse, Waste, Tailing |
1112 | 폐수 | 선광(선탄)장, 제련장, 기타 광산의 제반 시설 등에 사용하여 폐기되는 물을 말한다. | 廢水, Waste water |
1113 | 포말 부선법 | 시약에 의하여 물기를 싫어하는, 소위 소수성 광물 알갱이들이 기포에 붙어 포말을 이루어 수면에 떠올라 두꺼운 포말층을 이루고, 그렇지 않은 광물 알갱이들은 물 속에 가라앉아 있기 때문에 나누어지는 방법이다. | |
1114 | 포수제 | 부착효과를 높이는 시약으로서, 나트륨잔테이트 ·에틸잔테이트 등이 있다. | 捕收劑 |
1115 | 폭약 | 화약류 중에서 폭발반응이 신속하고 폭굉(爆轟), 즉 충격파를 수반하여 폭발을 일으키는 것. 화약은 폭발적으로 연소하며 충격파를 발생하지 않으므로 구별된다. 기폭약·화합화약류·혼합화약류 액체 폭약·다이너마이트류로 크게 나뉜다. 기폭약에는 풀먼산수은[雷汞]·아지드화납 등이 있다. 또 화합화약류에는 니트로글리세린·니트로셀룰로오스 등의 질산에스테르, 트리니트로톨루엔·피크르산 등과 같이 니트로기(基)를 3개 이상 가지는 폴리니트로 화합물, 질산요소·니트로구아니딘·트리메틸렌트리니트라민(헥소겐) 등의 니트라민 및 아민질산염 등이 있다. 혼합화약류에는 질산암모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질소암모늄 폭약, 염소산칼륨을 주성분으로 하는 염소산칼륨 폭약, 과염소산암모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칼릿(과염소산 폭약) 등이 속한다. 또 액체폭약은 혼합화약류의 일종이며 액체산소와 질산 등의 액체산화제를 주성분으로 한다. 다이너마이트류에는 화합화약류만으로 된 것 외에 화합화약류와 혼합화약류의 2가지 혼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있다. | 爆藥,explosives |
1116 | 표토두께 | 지하 탄층의 어떤 개소로부터 지표까지의 지층의 수직 두께를 말한다. | Thickness of overburden |
1117 | 풍화작용 | 지표 또는 그 근처에서 암석을 물리적, 화학적으로 변화시키거나 분해하는 작용을 말한다. | 風化作用, Weathering |
1118 | 풍화잔류광상 | 풍화작용에 의해 원지에 유용광물이 농집하여 생긴 광상을 말한다. | 風化殘留鑛床, Residual deposit |
1119 | 하계저탄 | 연탄공장으로 하여금 비수기(3월∼9월)에 무연탄을 구매·저탄할 수 있도록 필요한 자금을 융자·지원함으로서 월동기 연탄수급 안정 확보와 탄광의 무연탄 생산·판매 및 수송의 연중 평준화를 통하여 석탄산업의 건전 육성과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시행한 제도(1999년 중지)를 말한다. | 夏季貯炭 |
1120 | 하반 | 층상이나 단층의 하부측 암반을 말하며, 상반에 비해 견고하여 통상 갱도를 하반 중에 굴착한다. | 下盤, Foot wall |
1121 | 하저차입금 | 하계저탄자금 중 대한석탄공사가 생산한 무연탄구매자금을 지원하기 위하여 대한석탄공사가 정부로부터 차입한 자금을 말한다. | 夏貯借入金 |
1122 | 하천골재 | 강바닥 또는 하천부지내에서 채취하는 자갈과 모래인데, 여기에서 하천의 범위는 강 또는 하천의 상류부터 하류까지 포함한다. | 河川骨材 |
1123 | 한계탄광 | 고비용, 저능률 구조의 경제성이 없는 탄광을 말한다. 반대로 산형으로 되어 있는 부분을 배사(背斜)라고 한다. 또 향사의 골짜기 바닥에 해당하는 부분을 연결한 선을 향사축, 그 향사축의 양쪽 사면에 해당하는 부분을 향사익(向斜翼)이라고 한다. | 限界炭鑛 |
1124 | 한국의페름기 | 한국의 페름기 지층은 사동통(寺洞統)과 고방산통(高坊山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남한에서는 사동통의 하부가 석탄기에 속해 있어서 사동통을 전적으로 페름기라고 할 수가 없다. 따라서 석탄기에 속한 사동통 부분은 검천층(黔川層:黔川統)으로 나뉘고 나머지 부분은 밤치층(밤치통)과 장성층(長省層:長省統)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남한에서 사동통이라는 통이름을 쓸 때에는 소위 사동통(所謂寺洞統)이라 하여 정통적인 사동통(페름系로만 이루어진 것)과 구별한다. 검천층 위에는 결층을 두고 페름계, 즉 밤치층과 장성층이 놓인다. 장성층 위에는 국부적인 부정합을 두고 이른바 고방산통이 놓인다. 이는 현재 3분 되어 아래에서 위로 함백산층(咸白山層) ·도사곡층(道士谷層) 및 고한층(古汗層)으로 구분되어 있다. 이들은 하위의 밤치층 ·장성층과 합하여 철암층(鐵岩層:한국의 페름系를 의미한다)이라 불린다. 한국의 페름계는 동고층(東古層:전의 綠岩統)에 의해 부정합으로 덮이는데 이는 중생대의 트라이아스계로 생각된다. 밤치층은 영월탄전과 은성탄광의 지하갱 내에만 분포되고 다른 곳에는 없다. 여기서는 Pseudoschwagerina, Pseudofusulina, Schwagerina가 산출된다. 장성층에는 석탄층이 협재되어 가행(稼行)되고 있으며 많은 페름기 식물화석을 포함한다. | |
1125 | 해성층 | 지층을 퇴적환경에 의하여 크게 나누면 육성층(陸成層)과 해성층으로 구별할 수 있다. 상식적으로는 그 지층이 해생생물의 유해를 함유하는 경우에 그 지층을 해성층이라 하는데, 생물의 유해를 전혀 함유하지 않는 경우라도 암상(岩相)이나 지층에 함유되어 있는 광물로부터 해성층이라고 판명되는 일이 있다. 일반적으로 천해(淺海)에 퇴적한 천해성층은 육지로부터 운반된 자갈이나 모래·진흙으로 이루어지며, 파도나 해류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다. 또 심해에 퇴적한 심해성층은 점토와 같은 세립물질이나 플랑크톤의 유해 등이 오랜 시간에 걸쳐 퇴적된 것이다. | 海成層, marine deposit |
1126 | 해양지질학 | 해수의 운동과 물성(物性)에 관하여 연구하는 해양물리학, 수질을 다루는 해양화학, 플랑크톤과 많은 생물을 주로 다루는 해양생물학, 해저지질과 지각구조를 다루는 해양지질학 및 해양지구물리학 등이 포함되어 있다. 영어명 oceanography에서 알 수 있듯이 지리학적인 의미를 포함한 학문이지만,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 관측기의 개발로 인해 해양의 동적(動的) 현상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발전하여 왔다. 현재의 해양관측은 관측기를 주체로 하여 행하여지며, 어떤 때는 몇 척의 관측선이 공동으로 관측하면서, 동역학적인 현상을 연구하고 있다. 또 관측탑 ·부표 등을 이용하여 연속관측도 하고 있으며, 항공기나 인공위성 등도 이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학문의 발전과 함께 많은 경계영역의 문제가 해양학의 대상이 되고 있다. 예를 들면 증발과 파(波)의 발생 등은 기상학과의 경계영역의 문제이다. 해상에서의 중력분포, 해저로부터의 지열류(地熱流)의 측정 등은 지구물리학과 관련이 있다. 또 해양의 생산력에 관한 문제로 생화학 · | |
