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장애정도판정기준 전문
본문 바로가기
장애, 다름/장애별 정보

2023년 장애정도판정기준 전문

by 정진한 2023. 4. 23.
반응형

장애정도판정기준
보건복지부 고시 제2023-   호

제1장
총론


1. 목 적 
이 기준은 장애인복지법시행규칙 제2조 및 [별표 1]의 장애인의 장애정도표에 의한 장애정도 사정기준을 구체적으로 해석하고 표준 진단방법을 제시하여 정확하게 장애정도를 판정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2. 적용범위 
가. 이 기준은 장애인복지법 제32조의 규정에 의하여 특별자치도지사․시장․군수․ 구청장에게 장애인등록을 신청한 사람의 장애정도를 진단․판정하는 때에 적용한다. 
나. 장애인복지법 제32조의 규정에 의하여 장애인으로 등록할 수 있는 사람은 아래 장애인의 분류에 해당되는 사람으로서 장애인복지법시행규칙 [별표 1]의 장애인의 장애정도표에서 정하는 기준에 부합하는 정도의 장애가 있는 사람이다.
<장애인의 분류>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신체적
장애
외부 
신체기능의 장애
지체장애
절단장애, 관절장애, 지체기능장애, 척추장애, 변형 등의 장애
뇌병변장애
뇌의 손상으로 인한 복합적인 장애
시각장애
시력장애, 시야결손장애, 겹보임(복시)
청각장애
청력장애, 평형기능장애
언어장애
언어장애, 음성장애, 구어장애
안면장애
안면부의 추상, 함몰, 비후 등 변형으로 인한 장애
내부기관의 장애
신장장애
투석치료 중이거나 신장을 이식받은 경우
심장장애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심장기능 이상
간장애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만성․중증의 간기능 이상
호흡기장애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만성․중증의 호흡기기능 이상
장루․요루장애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장루․요루
뇌전증장애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만성․중증의 뇌전증
정신적
장애
발달장애
지적장애
지능지수가 70 이하인 경우
자폐성장애
소아청소년 자폐 등 자폐성 장애
정신장애
정신장애
조현병, 조현정동장애, 양극성정동장애, 재발성우울장애, 뇌의 신경학적 손상으로 인한 기질성 정신장애, 강박장애, 투렛장애(Tourette‘s disorder), 기면증


3. 판정기준의 적용원칙
가. 장애유형별 장애정도는 원칙적으로 제2장의 장애유형별 판정기준에 따라 판정한다.
나. 2종류 이상의 장애가 중복되는 경우의 장애정도는 제3장의 중복장애의 합산기준에 따라 판정한다.
다. 위 가항, 나항의 적용원칙 이외에 개인의 신체적․정신적 특성 등을 고려하여 판정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장애인복지법시행규칙 제3조제4항에 따라 고시된 장애정도심사규정 제14조의 장애정도심사위원회에서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 장애정도를 판정할 수 있다.
(1) 2종류 이상의 중복장애가 있는 경우로서 제3장의 중복장애의 합산기준에도 불구하고 주장애 또는 부장애가 부장애 또는 주장애의 신체적․정신적 기능 등을 더 심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는 경우
(2) 장애정도에 변화를 일으키는 신체적․정신적 손상 등이 객관적으로 확인되고 그 손상이 장애정도의 심화와 상당한 인과관계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
4. 장애정도 심사용 진단서 작성 기준
가. 장애유형별 장애진단 전문기관 및 전문의 등

장애 유형
장애진단기관 및 전문의 등
지체
장애
1. 절단장애 : X-선 촬영시설이 있는 의료기관의 의사
2. 기타 지체장애 : X-선 촬영시설 등 검사장비가 있는 의료기관의 재활의학과․정형외과․신경외과․신경과․소아청소년과(신경분과)․내과(류마티스분과) 전문의, 마취통증의학과(CRPS상병인 경우) 전문의
뇌병변
장애
- 의료기관의 재활의학과․신경외과·신경과․소아청소년과(신경분과) 전문의   
시각
장애
-시력 또는 시야결손정도, 겹보임(복시) 정도의 측정이 가능한 의료기관의 안과 전문의
청각
장애
-방음부스가 있는 청력검사실, 청력검사장비가 있는 의료기관의 이비인후과 전문의
언어
장애
1.의료기관의 재활의학과 전문의 또는 언어재활사가 배치되어 있는 의료기관의 이비인후과․정신건강의학과 · 신경과․ 소아청소년과(신경분과) 전문의
2.음성장애는 언어재활사가 없는 의료기관의 이비인후과 전문의 포함
3.의료기관의 치과(구강악안면외과)․치과 전속지도 전문의(구강악안면외과)
지적
장애
- 의료기관의 정신건강의학과․신경과․재활의학과․소아청소년과(신경분과) 전문의
정신
장애
1. 장애진단 직전 1년 이상 지속적으로 진료한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다만, 지속적으로 진료를 받았다 함은 3개월 이상 약물치료가 중단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2.1호에 해당하는 전문의가 없는 경우 장애진단 직전 3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진료한 의료기관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가 진단할 수 있으나, 장애진단 직전 1년 또는 2년 이상의 지속적인 정신건강의학과 진료기록을 진단서 또는 소견서 등으로 확인하고 장애진단을 하여야 한다. 


