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정보의 과부하와 선택의 확산: 2025년, 우리는 정말 더 행복해졌는가?

by 정진한 2025. 5. 20.
728x90
반응형
SMALL

 


 

정보의 과부하와 선택의 확산: 2025년, 우리는 정말 더 행복해졌는가?

1. 모두가 '연결된' 세계, 그러나 외롭다

2025년의 우리는 스마트폰, 웨어러블 디바이스, 인공지능 비서, 맞춤형 피드로 무장한 세상에 살고 있다. 하루 평균 접하는 정보의 양은 2020년 대비 3배 이상 늘어났고, 우리는 단 몇 초 만에 수천 개의 뉴스와 콘텐츠를 탐색할 수 있다. ‘연결’은 신속함과 접근성이라는 장점을 선사했지만, 그 안에는 불편한 진실이 숨겨져 있다. 사람들은 더 많은 사람과 연결되고, 더 많은 콘텐츠를 소비하지만, 실질적인 공감과 교류는 줄어들고 있다. 타인의 삶을 엿보며 비교하고 자책하며, 스크롤 속에 묻혀가는 관계와 정서의 빈곤이 점점 우리를 갉아먹는다.

2. 선택은 늘었지만 만족은 줄었다

정보가 많아지면 선택도 많아진다. 이는 표면적으로는 소비자와 개인의 '자유'를 확대시키는 듯 보인다. 그러나 수많은 선택지는 오히려 결정을 어렵게 만들고, 선택 이후의 만족감을 낮추는 결과를 낳는다. 이는 심리학자 배리 슈워츠(Barry Schwartz)가 지적한 ‘선택의 역설’(The Paradox of Choice)과 정확히 일치한다. 우리는 넷플릭스에서 1시간 넘게 볼 영화를 고르다가 결국 아무 것도 보지 못하고 잠들고, 쇼핑몰에서 최적의 제품을 찾다가 피로에 지친다. 선택권이 많아질수록 우리는 '최선'을 기대하게 되고, 선택한 것에 만족하지 못하게 된다. ‘더 나은 무언가가 있었을지도 모른다’는 후회와 불안이 일상을 지배한다.

3. 정보는 중립이 아니다 – 조작되는 선택

정보는 더 이상 중립적이지 않다. 알고리즘은 나의 클릭, 시선, 체류시간을 분석하여 ‘선택을 유도하는 정보’를 던져준다. 이는 개인화라기보다 '지향성 있는 설계'에 가깝다. 검색창에 무엇을 치느냐에 따라 완전히 다른 세계관을 경험하게 되고, 우리는 필터 버블 속에서 자극적이고 편향된 정보만 소비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정보는 도구가 아니라 조작의 매개가 된다. 가짜 뉴스, 선정적 이슈, 광고 콘텐츠가 ‘진실’처럼 떠오르고, 우리는 점점 자기 의지로 판단할 수 있는 힘을 잃어간다. 이는 민주주의와 개인 자율성에 대한 직접적인 위협이기도 하다.

4. 행복은 정보가 아니라 ‘의미’에서 나온다

행복은 정보의 양이나 소비의 총량에서 비롯되지 않는다. 인간은 의미 있는 관계, 스스로에 대한 이해, 자율적이고 내적인 성취에서 행복을 느낀다. 하지만 2025년의 현실은 이런 행복의 조건을 갈수록 약화시킨다. 우리는 하루 종일 정보를 소비하지만 그것은 피상적이며, 즉각적인 자극에 불과하다. ‘내가 지금 왜 이걸 하고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질 틈도 없이 콘텐츠와 선택지에 파묻혀 간다. 정작 중요한 관계와 삶의 본질은 뒷전이다. 정보사회에서 우리는 행복의 기본 조건인 **'의미'**를 잃어가고 있다.

5. ‘덜 알고, 덜 선택하는’ 용기가 필요하다

이제는 선택지를 줄이는 용기가 필요하다. 정보를 끊고, 피드를 닫고, 아무 것도 하지 않는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 오히려 삶을 회복시키는 첫걸음이 될 수 있다. 정보의 바다에서 방향 없이 표류하지 않기 위해선 스스로의 삶에 기준을 세우고, ‘무엇을 하지 않을 것인가’를 정하는 훈련이 필요하다. 기술을 거부하자는 것이 아니다. 기술은 도구이지 목적이 아니며, 우리의 정신적 평온을 침해해서는 안 된다. 행복은 더 많이 연결되고, 더 빨리 반응하며, 더 많은 콘텐츠를 소비하는 데서 오는 것이 아니다. 더 깊이 보고, 더 오래 머무르며, 더 의미 있게 선택하는 것에서 비롯된다.


🔍 맺음말

2025년 현재, 우리는 정보의 바다 속에서 헤엄치고 있지만 어딘가 가라앉는 기분을 느낀다. 연결된 세상은 외롭고, 선택이 넘치는 세상은 피곤하다. 그리고 그 결과, 우리는 더 많은 정보 속에서 더 적은 의미를 발견하고 있다. 행복은 연결과 정보, 선택의 확산에 있지 않다. 오히려 그것들로부터 자신을 분리해내는 데서 시작된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