1127 | 해외광물자원조사간접사업 | 해외광물자원개발사업자가 시행하는 탐광조사 및 사업타장성조사로서 대한광업진흥공사가 보조금의 예산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거 간접보조사업자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사업을 말한다. | 海外鑛物資源調査間接事業 |
1128 | 해외광물자원조사직접사업 | 보조금의 예산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거 대한광업진흥공사가 보조사업자로서 행하거나 대한광업진흥공사 법에 의거 자체사업으로 실시하는 자료정보수집 및 발간, 자원정보조사, 광산조사, 자원개발협력기초조사와 용역조사 및 공사가 주도하는 기술교류 등을 말한다. | 海外鑛物資源調査直接事業 |
1129 | 해저자원 | 육상의 지하 자원은 유용한 것이기 때문에 장기적인 자원 확보의 방안으로 인류는 지구 표면의 70%를 차지하는 바다 밑의 부존 자원 개발을 시작하였다. 바닷물 자체에서도 소금, 마그네슘, 칼륨 등을 추출할 수 있으므로 바닷물도 자원이라 할 수 있다. 북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연안, 영국의 북해, 중동의 페르시아만, 남아메리카의 베네수엘라 해안 등지에서는 해저 유전을 개발하여 원유를 생산하고 있으며, 우리 나라는 서해와 남해에서 유전 탐사를 계속하고 있다. 수심 200m 미만의 대륙붕의 면적이 우리 나라 근해에서는 우리 국토의 2배 이상이 되므로 앞으로 탐사의 대상으로 기대된다. 해저자원으로 중요시되는 것은 심해저에 있는 망간 단괴이다. 이는 망간을 주성분으로 하여 철, 니켈 등의 금속을 함유하고 있는 공 모양의 침전물로서 태평양과 대서양저에 넓게 분포되어 있다. 이를 값싸게 채취할 수 있게 되면 엄청난 양의 새로운 자원을 얻게 되는 것이며, 망간의 경우는 전세계 수요량을 수천 년 공급하고도 남을 것으로 추정된다. 대륙붕의 해저 퇴적물로 얻어지는 자원 중에는 모래, 자갈, 철, 티탄, 지르곤, 주석, 다이아몬드 등이 있다. 현재까지 해양은 어류, 해초 등의 생물 자원의 대상이었지만, 앞으로는 바닷물에 용해되어 있는 화학적 자원 및 해저 퇴적물, 그리고 해양 지각 중에 있는 지질학적 자원이 개발 대상이 될 것이다. | 海底資源 |
1130 | 핵연료 | 우리나라에서도 원자력 발전소가 현재 가동되고 있으며, 또 계속 건설 중에 있어, 앞으로 전력의 주종이 원자력 발전으로 전환될 시기가 멀지 않았다. 이에 따라 원자력 발전의 원료가 되는 우라늄은 수요가 증가할 것이며, 핵연료는 가장 중요한 에너지 자원이 될 것이다. 그러나, 구미 선진국에서는 방사능 폐기물의 처리 문제 때문에 원자력 발전소의 증설이 보류되고 있다. 1980년 통계에 의하면 전세계 원자력 발전소는 240기가 가동중이며, 208기가 건설 중에 있다. 우리 나라에서는 경상 남도의 고리와 경상북도의 월성, 울진, 전라남도 영광등에 가동 중이다. 핵연료 자원은 우라늄 외에도 토륨, 베릴륨, 지르코늄, 세슘 등이 있으나 현재는 우라늄만이 이용되고 있다 우라늄은 천연 상태에서 U238 U235 U234가 공존하는데, 그 중 U235(전체의 0.75%)가 원자력 발전에 이용된다. 천연산의 우라늄은 여러가지 화합물도 산출되는데, 원광석을 처리하여 U3o8형태로 만든 것을 옐로우 케이크라 하며, 원자로에 넣을 때에는 UF6현태로 농축시켜야 한다. 우라늄의 매장량이 많은 나라는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남아프리카, 니제르 등이며, 우리 나라의 충청북도 보은을 중심으로 한 지방에 저품위의 우라늄 광상의 부존이 확인되어 있는데 많은 양의 매장량이 기대된다. 이 지역의 탐사가 현재 진행중이며, 개발 이용에 대한 연구도 추진 중이다. | 核燃料 |
1131 | 향사 | 습곡의 파도 중 골짜기에 해당되는 부분의 자태를 말한다. 어떤 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길이에 걸쳐 연속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 向斜, Syncline |
1132 | 현대화개발기술 | 현대화개발의 주목적인 생산성 향상을 기할 수 있는 갱도의 대규격화와 지보 기술, 대규모 채광과 다량적재 및 운반체계 설계기술 등을 말한다. | 現代化開發技術 |
1133 | 현대화시설 | 무(無)궤도 운반 개발방식에 사용되는 시설로서 천공, 적재 및 운반의 대형화로 생산성 향상을 기할 수 있는 점보드릴, 마인(mine)트럭(40∼100톤), LHD(적재기), 화약장전기, 장공천공기 등을 말한다. | 現代化施設 |
1134 | 현지암 | 암석 내에 역학적 결함을 포함하고 있는 상태의 암석을 말한다. 현지암은 암반의 강도나 변형 이외에도, 현지 암반에 발달한 절리와 층리 또는 풍화의 정도에 따라 분류하기도 한다. | |
1135 | 혐기성석회석수로 | 산성광산폐수가 석회석과 접촉하면서 산성수를 중화시키는 기능을 말한다. | 嫌氣性石灰石水路, ALD; Anoxic limestone Drainage |
1136 | 형석 | 화학성분은 CaF2이다. 육면체의 결정을 나타내며, 때로 팔면체의형태를 이루는데, 그 밖에도 결정질의 덩어리나 입상의 집합체를 이룬다. 굳기 4, 비중 3.1∼3.2이다. 쪼개짐은 팔면체에 완전하고, 무르다. 청록색 또는 보라색인 것이 많고, 그 밖에 무색 ·흰색 ·녹색 ·청색 ·황색 ·홍색 ·갈색 ·검정 등의 여러 가지 빛깔을 띤다. 또한 고체 속에 두 가지 빛깔이 섞여 나타나는데, 특히 결정체인 경우는 누대(累帶)를 나타내기도 한다. 투명 또는 반투명하고 조흔색(條痕色)은 흰색이다. 진한 색의 것은 반사광으로 청색, 통과광으로 녹색을 띤다. 가열하면 청색의 인광(燐光)을 방출하며 튕기는데, 이 때의 튕기는 모양이 반딧불이 나는 모양과 같아 형석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흰색 또는 무색의 것 중에는 발광하지 않는 것도 있고, 방해석 중에는 발광하는 것도 있으므로 이것과 혼동하기 쉬운데, 굳기나 쪼개짐, 염산에 의한 발포(發泡)의 유무를 조사함으로써 쉽게 구별할 수 있다. 자외선 ·방사선으로도 발광한다. 중국(浙江省) ·러시아(우랄) ·영국(콘월) ·독일(작센) ·체코(보헤미아) ·미국(일리노이) 등지에서 많이 산출된다. 강철 ·알루미늄의 제조용, 유리의 부식용, 법랑용(琺瑯用), 납의 전기분해, 광학기기 등 용도가 넓다. 특히 영국 더비셔에서 산출되는 변종인 청색 존(blue john)은 한때 장식용기 외에 여러 용도로 사용되었다. | 螢石,fluorite |