장애 유형
장애진단기관 및 전문의 등
자폐성 장애
- 의료기관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신장
장애
1.투석에 대한 장애진단은 장애인 등록 직전 3개월 이상 투석치료를 하고 있는 의료기관의 의사
2.1호에 해당하는 의사가 없을 경우 장애진단 직전 1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투석치료를 하고 있는 의료기관의 의사가 진단할 수 있으나 3개월 이상의 투석기록을 확인하여야 한다.
3.신장이식의 장애진단은 신장이식을 시술하였거나 이식환자를 진료하는 의료기관의 외과 또는 내과 전문의
심장
장애
1.장애진단 직전 1년 이상 진료한 의료기관의 내과(순환기분과)․소아청소년과․흉부외과 전문의
2.1호에 해당하는 전문의가 없는 경우 의료기관의 내과(순환기분과)·소아청소년과․흉부외과 전문의가 진단할 수 있으나 장애진단 직전 1년 이상 내과(순환기분과)․소아청소년과․흉부외과의 지속적인 진료기록 등을 확인하고 장애진단을 하여야 한다.
호흡기
장애
-장애진단 직전 2개월 이상 진료한 의료기관의 내과(호흡기분과, 알레르기분과)․흉부외과․소아청소년과․결핵과․직업환경의학과 전문의
간장애
-장애진단 직전 2개월 이상 진료한 의료기관의 내과(소화기분과)․외과․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안면
장애
1.의료기관의 성형외과․피부과․외과(화상의 경우) 전문의
2.의료기관의 치과(구강악안면외과)․치과 전속지도 전문의(구강악안면외과)
장루․요루
장애
- 의료기관의 외과․산부인과․비뇨의학과․내과 전문의
뇌전증
장애
-장애진단 직전 6개월 이상 진료한 의료기관의 신경과․신경외과․정신건강의학과․소아청소년과 전문의

나. 장애유형별 장애진단시기

장애유형
장애진단 시기
지체 · 시각·청각·
언어·지적·안면 장애
장애의 원인 질환 등에 관하여 충분히 치료하여 장애가 고착되었을 때 진단하며, 그 기준 시기는 원인 질환 또는 부상 등의 발생 후 또는 수술 후 규정기간(6개월 또는 2년) 이상 지속적으로 치료한 후로 한다(지체절단, 척추고정술, 안구적출, 청력기관의 결손, 후두전적출술, 선천적 지적장애 등 장애상태의 고착이 명백한 경우는 예외로 한다).
뇌병변장애
1. 뇌성마비, 뇌졸중, 뇌손상 등과 기타 뇌병변(파킨슨 질환 제외)이 있는 경우는 발병 또는 외상 후 6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치료한 후에 장애 진단을 하여야 한다.
2. 파킨슨 질환은 1년 이상의 성실하고 지속적인 치료 후에 장애 진단을 하여야 한다.
정신장애
규정기간(1년 또는 2년) 이상의 성실하고, 지속적인 치료 후에 호전의 기미가 거의 없을 정도로 장애가 고착되었을 때에 한다.
자폐성장애
전반성발달장애(자폐증)가 확실해진 시점
신장장애
3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혈액투석 또는 복막투석치료를 받고 있는 사람 또는 신장을 이식받은 사람
심장장애
1년 이상의 성실하고, 지속적인 치료 후에 호전의 기미가 거의 없을 정도로 장애가 고착되었거나 심장을 이식받은 사람
호흡기․
간장애 
현재의 상태와 관련한 최초 진단 이후 1년 이상이 경과하고, 최근 2개월 이상의 지속적인 치료 후에 호전의 기미가 거의 없을 정도로 장애가 고착되었거나 폐 또는 간을 이식받은 사람
장루․
요루장애
복원수술이 불가능한 장루(복회음절제술 후 에스결장루, 전대장직장절제술 후 시행한 말단형 회장루 등)․요루(요관피부루, 회장도관 등)의 경우에는 장루(요루)조성술 이후 진단이 가능하며, 그 외 복원수술이 가능한 장루(요루)의 경우에는 장루(요루) 조성술 후 1년이 지난 시점
뇌전증장애
1.성인의 경우 현재의 상태와 관련하여 최초 진단 이후 2년 이상의 지속적인 치료를 받음에도 불구하고 호전의 기미가 거의 없을 정도로 장애가 고착된 시점
2.소아청소년의 경우 뇌전증 증상에 따라 최초 진단 이후 규정기간(1년 또는 2년) 이상의 지속적인 치료를 받음에도 불구하고 호전의 기미가 거의 없을 정도로 장애가 고착된 시점

장애정도판정기준 전문.hwpx
0.43MB
230320_장애정도판정기준_조문별 제개정이유서.hwp
0.04MB

반응형