1137 | 호이스트 | 비교적 소형의 화물을 들어 옮기는 장치. 광산·창고·철도역 등에서 화물의 운반이나 공장에서의 기계분해 ·조립에 사용된다. 원동기 ·기어감속장치 ·감기통 등을 한 조로 하고 권상용(捲上用) 로프 끝에 훅(hook)을 장치하여 화물을 들어올린다. 감기통을 손도르래로 움직이게 하는 수동(手動) 호이스트, 전동기를 사용한 전기 호이스트 ·텔퍼(telpher) 등이 있다. 단순히 호이스트라고 할 때는 일반적으로 전기 호이스트를 말한다. 고정되어 있는 것도 있으나 보통은 트롤리와 짝이 되어 I형 레일의 아래쪽 플랜지 위를 주행하게 되어 있다. 전동기는 바닥에서 밧줄로 조작한다. 권상하중은 0.5∼5 t 정도이지만, 그 중에서도 1∼3 t 의 것이 가장 많다. 장거리 주행 ·원방조작의 것에서는 전동(電動) 트롤리가 사용된다. 주행거리가 길 때, 바닥면에 장애물이 있을 경우 등 바닥에서의 조작이 불가능할 때는 운전실을 설치한 텔퍼(공중 케이블)가 사용된다. 이것은 역(驛) 등에서 선로를 타고 넘어 다른 플랫폼에 화물을 운반할 때 등에 사용된다. 탄갱(炭坑) 등 가스가 폭발할 우려가 있는 곳에서는 전기기계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압축공기를 이용해서 감기통을 회전시켜 로프를 감아 올리는 공기 호이스트가 사용된다. 구조에 따라 압축공기로 작동하는 피스톤과 크랭크 기구로 회전력을 얻고, 감속기어로 드럼을 회전시키는 회전식과 피스톤의 운동으로 직접 화물을 들어올리는 직동식(直動式)이 있다. | hoist |
1138 | 혼성뇌관 |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뇌관으로서 관 속에 테트릴을 넣고 그 위에 폭분을 넣은 뇌관이다. 이것을 테트릴 뇌관이라고도 하며, 테트릴은 첨장약이라 하고, 폭 분은 점폭약 또는 기폭제라 한다. 테트릴 뇌관은 뇌홍 뇌관에 비하여 폭분의 사용량이 적으며 위력도 커서, 다른 폭약에 폭굉을 전파하는 능력이 크다. 혼성 뇌관도 10단계로 나뉘어지는데,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6호 뇌관이며, 3호 뇌관과 8호 뇌관도 사용된다. | |
1139 | 혼합다이너마이트 | 액체 상태의 NG는 폭발력은 강하지만 취급과 운반이 어렵기 때문에, NG와 규조토를 70∼75%:25∼30%의 비율로 배합하여 규조토 다이너마이트를 만들었으나,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스트레이트 다이너마이트는 질산나트륨에 NG를 흡수시키고, 나뭇가루, 황 등의 가연성 물질을 배합하여 제조한 것을 말한다. | |
1140 | 혼합화약류 | 혼합 화약류는 일반적으로 산소, 질산염, 질소 산화물, 그리고 과염소산 등의 산화제와 가연성 물질로 구성되어 있고, 화합 화약류에 비하여 폭속은 느리지만 충격과 마찰에 민감하기 때문에 폭발하기 쉽다. 이 화약류의 종류에는 질산암모늄 폭약, 칼릿, 흑색 화약, 무연 화약, 그리고 액체 산소 폭약 등이 있다. 질산암모늄 폭약은 주성분인 질산암모늄에 가연성 물질, 감열제, 소염제 등을 혼합한 것으로, ANFO폭약 등이 이에 속한다. 칼릿폭약은 과염소산암모늄을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규소철, 목분, 중유 등을 배합한 것이다. 흑색 화약은 질산칼륨 60∼70%, 황10∼25%, 목탄 10∼20%로 구성되며, 약간의 충격에도 격렬하게 연소하지만 폭발을 일으키지는 않는다. 액체 산소 폭약은 산화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폭발시 발열량과 맹도는 크지만 액체 산소의 저장이나 운반 등 취급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 混合火藥類 |
1141 | 홉킨슨효과 | 폭약이 폭발하면 그 폭굉에 따라 응력파가 발생하고, 이 응력파가 전파되어 자유면에 도달되면 다시 반사되어 암반 속으로 되돌아간다. 이 때, 암석은 압축 강도보다 인장 강도에 훨씬 약하므로(압축 강도의 1/10∼1/20정도), 입사할 때의 압력파에는 그다지 파괴되지 않아도 반사할 때의 인장파에는 보다 많이 파괴된다. 이와 같은 현상을 홉킨슨 효과라 한다. | Hopkinson effect |
1142 | 화강암 | 석영과 장석류를 주성분으로 하는 조립완정질(粗粒完晶質) 암석. 장석은 칼륨장석과 사장석으로 이들의 함량비율에 따라서 화강암을 분류한다. 유색광물은 무색광물에 비해서 매우 적다. 화강암류는 어느 것이나 미량의 인회석 ·티타나이트 ·갈렴석 ·자철석 등을 포함한다. 화강암은 석영 ·칼륨장석(정장석 ·미사장석) 및 사장석의 조합으로 된 삼각도에서 석영의 양이 10~60% 범위에서, 칼륨장석의 전 장석량에 대한 비율이 ① 2/3 이상인 것을 협의화강암[Ⅰ], ② 2/3~1/3인 것을 아다멜라이트(국제지질학회 심성암분과에서는 화강암[Ⅱ]라고 한다), ③ 1/3~1/8인 것을 화강섬록암, ④ 1/8 이하의 것을 석영섬록암으로 세분한다. 유색광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복운모(複雲母)화강암 ·흑운모화강암 ·각섬석화강암 ·투휘석(透輝石)화강암 등으로 세분한다. 조산대(造山帶)의 화강암은 한국의 경기지대 ·영남지대 ·옥천대에서와 같이 광물조성 ·화학조성으로 보아 아다멜라이트나 화강섬록암에 속하는 것이 많고, 경상분지에서와 같이 지괴(地塊)운동에 수반해서 관입한 협의화강암에 속하는 것이 많다. 화강암은 그 산출상태에 따라 ① 큰 관입암체를 이루어 산출되는 것과, ② 점이적(漸移的)인 형태로 명확한 경계를 지을 수 없는 것으로 구분된다. ①의 경우, 평면상에서의 모양은 불규칙하지만 주위의 암석과는 명확한 경계를 짓고 있다. 이와 같은 산상(産狀)의 화강암은 화강암질 마그마가 지각 내에 관입고결(貫入固結)하여 형성된 것이다. 이때 주위의 암석은 마그마의 열로 열변성작용을 받아 각종 혼펠스를 만든다. 한국에는 옥천대 ·경상분지 및 영남 변성암대에 이와 같은 화강암체가 다수 분포한다. 이에 대하여 ②의 경우, 광역변성암지대에서는 복잡구조의 편마암에 조화된 형태로 화강암체가 나타나 있음을 볼 수 있는데, 이들은 서로 점이적으로 변하여 명확한 경계를 긋기가 어렵다. 이와 같은 화강암체는 주위의 암석이 변성작용을 받을 때 화강암마그마가 관입한 것, 주위의 변성암 일부를 동화(同化)하면서 고결한 것이거나, 또는 변성작용이 극한에 도달하여 사암이나 이암(泥岩)의 일부가 용융되어 화강암마그마가 생긴 것으로 추측된다. 이와 같이 과거 퇴적암이 변성을 받아 화강암이 되었다는 학설을 화강암화작용 또는 혼성작용이라 하며, 이와 같은 생각을 가진 학자를 변성론자라고 한다. 이에 대해서 화강암체의 많은 것들은 마그마가 지하 깊은 곳에서 고결한 것이라고 생각하는 학자[火成論者]가 있다. 화강암체의 성인이 이들 중 어느 것이 타당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지질학계에서 중요한 문제로 남아 있다. 스트론튬의 동위원소비(87Sr/86Sr)를 측정함으로써 이 값이 작은 것은 맨틀 기원에 가깝고, 크면 대륙지각(大陸地殼) 기원이라는 판단을 하는 고찰도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앞으로 많은 검토가 필요하다. 화강암은 대양지각(大洋地殼)에는 없고 대륙지각에서만 산출된다. 화강암이라는 용어는 16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J.휴턴과 J.홀(1790)이 명명하여 용어화했다. 라틴어 granum은 입자라는 뜻이다. 화강암의 어원은 중국 남부의 화강이라는 곳에서 이 암석이 산출된 데서 | |
1143 | 화공품 | 중요한 화약류로는 다이너마이트와 무연화약이 있다. 다이너마이트는 니트로글리세린 및 그 유사물을 기제로서 6% 이상 함유하는 폭파약으로서 종류가 매우 많으며, 규조토(珪藻土) 다이너마이트나 질산나트륨과 질산암모늄을 배합한 암모니아다이너마이트 등 혼합화약에 속하는 것도 있다. 다이너마이트는 현재 공업용 화약류 중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무연화약은 혼합화약의 일종으로서 발사제와 로켓 추진제로 사용되고 있다. 기제에 적당한 용제를 가하여 팽윤 용해시킨 다음 용제를 제거하면 치밀한 조직을 가진 화약이 되며, 연소할 때 검은 연기를 내지 않고 고체인 연소생성물도 남지 않는다. 단일기제를 사용한 싱글베이스 휘발성 용제추진제(B화약 등)나 니트로셀룰로오스와 니트로글리세린 등 2종의 기제로 이루어지는 더블베이스 추진제(코다이트 등)가 그 예이다. 화약류가 연소나 폭발을 일으킬 때 필요량의 산소분을 가지고 있지 않거나 연소·폭발의 상황에 따라서는 다량으로 발생하는 질소·이산화탄소·수증기 외에 질소화합물·일산화탄소 등의 유독가스가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가스를 전체적으로 후생(後生)가스라고 하며, 일반적으로는 유독가스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질산암모늄이나 염소산칼륨 등이 산화제로서 과잉으로 배합되어 있다. 또한 갱외용 칼릿의 폭발에서는 염화수소가, 또 황광산(黃鑛山)에서의 폭발에서는 후생가스 속에 황화수소나 이산화황(아황산가스)이 함유되어 있는 일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금속·종이 또는 천으로 만든 용기에 화약류를 넣고 그 연소 또는 폭발에 의해서 다른 화약류를 안전 확실하게 연소 또는 폭발시키는 데 사용하는 각종 화약제품의 총칭이다 | 火工品 |
1144 | 화산쇄설암 | 화산에서 방출된 물질이 기계적으로 집적하여 생긴 암석을 말함. 즉 화산 폭발에 의해 방출된 암편(화산분출물)이 쌓여 고결한 것이다. 방출 때에 고체 또는 반고체일 경우는 암편의 크기에 따라 화산각력암(지름 32mm 이상) ·응회각력암(凝灰角礫岩: 지름 4∼32mm) ·응회암(지름 4mm 이하)으로 나뉘고, 유동체일 경우에는 암편의 모양과 석기의 성분에 의하여 응회집괴암(응회암의 석기+화산탄) ·암재집괴암(岩滓集塊岩:암재의 석기+화산탄) ·용암병(熔岩餠)집괴암(응회암의 석기+용암병)으로 나뉜다. 또 속돌이나 암재만으로 된 암석은 각각 경석응회암 ·암재응회암이라 한다. 응회암의 일종에는 다시 응결응회암이라고 불리는 것도 있다. | 火山碎屑巖, Phroclastic rocks |
1145 | 화산암 | 마그마가 지표 또는 지하의 얕은 곳에까지 올라와 고결된 암석. 분출암(噴出岩)이라고도 한다. 이 곳에서는 마그마의 냉각 ·고결이 빨리 진행되므로 화산암의 대부분은 광물입자가 매우 작은 결정질(結晶質) 또는 유리질이다. 마그마는 지표에 이르기 전에 이미 정출이 일어나, 화산암에 큰 결정이 들어 있으므로 이들은 후에 고결된 세립질의 석기(石基) 내에 포유되어 있다. 이 때 포유되어 있는 큰 결정을 반정(斑晶)이라 하고 이와 같은 조직을 반상조직(斑狀組織)이라 한다. 지표에 분출되는 마그마 중에는 휘발성분이 많이 들어 있어 점성을 증대시켜 큰 결정을 정출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용암의 일부가 고결된 후에도 나머지 부분은 계속 유동하여 고결된 피각은 파괴된다. 그 결과 불규칙한 모양의 암괴 또는 암편을 함유하는 각력암(角礫岩)이 만들어지는데 이를 자파쇄용암(自破碎熔岩)이라 한다. 화산암은 그것을 만드는 마그마의 성질 ·화학성분 ·광물조성 등이 다양하므로 다종다양하게 산출된다. 화산암을 구성하는 광물입자들은 흔히 편광현미경 하에서도 광물을 동정(同定)하기 곤란할 정도로 세립질이고 유리질이어서 화학성분에 의한 분류방법이 많이 쓰인다. CIPW놈 계산법은 화학분석값으로부터 가상적 조성광물을 유도해 내는 것으로, 이 때의 광물을 놈 광물(normative mineral)이라 한다. [그림]은 이산화규소 SiO2와 산화나트륨+산화칼륨 Na2O+K2O 함량의 상관관계에 따라 화산암을분류한 도표이다. 화산암은 알칼리암렬(岩列)과 비알칼리암렬로 크게 구분된다. 비알칼리암렬은 Al2O3, Fe2O3, MgO 등의 함량비에 따라 고알루미나암렬과 톨레이아이트암렬로 세분된다. 즉 화산암은 세 가지 주암열로 분류할 수 있다. 이들의 분포는 조구환경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각 군의 화산암류 중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것은 현무암으로 화산암 전체의 90% 이상을 차지한다. 화산암은 화학조성 및 광물조성에 따라 현무암 ·안산암(安山岩) ·유문암(流紋岩) 등으로 크게 나누어지지만, 이들 사이의 경계는 뚜렷하지 않다. 사장석의 평균조성에 바탕을 두고 분류하려는 학자도 많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이산화규소의 함유량에 따라 산성암 ·중성암 ·염기성암 등으로 구분한다. 광물조성에 의하여 분류할 때에는 석영-알칼리장석-사장석의 삼각도표를 사용하지만 화산암은 흔히 비결정질로 산출되어 조성광물의 모드분석을 하기 곤란하다. 조면암질암은 알칼리암렬에 속하는 것으로 흔히 석영을 함유하지 않으며, 알칼리장석류 중 칼리장석 또는 아노더클레이스를 함유하거나 장석류 대신 준장석류를 함유한다. 한반도에 분포하는 제4기 화산암은 알칼리암렬에 속하는 것으로 백두산은 현무암에서 유문암에 이르기까지, 길주-명천 지구대와 추가령 열곡에는 현무암, 울릉도에는 조면암질 암류, 제주도에는 현무암과 조면암질 현무암이 분포한다. | 火山岩, volcanic rocks |
1146 | 화석 | 지질시대(약 1만 년 전부터)에 생존한 고생물의 유체(遺體) ·유해(遺骸) 및 흔적 등이 퇴적물 중에 매몰된 채로 또는 지상에 그대로 보존되어 남아 있는 것의 총칭. 생물체의 전부 또는 일부가 화석화된 것을 체화석(體化石)이라 하고, 생물의 생활흔적(발자국, 기어다닌 자국 등)이 남아 있는 것을 흔적화석(痕迹化石) 또는 생흔화석(生痕化石)이라고 한다. 화석이란 말은 돌로 변화했다는 뜻이나, 모든 화석이 반드시 돌로 변해 있는 것은 아니다. 지구상에 빙하가 성했던 제4기 빙기에 살던 매머드는 현재는 절멸된 동물이지만, 지질시대에 생존한 동물이기 때문에 완전한 화석이다. 그런데 빙하시대부터 오늘날까지 오랫동안 얼어 있는 시베리아 북부지방 같은 추운 곳의 얼음 속에서 발견된 이 매머드는 몸집이 완전히 보존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살덩이를 개들이 뜯어먹을 수 있을 정도로 생생하게 보존되어 있다. 이 때문에 중국에서는 화석이란 말 대신 강석(彊石)이란 말을 쓰기도 한다. 본래 화석이란 말은 라틴어인 fossilis에서 온 말인데,땅에서 파낸 기묘한 물건’이란 뜻이다. 따라서 처음에는 광물 또는 골동품까지도 화석이라고 하였으나 점차 생물의 유해 ·유적에 대해서만 화석이란 말을 사용하였다. 퇴적물(지층) 속에 오래 묻혀 있는 동안에 고생물의 유해나 유적은 변성작용이나 속성작용을 받아 석화(石化)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석화작용 또는 화석화작용이란 말이 있으며, 여기서 화석이란 말이 나온 것으로 생각된다. | 化石, fossil |
1147 | 화석의성인 | 화석이 만들어지려면 먼저 지질시대의 생물의 번식, 둘째로는 이 생물들이 죽은 후 분해되어 없어지지 않도록 자연조건이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생물의 연약한 조직은 곧 부패해 버리기 때문에 화석으로 남을 만한 굳은 껍질이나 골격이 있어야 하는 것도 화석의 성인의 한 요소이다. 화석화의 자연조건이란 죽은 생물의 유해가 곧 퇴적물에 덮여 분해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연약한 육질부(肉質部)까지 완전히 보존되려면, 이것이 부패하지 않도록 어떤 천연방부제(天然防腐劑)의 역할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천연방부제로서는 얼음, 건조한 공기, 수지나 천연아스팔트 같은 방부제적 역할을 하는 물질에 파묻혀야 한다. 빙하나 툰드라 같은 것은 자연냉장고적 역할을 하여 동물의 육질부까지를 부패로부터 면하게 할 수 있게 한다. 동물의 시체가 미라 상태로 발견되는 것은 흔히 있는 일이며, 화석으로도 중생대(中生代)의 공룡이나 신생대(新生代)의 포유동물이 미라로 사막에서 발견된다. 수지도 방부제로서 아직 굳지 않은 나무진에 붙은 곤충 등이 수지에 감싸여 완전한 상태로 보존되는 일이 있다. 수지의 화석을 호박(琥珀)이라고 하며, 호박 속의 곤충화석은 북유럽 등지의 신생대 지층에서 많이 발견된다. 또한 석유가 지표로 흘러나와 이것이 증발되어 천연아스팔트층을 형성한다. 이런 것은 북아메리카 서해안 로스앤젤레스 부근에서 발견되는데, 여기서 아스팔트층이 굳기 전에 그 속에 빠져 죽은 많은 포유동물의 시체가 발견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육질부까지 보존되는 일은 매우 희귀한 일이며, 화석으로는 역시 생물의 굳은 부분이 분해작용을 면하여 남는 일이 많다. 최근에는 육안으로는 볼 수 없는 유기물이 지층 중에 남아 있는 것을 화학적 분석으로 알게 되었으며, 이런 유기물 중에는 아미노산이나 당류(糖類)와 같은 생명물질이 포함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화석을 생화학화석(生化學化石)이라고 하며, 생명의 기원이나 지구상에 생존한 시초기의 생물들에 대한 연구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 化石의成因 |
1148 | 화성광상 | 지하에서 마그마가 고결되었을 때 직접 분화하여 생긴 광상. 염기성암(鹽基性岩)속의 크롬철석의 광상 등이 여기에 속한다. 넓은 뜻으로는 마그마에서 생성된 페그마타이트기 ·열기기(熱氣期) ·열수기(熱水期) 등에 생성된 광상도 포함된다. | 火成鑛床,igneous ore deposits |
1149 | 화성암 | 이는 퇴적암 및 변성암과 더불어 암석의 3대 분류의 하나이다. 화성암 연구에서 중요한 과제는 마그마의 발생 ·조성 ·분화 및 고결(固結)에 이르는 과정을 밝히는 화성암 성인론이며, 이것이 암석학의 목적이라고도 할 수 있다. 마그마 고결시의 화학성분, 온도와 압력 및 냉각속도에 의해서 여러 종류의 암상(岩相)이 만들어진다. 화성암은 앞의 두 가지 요소에 의해서 반영되는 광물종과 후의 요소에 의해서 반영되는 결정성장(結晶成長)에 근거한 조직에 의해서 여러 가지로 분류된다. 특히 후자의 경우는 마그마가 지하 심부에서 고결된 것인지, 지표 부근에 관입한 것인지, 지표에 분출한 것인지에 따라서 각각 서로 다른 조직을 이룬다. 화성암은 관입암 및 분출암의 산상(産狀)으로 산출한다. 관입암은 암체의 형성에 따라 저반(底盤) ·암주(岩株) ·병반(餠盤) ·암맥(岩脈) ·암상(岩相) 등으로 구별하며, 이들은 대개 완정질 및 조립질이고 암맥이나 암상은 반정질로서 조립질 반정(班晶)이 세립질 석기(石基)에 섞인 모양을 나타낸다. | |
1150 | 화약 | 고체 또는 액체 폭발성 물질로서 일부분에 충격 또는 열을 가하면 순간적으로 전체가 기체물질로 변하고 동시에 다량의 열을 발생하면서 기체의 팽창력에 의해서 유효한 일을 하는 물질 폭발성 물질이라도 폭발시에 발생하는 에너지를 공업용 등으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없는 것은 화약류라고 할 수 없다. 또 좁은 뜻으로는 추진제(推進劑)를 가리키기도 한다. 화약류의 폭발은 주로 산화반응, 즉 연소에 의해서 일어나는데 연소속도가 빠르고 높은 온도가 되며 급격한 가스팽창에 의해서 음향과 파괴력이 발생하는 현상을 폭발이라고 한다. 그리고 폭발의 전파속도(傳播速度)가 매질 내의 음속보다 커서 강한 충격파를 발생하는 경우를 폭굉(爆轟)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폭발이라는 말은 압력의 급격한 해방을 가리키지만, 화약류의 경우는 폭발로 간주되는 경우라도 폭발속도(정확히 말하면 화염전파속도)가 음속보다 작을 때는 연소라고 한다. 그리고 폭발은 폭굉의 뜻으로 사용되는 일이 많다. 그러나 연소와 폭굉을 합한 것을 폭발이라고 하는 일도 있다. 화약학에서 엄밀히 정의하면, 뒤에 언급하는 흑색화약(黑色火藥)의 폭발은 연소이고 화포(火砲) 내에서의 추진제의 연소는 일반적으로 폭발적이므로 폭연(爆燃)이라고 하는 일이 있으나 폭굉은 아니다. 화약학에서는 연소인 경우의 화염의 전파속도를 연속(燃速), 폭굉의 경우의 전파속도를 폭속(爆速)이라고 한다. 화약류는 법규적으로 화약·폭약·화공품(火工品)으로 분류된다. 연소에 의해서 탄환 등의 물체를 추진시키는 것을 단순히 화약, 파괴적 폭발의 용도를 가진 것을 폭약이라고 한다. 또 다른 분류법으로는 화약류를 파괴약·추진제·화공품으로 분류하고 있다. 파괴약에는 암석의 폭파(發破라고 한다)에 사용되는 파괴약과 폭탄 등을 작열시키는 작약(炸藥:단지 폭약이라고도 한다)이 있다. 추진제는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포탄 또는 로켓의 발사에 사용된다. 화공품은 파괴약이나 추진제에 폭발을 일으키거나(點火·點爆) 전달하는 구실을 한다. | 火藥, gunpowder |
1151 | 화약류재해 | 발파에 의한 재해는 화약류의 취급 부주의로 발생하게 되는 경우가 많고, 발파시 점화를 잘못하거나 경계가 소홀할 때 일어나므로 화약류 취급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
1152 | 화약류저장소 | 화약류는 원칙적으로 화약류 저장소에 저장하여야 한다. 총포·도검·화약류 단속법 시행령(이하 시행령이라함.)에 의한 저장소의 종류에는 1급, 2급, 3급 저장소, 수중 저장소, 실포, 꽃불류, 장난감용 꽃불류 및 도화선 저장소, 그리고 간이 저장소 등 9가지가 있다. 이와 같은 저장소를 설치할 때에는 시·도지사 또는 관할 경찰서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즉, 3급 저장소 및 간이 저장소는 경찰서장의 허가를, 나머지 7가지의 저장소는 시·도지사의 허가를 받아 설치한다. | |
1153 | 화통도감 | 고려시대에 화약 및 화기(火器)의 제조를 맡아보던 임시관청. 1377년(우왕 3) 최무선(崔茂宣)의 건의에 따라 설치하여 대장군(大將軍) ·이장군(二將軍) ·삼장군 ·육화석포(六火石砲) ·화포(火砲) ·신포(信砲) ·화통(火誌) ·화전(火箭) ·철령전(鐵翎箭) ·피령전(皮翎箭) ·철탄자(鐵彈子) ·천산오룡전(穿山五龍箭) ·유화(流火) ·주화(走火) ·촉천화(觸天火) 등의 화기를 제조, 왜구를 격퇴하는 데 사용하였다. 1389년 창왕(昌王) 때 폐지되었다. | 火誌都監 |
1154 | 화학탐광 | 지구화학적인 현상을 수단으로 하여 광상의 예지(豫知) ·지질의 조사를 하는 것. 달리 화학탐사라고도 한다. 전기전도도 ·자기 ·중력 등 물리현상을 이용하는 물리탐사에 대응하는 말이다. 주로 소택수(沼澤水) 등의 자연수 ·토양 ·암석 ·식물 등을 채취하여, 그 속에 포함된 각종 미량성분을 분석함으로써 실시된다. 광상 부근에서는 중금속 ·황산기(黃酸基) 등이 다른 지역에 비하여 다량으로 검출되는 일이 흔히 있다. 이것은 광상이 생성될 때 첨가, 풍화(風化) 등에 의하여 녹아 나온 것이다. 그래서 소택에 따라 채취한 소택수나 일정 구역 안에서 조직적으로 채취한 토양 등에 대하여 분석을 실시하여 미량성분의 이상값[異常値]의 분포로부터 광상의 단서를 얻을 수 있다. 특정원소가 특정광상의 존재를 나타내는 일이 있는데, 이것을 지시원소(指示元素)라고 한다. 지시원소로 널리 사용되는 것은 구리 ·납 ·아연 ·황산기 등이나, 이들이 광상의 주된 금속원소는 아니다. 수은이 금 ·은 광상의 지시원소로, 아연이 아연광상은 물론 금 ·은 ·구리 ·납 ·망간 광상의 지시원소로 사용되는 것이 그 예이다. | 化學探鑛,chemical exploration |
1155 | 화학탐광법 | 광산 근처에 있는 강이나 계곡의 물, 흙, 암석, 식물 등의 시료에는 광산이 없는 곳에서 얻은 시료와는 달리, 그 광산에 관련이 있는 성분을 가지고 있을 때가 있다. 이러한 성분을 휴대용 분석장비를 사용하거나 분석실 장치를 써서 성분과 양을 알아내어, 그 결과를 지도 위에 기입하여 등농도 곡선을 그려 광상이 있는 곳을 알아 내는데 이러한 탐광법을 화학 탐광 또는 지구 화학적 탐광이라 한다. | 化學探鑛法 |
1156 | 화합화약류 | 화합 화약류는 1개 분자가 화약류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서, 불완전한 분자 간의 결합 상태가 분해될 때 많은 열을 내며 폭발한다. 이들의 분자 구성을 살펴보면, 분자들은 N-O결합, N-N결합 등 폭발성 구조를 가지고 있다. | 化合火藥類 |
1157 | 확정광량 | 석탄매장량 계산기준(KS E 2002호)용어로서 확인된 탄층 연장 좌우 인접부 2개편(60∼200m)이내 확정구역내의 석탄매장량을 말한다. | 確定鑛量, Proved ore reserve |
1158 | 환경안전 | 광산에서는 대부분이 지하에서 작업을 하게 되므로 다른 산업에 종사하는 노동자보다 훨씬 많은 재해의 위험을 안고 있다. 재해의 종류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가장 높은 재해율을 나타내는 것이 갱내 낙반과 각종 운반에 의한 재해이다. 광산 재해 중에는 비교적 자주 일어나지만 재해자 수가 적을 때에는 빈발성 사고라 하고, 한번 사고가 일어나면 많은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주는 경우를 대형 사고라 한다. 낙반이나 운반에 의한 사고는 빈발성 사고가 많고, 가스 폭발이나 탄진 폭발 등은 대형 사고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으며, 운반에 의한 사고도 사갱에서 인차의 로우프가 끊어지거나 핀이 파손되면 큰 사고를 내게 되는 수도 있다. 광산의 환경 안전은 무엇보다 중요하며, 귀중한 인명과 재산의 피해가 없도록 보안 시설과 교육을 철저히 하여 재해를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 環境安全 |
1159 | 활석 | 단사정계(單斜晶系)에 속하는 광물. 굳기 : 1, 비중 : 2.7∼2.8 색깔 : 백색 ·은백색 ·담녹색, 암녹색 ·갈색 조흔색 : 백색 화학성분은 Mg3(OH)2Si4O10이다. 때로는 인상(鱗狀) ·엽편상(葉片狀)을 이루는데, 대부분 치밀질의 집합체이다. 엽편은 휘기 쉽지만 탄성은 없다. 백색 ·은백색 ·담녹색, 때로는 암녹색 ·갈색이고, 엽편의 것은 투명하거나 반투명하며, 괴상의 것은 거의 불투명하다. 조흔색(條痕色)은 백색이며, 굳기 1, 비중 2.7∼2.8로, 칼로 자를 수 있다. 만지면 지방과 같은 감촉이 있다. 가열하면 각섬석구조(700~900℃), 휘석구조(1000~1200℃)가 되며, 더 높은 온도(1250~1350℃)에서는 크리스토발라이트와 단사완화휘석으로 분해된다. 결정편암 속에 함유되고, 사문암과 같은 염기성인 심성암(深成岩) 속에 큰 덩어리로 산출되며,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광물의 변질에 의하여 생성된다. 활석 중 불순물로서의 철을 거의 함유하지 않는 양질의 것은 아트지(紙)를 가공할 때의 재료가 되고, 그 밖에 화장품 ·활마용(滑摩用) ·보온용 ·내화재 등에 사용된다. 치밀질인 것은 특히 동석(凍石)이라고 부르며, 어린이들이 쓰는 납석은 주로 파이로필라이트로부터 만드는데, 일부는 동석이 쓰인다. 주산지는 북아메리카 ·중국 동북부 ·프랑스 ·이탈리아 ·노르웨이 등이다. | 滑石, talc |
1160 | 활성작용 | 포집제를 가하여도 포집되지 않는 광물이나 억제제로 억제된 광물에 어떤 종류의 무기 염류 또는 산을 가하면 광립 표면의 화학적 성질이 변화하여 포집제에 포집된다. 이러한 현상을 활성작용이라 한다. | |
1161 | 활성제 | 활성작용에 쓰이는 무기 시약들을 활성제라 한다. | Activator |
1162 | 활성탄 | 목탄, 야가가, 석탄(갈탄, 역청탄, 무연탄)에 화학적 또는 물리적으로 처리하여(미세 기공을 만듬)흡착성을 지닌 탄소물질을 말한다. 입상과 분말 활성탄(100mesh, 149㎛이하)으로 구분되며, 입상은 각종 산업폐수 제거 및 탈색제로 사용되고 분말은 각종 가스정제(공기정화)에 사용된다. | 活性炭 |
1163 | 황 | 주기율표 제6B족에 속하는 산소족 원소. 원소기호 : S 원자번호 : 16 원자량 : 32.06 녹는점 : 112.8℃(α) 끓는점 : 444.7℃ 비중 : 2.07(α) 오래 전부터 그 존재가 알려져 온 황은 고대에는 황을 태워 그 연기에 쐬어서 소독하는 방법으로 사용되었다고 한다. 그 후 의약 또는 화약으로 널리 이용되어 왔다. 영어의 sulfur 또는 sulphur는 산스크리트의 ‘불의 근원’을 뜻하는 Sulvere로부터 유래된 라틴어 Sulphurium이 그 어원이다. 지구상에는 자연황으로서 유리상태로 산출되지만 화합물로서도 광범위하게 다량 존재한다. 자연황은 화산지방에 많고 미국 ·일본 ·이탈리아 등이 주요 산지이다. 화합물로서는 황철석 ·황동석 ·방연석(方鉛石) ·섬아연석 ·진사(辰砂) 등의 황화물, 석고 ·중정석(重晶石) 등의 황산염으로 존재하며 그 외에 화산가스 ·온천 ·광천 등에도 황화수소 ·아황산가스(이산화황) ·황산 등의 형태로 존재한다. 또한 생물계에서도 중요한 원소이며, 단백질 속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 黃, Sulfur |
1164 | 황동석 | 정방정계(正方晶系)에 속하는 광물. 굳기 : 3.5∼4 비중 : 4.1∼4.3 색깔 : 놋쇠황색 ·황금색 조흔색 : 녹흑색 화학성분은 CuFeS2이다. 보통은 괴상, 때로는 추상(錐狀)의 결정형을 나타낸다. 때로 주석 ·아연 ·금 ·은 등을 미량 함유하기도 한다. 놋쇠황색 또는 황금색으로 조흔색(條痕色)은 녹흑색을 띠며(금과의 구별점), 표면은 흔히 흑색 또는 청자색으로 변색된다. 쪼개짐은 없고, 굳기는 3.5∼4로 유리로 상처를 낼 수 있을 정도이며(황철석과의 구별점), 비중은 4.1∼4.3이다. 금속광택이 있으며, 불투명하고 무르다. 순수한 것은 34.68 %의 구리를 함유한다. 각종 마그마성 광상에서 많이 산출되며, 함동황화철광상 ·단광광상 ·접촉교대광상 ·열수광상에서도 산출된다. 미국의 몬태나주와 유타주, 캐나다 ·칠레 ·페루 ·콩고 ·잠비아 등에서 산출된다. 구리의 중요한 광석이 된다. 명칭은 그리스어의 khalkos(구리)에서 유래되었다. | 黃銅石,chalcopurite |
1165 | 황화광물 | 황(S)이 다른 금속과 결합하여 된 광물로서, 경제적으로 유용한 금속 광물들이 많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황동석(CuFes2), 방연석(PbS), 섬아연석(ZnS), 황철석(FeS2) 등이다. | 黃化鑛物 |
1166 | 회동탄광 | 강원 정선군 정선읍 회동리에 있는 탄광. 정선탄전 서부에 25개 광구를 가지고 있으며 1962년부터 개발에 착수하였으나 입지적 여건 등으로 개발이 부진하다가 1977년 대성탄좌개발(주)에서 인수한 후 개발이 촉진되어 연간생산규모 10만 t의 탄광이 되었다. 광산 일대의 지질은 조선계의 대석회암통(統)을 바탕으로 하여 평안계의 홍점통(紅店統) ·사동통(寺洞統) ·고방산통(高坊山統) 및 녹암통(綠岩統) 지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탄층은 사동통 내에 3∼4매 협재한다. 주(主)가행 대상은 사동통 중상부의 중탄층이다. 광구 내 탄층의 노두(露頭) 길이는 약 13 km이나 회동리 계곡을 중심으로 하여 그 서부에서 가행중이고 동부는 미개발 상태이다. 갱내 원탄의 평균 탄질은 4,900 cal, 매장량은 4,309만 6000 t, 채탄 가능 매장량은 485만 3000 t에 이른다. | 檜洞炭鑛 |
1167 | 회전식급광기 | 저광사로부터 흘러 나오는 광석을 천천히 회전하는 롤에 받아서 공급해 주면 롤 급광기(Roll feeder)라 하고, 방사성 칸막이를 가진 얼레로 받아서 공급해 주면 얼레 급광기(star feeder)라고 한다. 양자 모두 가는 광석의 급광 속도를 조절하는데 쓰이는 소극적인 기계이다. | |
1168 | 회전식시추 | 다이아몬드 시추와 비슷하나, 다이아몬드 시추 때의 크라운 부분이 여러 개의 비트가 동시에 작업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도록 설계된 시추형식이다. 일반적으로, 원동기에서 한 방향으로 주어진 회전혁이 비트 부분에서는 회전 방향과 속도가 다른 여러 부분으로 나타나도록 되어 있다. 비트의 한 부분이 어느 때에는 느리게, 어느 때에는 충격적으로 회전하여 암석을 마멸시켜 구멍을 뚫는 것이다. 이러한 비트의 하나인 트리콘 비트의 구조를 보면 3개의 다리에 원뿔의 뾰족한 쪽이 다리의 안쪽으로 가도록 3개의 원뿔을 결합시킨 모양으로 되어 있다. 회전식 시추용비트는 끝에 독립된 몇 개의 원뿔이 붙어 있으므로 지름이 커진다. 그러므로, 지름이 큰 시추공에 적합하며, 수직공일 때에는 수천 미터 까지도 시추가 가능하다. | |
1169 | 횡목 | 횡목은 타주보다 훨씬 넓은 범위를 지지할 수 있다. 천장의 틈이 막장면에 평행하게 생기기 쉬우므로, 그것을 직각으로 받게 하기 위하여 보(관목:cap)의 방향을 일반적으로 막장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향하게 한다. 그러나, 경사가 심할 때에는 지주 작업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막장면에 평행하게 할 때가 많다. 또 천장이 나쁠 때에는 가운데 기둥을 세우든지, 또는 보의 사이를 살장으로 둘러쌀 때도 있는데 기둥을 세우는 방법은 타주의 경우와 같으며, 기둥과 보가 잘 붙게 한 다음 보 위에 쐐기를 박는다. | 橫木, stull |
1170 | 횡파 | "탄성파"참조. 탄성파에는 종파, 횡파, 표면파로 나누어진다. | 橫波 |
1171 | 후생광상 | 모암의 생성후에 생긴 광상을 말한다 | 後生鑛床,epigenetic deposit |
1172 | 휘창연석 | 사방정계(斜方晶系)에 속하는 광물. 굳기 : 2 비중 : 6.4∼6.5 색깔 : 담연회색 ·주석백색 화학성분은 Bi2S3이다. 보통 괴상 ·엽편상 ·섬유상 ·주상결정을이루며, 드물게는 침상결정을 이루기도 한다. 외관은 휘안석(輝安石)과 비슷하다. 기둥에 평행인 한쪽에 완전한 쪼개짐이 있다. 담연회색 또는 주석백색으로 휘안석보다 다소 담색이다. 굳기 2, 비중 6.4∼6.5이며, 녹는점이 낮아 촛불에 녹는다. 휘안석에 비하여 산출이 적고 고온성 광상에 많아 페그마타이트성 석영맥(石英脈) ·금은동광맥 ·접촉광상 등에서 산출되며, 다른 비스무트 광물과 함께 산출된다. 이론적으로 80%의 비스무트를 함유하면 중요한 비스무트 광석이 되지만, 보통은 이것을 주광으로 하지 않고 정련소 매연 속에서 회수한다. 영국의 콘월, 독일 작센의 슈네베르크, 볼리비아의 산발다메로가 주산지이다. | 輝蒼鉛石,bismuthInite |
1173 | 휴대용방사능측정기 | 방사능이란 원자가 분열할 때 방출되는 입자와 전자파로서 알파(α), 베타(β), 그리고 감마(γ)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알파(α)선은 전기를 가지지 않은 입자이며, 베타(β)선은 양(+)이나 음(-)의 전기를 가지고 있는 전자 입자이고, 감마(γ)선은 전자파의 일종이다. 방성성 물질은 이러한 방사능의 측정값으로 그 존재와 함유량을 알아 낼 수 있으며, 방사능 물질에는 우라늄, 라듐 등이 있다. 이러한 것은 신틸레이션 카운터(scintillation counter)등으로 측정하는데, 이것이 휴대용 방사능 측정기이다. | |
1174 | 흑색화약 | 혼합화약의 종류로서 뇌관을 사용하지 않고도 충분히 폭발시킬 수 있다. 화학적으로는 극히 안전하므로 흡습성만 없다면 오랫동안 저장이 가능하다. 흑색화약의 대표적인 조성은 질산칼륨(KNO3), 75%, 목탄(C) 15%, 황(S) 10%를 혼합한 것인데 용도나 제조에 따라 혼합비가 다르며 형태, 밀도 등에 의하여도 다르다. | 黑色火藥 |
1175 | 2단계채취법 | 시료 채취 방법의 하나로서 층별로 나누어진 층 중에서 각각 몇 개의 시료를 채취해서 다시 층으로 나눈 다음, 그 중에서 몇 개의 단위 시료를 채취하는 방법이다. 2단으로 시료 채취를 할 때 이를 2단 시료 채취법이라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3단, 4단으로 할 수 있으며, 그것을 다단식 시료 채취법이라 한다. | |
1176 | 2단종합부유선별법 | 처음에 2종류의 유용 광물의 혼합 정광을 채취하고, 그 광미에서 다시 2종류의 혼합 정광을 채취한 다음 각 혼합 정광에서 각각 2종류의 정광을 분리해 내는 방법을 말함. | |
1177 | A.C.C.법 | 페로실리콘 중액 선별법은 동의의. 1935년 미국의 헌팅턴 회사가 방연광가루를 공장에서 매질로 쓰는 시험 작업에 성공하였다. 그 후 무거운 비중을 낼 수 있는 의중액에 자철광과 페로실리콘을 쓰는 데 성공하였다. 이어서, 페로실리콘이 가지는 자성 때문에 이 매질의 회수가 가능해져 널리 이용하게 되었다. | American Cyanamid Co |
1178 | A.소브레로 | 니트로글리세린을 1847년에 발명. 그러나 취급이 위험해 실용화되지는 못하였다. | |
1179 | ANFO | 질산암모늄과 경유를 중량비 94:6으로 배합하여 만든 폭약으로, 폭발 속도는 2500∼3000m/s이고, 폭발열은 900kcal/㎏ 정도이며, 폭발 온도는 2452K 이다. 이 폭약은 제조 방법이 간단하고 값이 싸며, 충격이나 마찰, 열에 쉽게 폭발하지 않아 취급과 운반 및 사용이 안전할 뿐만 아니라, 변질되거나 잘 얼지 않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폭약이다. 그러나 흡습성이 있기 때문에 수분이 많은 곳에서는 사용할 수 없고, 오래 저장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 |
1180 | DS발파법 | 폭발 지연 시간의 차이에 따라 보통 지발발파법(decisecond 또는 DS발파법)과 밀리세컨드 발파법(millisecond, MS발파법)법으로 나뉜다. 지발발파법은 0.1-0.5초의 간격으로 발파시키는 것이다. | |
1181 | J.아프리카누스 | AD 275년경 질산칼륨과 황의 혼합물을 처음으로 제조함. (이것이 화약에 대한 역사적 최초 기록임.) | |
1182 | Jamp-drill | 대단히 간편한 시추기로서 강봉(steel rood)선단에 비트(bit)를 달고 2-3명이 이 기구를 위로 들었다 놓았다 하므로 충격을 주어 지중을 굴착하는 것이다. 충격을 줄 때 마다 약간씩 회전시켜 준다. 이 시추기로 굴착할 수 있는 조건은 연약한 지층에 적합하다. 주로 사력광산이나 탄층에 적용된다. | |
1183 | M·S뇌관 | 지발발파에 사용되는 뇌관. | |
1184 | OD법 | 운하 작업시 고안된 것으로, 두꺼운 점토층이 수중 암반을 덮고 있을 때 이 점토를 제거하는 대신 특수한 장비에 의해서 직접 천공하는 방식이다. | overburden drilling method |
1185 | OMS | 석탄생산능율을 나타내는 단위로서, 1인당 1교대 작업시간당(8시간)생산량(톤)을 말한다. 전광능률(全鑛能率)은 광산에 취업하는 전 종업원을 대상으로 산출하는 OMS를 말하고, 직접부능률(直接夫能率)은 광산에서 생산분야에 직접투입되어 작업하는 종업원만을 대상으로 산출되는 OMS(채탄, 굴진 분야 등)를 말한다. | Output per Man Shift |
1186 | RQD | 암석의 질을 나타내는 지수. 시추 작업을 통하여 채취된 전체 시추 시료 코어의 길이와 전체 코어 중 10㎝이상의 코어를 합한 길이의 비. | rock quality designation |
1187 | RWS | 폭약이 폭발하면 폭발 에너지의 일부분이 탄환에 미치고, 나머지 에너지는 구포의 진자에 미친다. 그러므로 진자는 운동하게 되고, 이 때 진자의 운동 각도를 측정하여 표준 폭약의 운동 각도와 비교하여 시료 폭약과 표준 폭약의 상대적 폭발 위력을 비율로 나타낸 것. | relative weight strength |
1188 | V형 커트 | 갱도 중심선에 대하여 좌우 대칭으로, 즉 V형으로 천공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광맥에 대해서 대칭으로 할 경우도 있다. 암석에 층리가 있을 경우에는, 층리에 직각으로 하는 방법과 평행으로 하는 방법이 있다. 이것은 부피가 크므로 비경제적인 점이 있고, 암석이 큰 부피로 파괴되어 작업상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향이 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